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어휘 평가의 현황과 전망 -한국어능력시험(TOPIK)을 중심으로- = Status and Prospects of Korean Vocabulary Assess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82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ilingual Research The aim of this study is on issues of Korean vocabulary assessment in terms of its status and prospects focusing on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Above all,previous studies were considered in order to figure out Bilingual Research whether it is possible to evaluate vocabulary exclusively, and if possible, what is a good method for it. Even though it is practically hard to evaluate the proficiency of vocabulary independently, it is possible, the studies said, because vocabulary could be improved by education and form the basis of other language functions. In addition, it is easily quantified. This study argued that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vocabulary assessment qualitatively, not quantitatively, and finalize the selection of advanced level vocabularies. Up to now the evaluation elements of each level has been classified unclearly.
      Therefore distinct classification for each level is needed, and the way to realize it is to differentiate between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In terms of communication, evaluating pronunciation and spelling of vocabulary is critical,but the evaluation should contain detailed criteria in speaking and writing, rather than independent evaluation. This paper deals with problems with assessment,especially unclear distinction between reading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For example, when it comes to level of difficulty, vocabularies of answers have a higher level of difficulty than vocabularies of text do. According to the level,many different types of questions have been suggested, but it still lacks the study to give evidence.
      번역하기

      Bilingual Research The aim of this study is on issues of Korean vocabulary assessment in terms of its status and prospects focusing on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Above all,previous studies were considered in order to figure out Bilingual Re...

      Bilingual Research The aim of this study is on issues of Korean vocabulary assessment in terms of its status and prospects focusing on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Above all,previous studies were considered in order to figure out Bilingual Research whether it is possible to evaluate vocabulary exclusively, and if possible, what is a good method for it. Even though it is practically hard to evaluate the proficiency of vocabulary independently, it is possible, the studies said, because vocabulary could be improved by education and form the basis of other language functions. In addition, it is easily quantified. This study argued that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vocabulary assessment qualitatively, not quantitatively, and finalize the selection of advanced level vocabularies. Up to now the evaluation elements of each level has been classified unclearly.
      Therefore distinct classification for each level is needed, and the way to realize it is to differentiate between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In terms of communication, evaluating pronunciation and spelling of vocabulary is critical,but the evaluation should contain detailed criteria in speaking and writing, rather than independent evaluation. This paper deals with problems with assessment,especially unclear distinction between reading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For example, when it comes to level of difficulty, vocabularies of answers have a higher level of difficulty than vocabularies of text do. According to the level,many different types of questions have been suggested, but it still lacks the study to give evid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유정, "한국의 한국어 능력 평가, In 한국어교육론1" 419-435, 2005

      2 김유정, "한국어능력시험의 난이도 분석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21-46, 2006

      3 강은아, "한국어능력시험 초급 단계의 어휘·문법 영역 문항 연구" 전남대학교교육대학원 2002

      4 김중섭, "한국어능력시험 중급 어휘 목록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5 안주호, "한국어능력시험 중 표현 영역 평가에 대한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79) : 229-254, 2008

      6 조현용, "한국어능력시험 어휘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01 : 1-20, 2000

      7 이해영, "한국어능력시험 문항 유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문항개발을 위한 지침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8 조인옥, "한국어능력 평가 답안 분석 - 제12회 한국어능력시험 수험자 반응 연구"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2 : 237-258, 2007

      9 이정희,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연구" 박이정 2003

      10 조남호,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 국립국어연구원 2003

      1 김유정, "한국의 한국어 능력 평가, In 한국어교육론1" 419-435, 2005

      2 김유정, "한국어능력시험의 난이도 분석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21-46, 2006

      3 강은아, "한국어능력시험 초급 단계의 어휘·문법 영역 문항 연구" 전남대학교교육대학원 2002

      4 김중섭, "한국어능력시험 중급 어휘 목록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5 안주호, "한국어능력시험 중 표현 영역 평가에 대한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79) : 229-254, 2008

      6 조현용, "한국어능력시험 어휘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01 : 1-20, 2000

      7 이해영, "한국어능력시험 문항 유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문항개발을 위한 지침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8 조인옥, "한국어능력 평가 답안 분석 - 제12회 한국어능력시험 수험자 반응 연구"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2 : 237-258, 2007

      9 이정희,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연구" 박이정 2003

      10 조남호,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 국립국어연구원 2003

      11 이혁화, "한국어 읽기평가의 현황과 전망" 2011

      12 조현용, "한국어 어휘교육 연구" 박이정 2000

      13 고우리, "한국어 어휘·문법 숙달도 평가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4 박석준, "한국어 쓰기 및 문법 평가의 현황과 발전 방향 모색" 2011

      15 김선정, "한국어 말하기·듣기 평가의 현황과 전망" 2011

      16 우형식,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어휘의 이해"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9

      17 최은규, "평가의 연구사와 변천사, In 한국어교육론1" 한국문화사 369-398, 2005

      18 송창선, "평가 대상 어휘의 선정" 국어교육학회 30 (30): 85-100, 1998

      19 이관식, "제3회, 제4회 한국어능력시험 어휘 평가 연구"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4 : 249-268, 2000

      20 Brown, H. D, "외국어 학습 교수의 원리" Pearnson Education Korea 2001

      21 신용진, "영어교육공학 5" 한국문화사 1998

      22 김광해, "어휘력과 어휘력의 평가"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5 (25): 1-29, 1997

      23 이문규, "어휘력 평가의 실제" 국어교육학회 30 (30): 101-140, 1998

      24 임지룡, "어휘력 평가의 기본 개념" 국어교육학회 30 (30): 1-41, 1998

      25 손영애, "국어 어휘지도 방법의 비교 연구: 한자 이용 여부를 중심으로" 서울대 1992

      26 Nation, I. S. P., "Teaching and Learning Vocabulary" Heinle & Heinle Publishers 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1 1.01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1 1.56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