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마리아(1873-1921)의 공적 생애와 기독교 = The Role of Christianity in the Public Life of Maria Shin(1873~1921)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695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신마리아(1873~1921)는 초기 한국 개신교 여성으로서 근대 전환기 조선의 평범한 여성이 서양 종교인 기독교를 선택하여 위기 대처와 생존, 성장의 전략으로 활용하면서 신여성으로 이행하는 ...

      신마리아(1873~1921)는 초기 한국 개신교 여성으로서 근대 전환기 조선의 평범한 여성이 서양 종교인 기독교를 선택하여 위기 대처와 생존, 성장의 전략으로 활용하면서 신여성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신마리아는 아버지가 선교사의 고용인이 되면서 정동에서 서양 기독교를 처음 접했다. 신마리아도 선교사 집의 아마도 고용되어 가사를 돕다가 기독교를 받아들이게 되었다. 그는 이후 미국 북장로회 한국선교회 소속 전도부인으로 활동하며 여선교사들과 교류했다. 20대 초반의 신마리아는 여학교에서 배우면서 가르치는 기회를 얻었고 그 기간 중 자녀와 남편·동생을 병이나 사고로 잃었다. 그는 기독교가 제공하는 여성교육의 기회에 참여하는 것으로 상실의 고통을 극복했다. 사경회와 평양여자성경학교에서 공부하고 자신과 비슷한 처지에 있는 여성들과 협력하면서, 그는 여성의 삶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했다. 신마리아에게 기독교는 선과 악을 구별하게 하고, 선을 행할 수 있도록 돕는 종교였다. 자녀의 성장을 책임지는 어머니의 권세를 하나님이 부여했다는 발상을 통해 신마리아는 모권에 근거해서 여권을 옹호했다. 신마리아는 강연을 통해 교회 여성들을 지도하고 계몽하는 일로 말년을 보냈다. 그는 기독교 신앙을 근본으로 삼아 전통적인 여성의 미덕을 실천했다. 기독교 여성지도자이며 교육자 신마리아의 영향력은, 고등교육을 받은 신여성으로서 가정과 사회에 대한 책임에 충실하고자 노력했던 제자들을 통해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Christian educator and leader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Korea, Maria Shin(1873-1921) exemplifies how Christianity shaped the public life of a Korean woman during the modernization. She encountered Christianity as her father first worked for a ...

      A Christian educator and leader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Korea, Maria Shin(1873-1921) exemplifies how Christianity shaped the public life of a Korean woman during the modernization. She encountered Christianity as her father first worked for a Western missionary in Chong-dong, Seoul. Maria Shin was hired in a missionary’s home where she was converted to Christian faith. She learned about the Bible from the missionary women and carried out the role of a Bible Woman in her neighborhood. In her early twenties she became a teacher at the girls' school, in which period she lost her husband, eldest son, and younger sister to illness and accident one after another. Her learning and service in the missionary girl’s school helped assuage her grief. She worked hard in the Bible classes of the Pyongyang Woman's Bible Institute and found new possibilities for women's lives in Christianity. She believed that God granted women, especially mothers, the power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and their children's growth. Maria Shin spent her later years guiding and enlightening women in the Korean church in advocacy for women's rights. Her influence was seen through her students, who, as new, higher-educated women, tried to remain faithful to their responsibilities to family and socie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인수, "헤론 의사의 선교 편지"

      2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 만국부인기도회사건1-4"

      3 조형, "한국여성사 정립을 위한 여성인물 유형연구 II-개항에서 3. 1운동까지" 8 : 1992

      4 이방원, "한국 의학의 빛이 된 최초의 여의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5 김인수, "제임스 S. 게일목사의 선교편지(1891-1900)" 쿰란출판사 2009

      6 정신여학교사료연구위원회, "장로회 최초의 여학교 선교편지" 홍성사 2014

      7 신마리아, "자모지도용원고"

      8 이화100년사편찬위원회, "이화100년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1994

      9 고춘섭, "연동교회 120년사 : 1894-2014"

      10 주선애, "여성교육의 관점에서 본 한국 기독교여성교육의 초기 현황과 미래 전망-정신여학교를 중심으로(1886-1920)" 13 : 2008

      1 김인수, "헤론 의사의 선교 편지"

      2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 만국부인기도회사건1-4"

      3 조형, "한국여성사 정립을 위한 여성인물 유형연구 II-개항에서 3. 1운동까지" 8 : 1992

      4 이방원, "한국 의학의 빛이 된 최초의 여의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5 김인수, "제임스 S. 게일목사의 선교편지(1891-1900)" 쿰란출판사 2009

      6 정신여학교사료연구위원회, "장로회 최초의 여학교 선교편지" 홍성사 2014

      7 신마리아, "자모지도용원고"

      8 이화100년사편찬위원회, "이화100년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1994

      9 고춘섭, "연동교회 120년사 : 1894-2014"

      10 주선애, "여성교육의 관점에서 본 한국 기독교여성교육의 초기 현황과 미래 전망-정신여학교를 중심으로(1886-1920)" 13 : 2008

      11 옥성득, "언더우드 자료집 1"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5

      12 김성은, "신여성 하란사의 해외유학과 사회활동" 역사연구소 (77) : 109-138, 2012

      13 "신마리아 수첩"

      14 고춘섭, "순원 신의경 권사 전기, 1898~1988" 금영문화사 2001

      15 대한예수교장로회연동교회, "세례교인 명부 I: 1896-1911"

      16 해리 로즈, "미국 북장로회 한국선교회사1. 1884-1934" 연세대학교출판부 2009

      17 조선혜, "매티 노블의 선교생활, 1892-1934"

      18 옥성득, "마포삼열 서한집 1" 두란노아카데미 2011

      19 로제타 홀, "로제타 홀 일기" 홍성사 2016

      20 신의경, "나의 어머니 신마리아 여사" (208) : 1972

      21 이송죽, "김필례 : 그를 읽고 기억하다" 열화당 영혼도서관 2019

      22 김영삼, "貞信七十午年史" 계문출판사 1962

      23 "弔客錄"

      24 "Woman’s Work for Work and Our Mission Field"

      25 "Woman’s Work for Woman"

      26 "Woman’s Work"

      27 "The Quarto-centennial Papers read before the Korea Miss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at the annual meeting in Pyeng Yang"

      28 "The Korea Mission Field"

      29 The International Cultural Foundation, "The Culture of Gyu-Bang in Korea" Pagijong Press 2014

      30 "Standing Rules and By-laws of the Korea Miss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the U.S.A"

      31 Sunday, William Ashley, "Mother's Sermon" Journal Publishing Company 1909

      32 "Letters and Reports of the Korea Miss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1884-1920)"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7

      33 Gale, James S., "Korea in Transition"

      34 Underwood, Lillias Horton, "Fifteen Years among the Top-knots"

      35 Gale, James S., "Dawn in the Land of Morning Calm" 52 : 1945

      36 "Annual Report of the Woman’s Foreign Missionary Society of the Presbyterian Church"

      37 Gale, James S., "A New England Grandmother in Old Korea" 54 : 1948

      38 김성은, "19세기말~20세기초 여성의 기독교 수용과 의식 및 생활변화" 한국사상사학회 (32) : 465-503,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4-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Society For Korean Church History -> The Society of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n Kore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4 0.945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