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령기 후기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미술활동을 적용한 의미요법 기반 자아정체감 증진 프로그램(Logotherapy based Ego-identity Improvement Program through Group-art Activity: 이하 LEIGA)을 개발하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령기 후기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미술활동을 적용한 의미요법 기반 자아정체감 증진 프로그램(Logotherapy based Ego-identity Improvement Program through Group-art Activity: 이하 LEIGA)을 개발하고 ...
본 연구는 학령기 후기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미술활동을 적용한 의미요법 기반 자아정체감 증진 프로그램(Logotherapy based Ego-identity Improvement Program through Group-art Activity: 이하 LEIGA)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간호 이론개발 전략 중 개념 합성을 사용하여 의미요법의 주요개념과 자아정체감 하위 요소를 토대로 이론적 기틀을 설정하였다. LEIGA는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 따라 개발되었다. 요구도 조사 결과와 문헌고찰 그리고 지역아동센터 운영자 및 아동과의 면담 결과를 반영하여 목적과 목표 및 회기별 목표와 프로그램 전략을 수립하였고, 예비조사와 전문가 평가 단계를 거쳐 1회당 40분의 총 12회기 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pre-post test design)를 이용하여 자아정체감, 삶의 의미, 학업 스트레스,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과 수도권에 위치한 S시, N시와 P시 소재 7개 지역아동센터 4-6학년 아동 중 센터장과 부모의 동의 후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자로, 실험군 37명과 대조군 33명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32 version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사는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분석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 간의 차이 검증은 x²-test로 검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동질성과 프로그램의 효과는 x²-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Repeated measure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자아정체감, 삶의 의미, 학업 스트레스, 스트레스 증상은 사전, 사후, 중재 3주 후에 평가하였다. 실험군의 자아정체감(F=23.42, p<.001), 삶의 의미(F=27.82, p<.001), 학업 스트레스(F=14.14, p<.001), 스트레스 증상(F=15.52, p<.001)은 측정 시기와 집단의 상호 교호작용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실험군의 자아정체감(사전-사후 t=4.78, p<.001, 사후-추후 t=-6.78, p<.001, 사전-추후 t=3.31, p=.002), 삶의 의미(사전-사후 t=5.90, p<.001, 사후-추후 t=-6.67, p<.001, 사전-추후 t=4.37, p<.001), 학업 스트레스(사전-사후 t=-4.11, p<.001, 사후-추후 t=5.64, p<.001, 사전-추후 t=-3.06, p=.004), 스트레스 증상(사전-사후 t=-4.91, p<.001, 사후-추후 t=5.18, p<.001, 사전-추후 t=-3.83, p=.001)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집단미술활동을 적용한 의미요법 기반 자아정체감 증진 프로그램은 학령기 후기 아동의 삶의 의미를 높이고 학업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증상을 감소시킴으로써 자아정체감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지역사회에서 학령기 후기 아동의 자아정체감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