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가정 인식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078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다문화 가정을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따라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교 적응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점 하에 초등학교 교사의 단일민족과 다민족에 대한 인식,...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다문화 가정을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따라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교 적응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점 하에 초등학교 교사의 단일민족과 다민족에 대한 인식, 다양한 가족 수용도, 문화적 역량,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등의 하위변인을 통해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인식 수준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단일민족과 다민족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중도적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가정에 대해서는 편견 없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의 문화적 역량은 보통수준으로 타문화와 자문화에 대한 차이로 인한 갈등해결능력에는 부족한 면을 보였다. 이에 통합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느끼고 있었지만 다문화에 대한 전문가로서는 부족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다문화가정 인식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초등 교사들의 다문화가정 관련변인 중 다문화가정인식에 차이를 보이는 변인은 '단일민족과 다민족에 대한 인식', '다양한 가족수용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순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단일민족과 다민족에 대한 인식' 변인이 가장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초등 교사들의 다문화가정 관련 변인들 중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변인은 '단일민족과 다민족에 대한 인식'과 '다양한 가족수용도' 변인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y in terms that such perceptional factors as understanding of mono-cultural and multi-cultural families, cultural capabilities, and awareness of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y in terms that such perceptional factors as understanding of mono-cultural and multi-cultural families, cultural capabilities, and awareness of the mainstreaming education, etc could affect children's adaptation to a schoo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study findings show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single-race and multiple-races, acceptance of diverse families and perception of integrative education seem to be the base of positive influence upon their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y. If teachers, whose influence upon children is great, have no prejudice and accept diverse families with equality consciousness, they will provide help to children's development. Since teachers' unprejudiced minds and equality attitudes toward children can maintain the mutual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schools and families―children's two major life spaces, it will probably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children's adaptability to schools and their development of personalit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complementary relation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nd prevent children's school maladjustment-oriented educational deviation phenomena, it is necessary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have unprejudiced perception of all the children. Secondly, there is no such considerable difference among the teachers in terms of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y, depending on population-sociological factor. Thirdly, among the determinant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y, 'understanding of mono-cultural and multi-cultural families' are the most influential, and 'acceptance of diverse forms of family' and 'awareness of the mainstreaming education' are following in order. Lastly, the most relational and influential determinant are the 'understanding of mono-cultural and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acceptance of diverse forms of fami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서론
      • 1. 연구 필요성
      • 2. 연구목적
      • 3. 연구문제
      • 요약
      • I. 서론
      • 1. 연구 필요성
      • 2. 연구목적
      • 3. 연구문제
      • II. 이론적 배경
      • 1. 다문화 가정의 개념 및 현황
      • 2. 다문화 가정의 문제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 3. 다문화가정 초등학생 자녀의 학교생활적응과 교사역할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 III.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2. 측정도구
      • 3. 자료 분석방법
      • IV. 연구결과 및 해석
      •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조사대상자가 지각한 다문화 가정 관련 변인의 전반적인 경향성
      • 3. 초등학교 교사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 가정 인식의 차이
      • 4. 초등학교 교사들의 다문화 가정 관련 변인에 따른 다문화 가정 인식의 차이
      • 5. 다문화가정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의 상대적인 영향력
      • V. 요약 및 결론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윤진, "한부모가족 청소년의 부적응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2004

      2 설동훈, "한국의 외국인노동자 인권 실태와 대책" 2 (2): 53-87, 2001

      3 "통계청"

      4 오성배, "코시안(Kosian)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2 (32): 61-83, 2005

      5 충남여성정책개발원, "충남거주 외국인 여성을 위한 정책모색 워크샵 자료집" 충남여성정책개발원 2003

      6 김영주, "충남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적, 사회적 적응을 위한 요구도 조사 및 프로그램 개발" 충남여성정책개발원 2009

      7 김창희, "초등학생이 기대하는 학급담임교사의 역할" 금오공과대 교육대학원 2008

      8 박현주, "초등학교 학생들이 바라는 교사상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군산시 초등 학교 3·4·5·6학생을 중심으로" 군산대 교육대학원 2006

