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마음챙김 자기초점주의가 우울한 사람들의 정서인식명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정서인식명확성을 정서문항에 대한 응답시간(RT)으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619320
서울 : 서울대학교, 2017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교육상담전공 , 2017
2017
한국어
372.61 판사항(6)
371.4 판사항(23)
서울
v, 80 p. ; 26 cm
지도교수: 김창대
권말부록: 실험 참여자 모집용 설문 문항 등
참고문헌: p. 39-5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마음챙김 자기초점주의가 우울한 사람들의 정서인식명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정서인식명확성을 정서문항에 대한 응답시간(RT)으로...
본 연구는 마음챙김 자기초점주의가 우울한 사람들의 정서인식명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정서인식명확성을 정서문항에 대한 응답시간(RT)으로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자기보고가 아닌 행동지표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참여를 신청한 148명 중에서 우울 기준을 충족하는 59명을 선발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57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실험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실험 참여자들은 정서 상태 및 정서문항에 대한 RT 기저선을 측정하는 컴퓨터 설문 프로그램에 응답했다. 설문 응답 후 분노유발을 위한 글쓰기 과제를 하였고, 곧이어 분노 조작 확인을 위해 분노를 측정하는 설문에 응답하였다. 이 후 두 개의 집단으로 무선배정 되어 각 집단별로 마음챙김 자기초점주의 지시와 통제 지시에 응했다. 마지막으로 실험 참여자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정서에 대한 문항에 응답했고, 이 때에 정서 상태 및 정서문항에 대한 RT가 측정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집단별 사전 동질성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고, 정서인식명확성(RT)에 대한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고 처치의 통계적 유의성과 효과크기를 확인하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정서문항에 대한 참여자들의 사전 RT 기저선을 통제하고도 통제 집단에 비해 마음챙김 자기초점주의 집단의 정서인식명확성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마음챙김 자기초점주의가 우울한 사람들의 정서인식명확성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마음챙김 자기초점주의를 돕는 단회적인 실험처치가 우울한 사람들의 정서인식명확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마음챙김 자기초점주의가 우울한 사람들의 정서인식명확성을 돕는 전략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서인식명확성을 행동지표를 통해 측정하여 자기보고식 측정방법의 한계를 보완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