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도권청소년성매매의공간패턴에관한연구: 탐색적 공간자료 분석의 활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patial Pattern of Juvenile prostitu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Based on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664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an exploratory study on spatial pattern of juvenile prostitution using GIS space analysis technique by relating it to physical features of the region. For actual analysis, data on numbers of juvenile prostituti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an exploratory study on spatial pattern of juvenile prostitution using GIS space analysis technique by relating it to physical features of the region. For actual analysis, data on numbers of juvenile prostitution collected by counti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is used which is an official statistics. Also, spatial pattern for hazardous environment variables data categorized by counties is used as well. Both data were studied using visualization through mapping the polygon data as well as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ESDA. By using spatial information data on accommodation of teenage runaway as well as the place for prostitution obtained through the survey on youth at risk,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juvenile prostitution in microscopic geographic unit can be seen as a point pattern analysis on point data. Especially, it is verified that an active space where actual runaway, misdeed and juvenile prostitution occur is the subway station in the region. The degree of relevance of actual juvenile prostitution to subway station is examined through buffer-zone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spatial gathering on juvenile prostitution is observed and spatial concentration of juvenile crime around Seoul, Incheon and Southwest of Seoul metropolitan area is appeared to be quite noticeable. Also, as a result of microscopic observation on cities in Seoul, Incheon and Kyeonggi region where the frequency of juvenile prostitution is the highest, spatial gathering is noticeable around subway stations. Based on this result, policy implications are obtained that claims the policies made by the authorities for controlling and regulating juvenile prostitution in future should base on precise and strict spatial analysis on target region where spatial concentration of juvenile prostitution stands ou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GIS의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수도권 청소년의 성매매 범죄의 공간패턴을 지역의 물리적 특성과 연관시켜서 탐색적으로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분석을 위하여 수...

      본 연구는 GIS의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수도권 청소년의 성매매 범죄의 공간패턴을 지역의 물리적 특성과 연관시켜서 탐색적으로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분석을 위하여 수도권의 시군구 단위로 조사된 공식통계인 청소년성매매 검거건수 자료와 시군구별 범죄 유해 환경 변수 자료들의 공간적 패턴을 면자료(polygon data)에 대한 지도그리기를 통한 시각화와 탐색적 공간자료분석(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ESDA)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위기 청소년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가출시 거처 장소와 성매매피해 장소에 대한 공간정보 자료를 이용하여 미시적 공간 단위에서 청소년 성매매가 지리적으로 어떤 분포를 보여주고 있는지 점자료(point data)에 대한 점자료분석(point pattern analysis)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특히 위기 청소년들의 구체적인 가출, 비행, 성매매범죄 등이 발생하는 활동 공간이 지역 내 지하철역인 점을 확인하고 구체적으로 청소년 성매매 범죄의 발생이 지하철역과 어느 정도의 연관성이 있는지를 영향권분석(buffer-zone analysis)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청소년 성매매 범죄의 공간적 군집성이 확인되었으며 서울을 중심으로 인천 및 수도권 남서 지역에서 청소년 성매매 범죄의 공간적 집중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서 청소년 성매매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도시를 미시적으로 살펴본 결과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공간적 군집이 뚜렷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청소년 성매매를 통제 및 관리하기 위한 당국의 대책들이 청소년 성매매의 공간적 집중이 두드러진 정책 대상 지역에 대한 정확하고 엄밀한 공간분석에 기초해야 한다는 정책적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원, "청소년 성매매의 현황 및 특징에 대한 분석: 2000년대 이전과 이후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8 (18): 301-327, 2011

      2 박은정, "청소년 성매매의 법률적 규제와 문제점" 3 (3): 59-69, 2011

      3 최인섭, "지역특성과 범죄발생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9

      4 이주영, "재가출 경험을 통해 본 십대 가출여성의 정체성 연구" 서강대학교 2007

      5 성윤숙, "여자청소년의 인터넷성매매 실태와 대응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6 홍봉선, "성매수 피해청소년의 현황과 사회적 지원체계 점검" 보건복지가족부 2009

      7 박형민,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 설계(CPTED)의 제도화 방안(II). ""연구총서" 2009 (2009): 27-405, 2009

      8 이현희, "범죄발생률의 지역별 차이에 관한 연구 : 사회해체이론과 일상활동/기회이론의 통합모델을 적용하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4

      9 오윤자, "다문화중도입국자녀의 부모-자녀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매뉴얼" 여성가족부 전국다문화가족사업지원단/외환은행 2011

      10 정경석, "공간범죄통합분석모형을 이용한 도시범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및 영향요인 분석"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1 김혜원, "청소년 성매매의 현황 및 특징에 대한 분석: 2000년대 이전과 이후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8 (18): 301-327, 2011

      2 박은정, "청소년 성매매의 법률적 규제와 문제점" 3 (3): 59-69, 2011

      3 최인섭, "지역특성과 범죄발생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9

      4 이주영, "재가출 경험을 통해 본 십대 가출여성의 정체성 연구" 서강대학교 2007

      5 성윤숙, "여자청소년의 인터넷성매매 실태와 대응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6 홍봉선, "성매수 피해청소년의 현황과 사회적 지원체계 점검" 보건복지가족부 2009

      7 박형민,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 설계(CPTED)의 제도화 방안(II). ""연구총서" 2009 (2009): 27-405, 2009

      8 이현희, "범죄발생률의 지역별 차이에 관한 연구 : 사회해체이론과 일상활동/기회이론의 통합모델을 적용하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4

      9 오윤자, "다문화중도입국자녀의 부모-자녀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매뉴얼" 여성가족부 전국다문화가족사업지원단/외환은행 2011

      10 정경석, "공간범죄통합분석모형을 이용한 도시범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및 영향요인 분석"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11 정혜원, "가출 청소년 성매매 유입예방 및 지원방안(II): 가출 청소년 성매매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 한국여성인권진흥원 2011

      12 Messner, Dirk, "The Two Network Societies" 28 (28): 615-628, 1999

      13 Skogan, Wesley G., "The Police and Public in England and Wales : A British Crime Survey Report" 117 : 1990

      14 Wilson, James Q., "The Police and Neighborhood Safety : Broken Windows" 127 : 28-38, 1982

      15 Wirth, Louis., "The Ghett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28

      16 Park, Robert E, "The Ci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25

      17 Anselin, Luc, "Spatial Econometrics: Methods and Models" Kluwer Academic 1988

      18 Cliff, Andrew D., "Spatial Autocorrelation" Pion 1973

      19 Cohen, Lawrence E., "Social Change and Crime Rate Trends : A Routine Activity Approach" 44 : 588-608, 1979

      20 Morenoff, Jeffrey D, "Neighborhood Inequality, Collective Efficacy, and The Spatial Dynamics of Urban Violence" 39 (39): 517-558, 2001

      21 Anselin, Luc,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LISA" 27 (27): 93-115, 1995

      22 Shaw, Clifford R., "Juvenile Delinquency and Urban Areas: A Study of Rates of Delinquency in Relation to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ies in American Citi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2

      23 Jensen, Gary F, "Gender, lifestyles, and victimization: Beyond routine activities" 1 (1): 85-99, 1986

      24 황선영, "GIS를 활용한 범죄의 공간패턴 분석 : 주거침입절도를 사례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25 김영표, "GIS기반 공간분석방법 개발 연구" 국토연구원 2003

      26 Sampson, Robert J., "Collective Efficacy Theory: Lessons Learned and Directions for Future Inquiry, In Taking stock: The Status of Criminological Theory" Transaction Publishers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Criminological Associ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1 1.31 1.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2 1.1 1.51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