      9 김광식,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지도성과 학생의 행동특성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2005

      10 유영미, "초등학교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 및 효율적 운영 방안 모색" 아주대 교육대학원 2007

      1 조윤진, "한부모가족 청소년의 부적응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2004

      2 설동훈, "한국의 외국인노동자 인권 실태와 대책" 2 (2): 53-87, 2001

      3 "통계청"

      4 오성배, "코시안(Kosian)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2 (32): 61-83, 2005

      5 충남여성정책개발원, "충남거주 외국인 여성을 위한 정책모색 워크샵 자료집" 충남여성정책개발원 2003

      6 김영주, "충남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적, 사회적 적응을 위한 요구도 조사 및 프로그램 개발" 충남여성정책개발원 2009

      7 김창희, "초등학생이 기대하는 학급담임교사의 역할" 금오공과대 교육대학원 2008

      8 박현주, "초등학교 학생들이 바라는 교사상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군산시 초등 학교 3·4·5·6학생을 중심으로" 군산대 교육대학원 2006

      9 김광식,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지도성과 학생의 행동특성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2005

      10 유영미, "초등학교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 및 효율적 운영 방안 모색" 아주대 교육대학원 2007

      11 박은정, "초등학교 고학년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개념 및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구안" 한국교원대 대학원 2008

      12 김민영, "중학교 사회과 교사의 다문화 교육 인식에 관한 질적연구" 성신여대 교육대학원 2008

      13 김지나,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교육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이화여대대학원 2007

      14 김동옥, "유아교사의 가족인식과 가족교육관 연구" 숙명여대 대학원 2004

      15 행안부, "외국인주민실태조사" 2009

      16 이정수, "예비 가정과 교사의 가족개념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2005

      17 이민경,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보육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숙명여자대학교 2001

      18 최광희, "부모-교사의 동반자적 협력관계로서의 부모 참여에 대한 교사의 인식" 경성대 교육대학원 2004

      19 민성혜,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문화적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1 (11): 183-206, 2009

      20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다문화교육 정책방안 연구" 2007

      21 보건복지부, "다문화가족실태조사연구" 2010

      22 박경동, "다문화가족 형성과 갈등에 대한 연구" 1131-1152, 2007

      23 박세정, "다문화가족 지원대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영남대 행정대학원 2009

      24 오진숙, "다문화가족 자녀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에 관한 연구" 청주대 대학원 2009

      25 오연경, "다문화가족 상담을 위한 초등학교 담임 교사의 역할" 한양대 교육대학원 2008

      26 김민화, "다문화가정 취학 전 유아 한국어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아동학회 29 (29): 155-179, 2008

      27 교육인적자원부, "다문화가정 지원계획" 2007

      28 과학기술부, "다문화가정 자녀학교급별 현황자료" 2008

      29 김대수,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지원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0 교육과학기술부, "다문화가정 교육지원방안" 2009

      31 김갑석, "다문화 가정이 한국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벤터정보대학원 2009

      32 홍정미,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숙명여대 대학원 2009

      33 장은숙, "다문화 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경험 이해" 한국교원대 대학원 2008

      34 박재규,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이혼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한국농촌사회학회 17 (17): 427-442, 2007

      35 여성가족부, "국제결혼부부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결과 보고서" 2005

      36 김오남,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18 (18): 63-106, 2006

      37 설동훈,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 방안" 보건복지부 2005

      38 한건수, "국제결혼 이주 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정책방안" 보건복지부 2005

      39 이금연, "국내 국제결혼과 그 이해-실태와 문제점을 중심으로" 안양전진상복지관 이주여성쉼터 2003

      40 김예리, "가족생태이론에 기초한 미혼남녀의 결혼관과 관련변인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41 Foiling, C., "The child's social network: sex differences from three to six years. A life span perspectives(special issue)" 17 : 621-636, 1987

      42 Guyton, E., "The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Development, Item Selection, and Reliability" 7 (7): 21-29, 2005

      43 Hovery, J. D.,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ideation among immigrant and second-generation Latino adolescents" 35 : 1183-1192,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1.03 1.387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