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시대 교장(敎藏)의 일본 교류와 유통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736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고려 교장 결집 및 DB구축사업을 통해 조사한 한 · 중 · 일의 장소 가운데 고려 교장의 일본 불교계 교류와 유통에 대하여 분석한 것이다. 본고에서 활용한 자료는 조사보고인『신편...

      본고는 고려 교장 결집 및 DB구축사업을 통해 조사한 한 · 중 · 일의 장소 가운데 고려 교장의 일본 불교계 교류와 유통에 대하여 분석한 것이다. 본고에서 활용한 자료는 조사보고인『신편제종교장총록 : 수록문헌 총람』이며, 이 총람의 자료를 중심으로 일본 불교계에 유통되어 활용된 장소의 자료를 정리하고, 그 현상을 살펴보았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코자 한다.
      고려 교장의 일본 교류와 유통을 살펴보면, 고려와 일본은 공식적인 국교없이 주로 송상을 매개로 불교 교류가 이루어졌다. 고려 교장의 일본 전래의 특징은 대재부를 통한 송상 중개의 장소 교류였고, 전래 기록상으로는 1097년에 『아미타경통찬소』등 법상종 장소류, 1103년 흥왕사 간행 교장 원간본 『화엄경수소연의초』의 필사, 1105년 『석마하연론통현초』와 『석마하연론찬현소』등 밀교 장소류, 1120년의 『홍찬법화전』등 불전 100여 권의 교류가 확인된다. 한편, 고려 교장의 송 중간본이 1140년을 전후하여 의화에 의해 간행되었고, 이러한 송나라 간행 장소류는 1254년 고잔지에서 송판대장경과 함께 수입되어 활용되었으며, 그 일부가 현전한다.
      고려 교장의 일본 유통의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전래 경로에 있어, 고려 교장이 직접 전래된 사례와 고려 교장이 송으로 전래되어 송나라에서 중간된 판본이 일본으로 전래된 사례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고려 교장은 그 중요성 때문에 간사의 형태로 원본과 함께 14세기말까지 지속적으로 유통되었다. 둘째, 동아시아의 제국이 장소를 수입할 때 고려, 송, 일본등은 각국에 없는 장소를 중심으로 자국에 보충하려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고려교장의 동아시아 유통은 한문불교문화권에 있어 일방적 방향성을 갖는 것이 아닌 상호교류의 관점을 제시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the result of research on the Buddhist commentaries (敎藏) of Korea, China, and Japan through Goryeo-gyojang (高麗敎藏) gatherings and the DB construction project.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Goryeo-gyojangs exchange and dis...

      This paper is the result of research on the Buddhist commentaries (敎藏) of Korea, China, and Japan through Goryeo-gyojang (高麗敎藏) gatherings and the DB construction project.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Goryeo-gyojangs exchange and distribution of Goryeogyojang in Japan during the Goryeo Dynasty of Japanese Buddhists.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Goryeo and Japan exchanged Buddhism mainly through Songshang (宋商) without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 Goryeo-gyojangs (高麗敎藏) introduction and distribution to Japanese tradition are divided into four parts. The contents of the distribution are exchanges of Hosso-shu (法相宗) commentaries such as Amituojing-tongzanshu (阿彌陀經通贊疏) in 1096, manuscripts from Huayanjing-Suishuyanyichao (華嚴經隨疏演義鈔) in 1103, esoteric commentaries such as Shi moheyanlun-tongxuanchao (釈摩訶衍論通玄鈔) in 1105, and commentaries such as HongChan-Beophwajeon (弘贊法華傳) in 1120. However, the Song Dynasty version (宋刊本) of Goryeo-gyojang was imported and used in Japans GosanJI Temple (高山寺) in 1254.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gyojangs distribution in Japan are divided into those brought directly from Goryeo and the import of the Song Dynasty version (宋刊本) of Goryeogyojang. When countries in East Asia import Gyojang, each country can see the tendency to supplement Gyojang since it is not produced in its own country. In particular, the distribution of Goryeo-Gyojang in East Asia can provide a perspective of mutual, and not one-sided, exchan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요약
      • 1. 머리말
      • 2. 고려 교장의 일본 교류와 유통
      • 3. 고려 교장 송 중간본의 일본 교류와 유통
      • 4. 맺음말
      • 한글요약
      • 1. 머리말
      • 2. 고려 교장의 일본 교류와 유통
      • 3. 고려 교장 송 중간본의 일본 교류와 유통
      • 4.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大屋德城, "高麗續藏雕造攷" 便利堂 1937

      2 "韓國金石全文 中世下" 亞細亞文化社 1984

      3 "韓佛全"

      4 "阿彌陀經通贊疏"

      5 朴銀英, "遼代 鮮演의 『華嚴經談玄決擇記』의 연구와 역주"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7

      6 "貞元新譯華嚴經疏"

      7 黒板勝美, "真福寺善本目録. 続輯" 黑板勝美 1936

      8 大屋德成, "永樂刊經史" 內外出版 1925

      9 "東域傳燈目錄"

      10 "新編諸宗教藏總錄"

      1 大屋德城, "高麗續藏雕造攷" 便利堂 1937

      2 "韓國金石全文 中世下" 亞細亞文化社 1984

      3 "韓佛全"

      4 "阿彌陀經通贊疏"

      5 朴銀英, "遼代 鮮演의 『華嚴經談玄決擇記』의 연구와 역주"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7

      6 "貞元新譯華嚴經疏"

      7 黒板勝美, "真福寺善本目録. 続輯" 黑板勝美 1936

      8 大屋德成, "永樂刊經史" 內外出版 1925

      9 "東域傳燈目錄"

      10 "新編諸宗教藏總錄"

      11 교장프로젝트팀, "新編諸宗敎藏總錄 : 收錄文獻 總覽 [1] ․ [2]" 고려대장경연구소출판부 2019

      12 "弘贊法華傳"

      13 "對外關係史總合年表" 吉川弘文館 1999

      14 남권희, "天台· 法華 章疏의 刊行과 流通" 고려대장경연구소 30-33, 2015

      15 "大覺國師文集"

      16 "大正藏"

      17 "大方廣佛華嚴經談玄決擇"

      18 "圓覺經大疏釋義鈔"

      19 "卍新續藏"

      20 남권희, "13세기 天台宗 관련 高麗佛經 3종의 書誌的 考察 : 圓覺類解, 法華文句幷記節要" 한국서지학회 19 : 43-,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9-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 Buddhist Culture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Buddhist Research Institute ->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55 1.31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