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집단미술치료가 편마비노인의 우울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 A study of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and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of hemiplegic elderly pati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6146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D시에 소재한 S노인전문요양원에 입소해있는 편마비노인 4명을 대상으로 2008년 5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주1회 50분간 20회기에 걸쳐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가 편마비노인의 우울을 낮추고, 자아존중감을 향상 시키는데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편마비노인의 우울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편마비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다.
      집단미술치료가 편마비노인의 우울감소와 자아존중감향상에 미치는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연구도구로 우울은 Sheick와 Yesavage(1986)가 개발한 노인 우울 척도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조맹제 외 (1990)가 표준화한 노인 우울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아존중감은 Rosenberg(1973)가 개발한 것을 전병재(1974)가 한국어로 번안한 자아존중감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사전과 사후에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의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에 편마비노인의 우울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평균점수가 사전에는 0.65이었으나 사후에는 0.42로 나온 것으로 보아 우울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자료처리결과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왔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한 후에 편마비 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평균점수가 사전에 2.93이었으나 사후에는 3.65로 증가하여 p<.05수준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위의 결과로 보아 집단미술치료가 편마비노인의 우울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D시에 소재한 S노인전문요양원에 입소해있는 편마비노인 4명을 대상으로 2008년 5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주1회 50분간 20회기에 걸쳐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본 연구는 D시에 소재한 S노인전문요양원에 입소해있는 편마비노인 4명을 대상으로 2008년 5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주1회 50분간 20회기에 걸쳐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가 편마비노인의 우울을 낮추고, 자아존중감을 향상 시키는데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편마비노인의 우울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편마비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다.
      집단미술치료가 편마비노인의 우울감소와 자아존중감향상에 미치는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연구도구로 우울은 Sheick와 Yesavage(1986)가 개발한 노인 우울 척도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조맹제 외 (1990)가 표준화한 노인 우울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아존중감은 Rosenberg(1973)가 개발한 것을 전병재(1974)가 한국어로 번안한 자아존중감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사전과 사후에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의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에 편마비노인의 우울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평균점수가 사전에는 0.65이었으나 사후에는 0.42로 나온 것으로 보아 우울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자료처리결과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왔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한 후에 편마비 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평균점수가 사전에 2.93이었으나 사후에는 3.65로 증가하여 p<.05수준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위의 결과로 보아 집단미술치료가 편마비노인의 우울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20 times, for 50 minutes once a week from May of 2008 to October of 2008 on four hemiplegic elderly patients in S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at effects group art therapy has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and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of hemiplegic elderly patients.
      The following research points are set up. First, to check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of hemiplegic elderly patients. Second, to check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of hemiplegic elderly patients.
      To find out the effects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the measure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 the one devised by Sheick and Yesavage (1986) and later standardized by Cho Mang Jae, at all (1990) - was used. And in the case of th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the measure of self-esteem - the one devised by Rosenberg (1973) and later adapted into Korean by Jeon Byung Jae (1974) - was used. The two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data collected after the analysis, the mean points are 0.65 (before) and 0.42 (after), which means that group art therap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But the resul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ccording to the data collected after the analysis, the mean points are 2.93 (before) and 3.65 (after), which means that group art therap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of hemiplegic elderly patients in the level of p<.05.
      The above results show that group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and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of hemiplegic elderly patients.
      번역하기

      In this study,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20 times, for 50 minutes once a week from May of 2008 to October of 2008 on four hemiplegic elderly patients in S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at...

      In this study,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20 times, for 50 minutes once a week from May of 2008 to October of 2008 on four hemiplegic elderly patients in S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at effects group art therapy has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and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of hemiplegic elderly patients.
      The following research points are set up. First, to check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of hemiplegic elderly patients. Second, to check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of hemiplegic elderly patients.
      To find out the effects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the measure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 the one devised by Sheick and Yesavage (1986) and later standardized by Cho Mang Jae, at all (1990) - was used. And in the case of th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the measure of self-esteem - the one devised by Rosenberg (1973) and later adapted into Korean by Jeon Byung Jae (1974) - was used. The two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data collected after the analysis, the mean points are 0.65 (before) and 0.42 (after), which means that group art therap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But the resul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ccording to the data collected after the analysis, the mean points are 2.93 (before) and 3.65 (after), which means that group art therap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of hemiplegic elderly patients in the level of p<.05.
      The above results show that group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and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of hemiplegic elderly pati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5
      • 3. 용어 정리 = 5
      • 가. 편마비노인 = 5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5
      • 3. 용어 정리 = 5
      • 가. 편마비노인 = 5
      • 나. 우울 = 5
      • 다. 자아존중감 = 5
      • Ⅱ. 이론적 배경 = 6
      • 1. 편마비노인 = 6
      • 2. 우울 = 10
      • 3. 자아존중감 = 13
      • 4. 집단미술치료 = 16
      • Ⅲ. 연구방법 = 20
      • 1. 연구대상 = 20
      • 2. 연구도구 = 21
      • 가. 우울척도 = 21
      • 나. 자아존중감 척도 = 22
      • 3. 연구 절차 = 22
      • 가. 연구기간 및 장소 = 22
      • 나. 연구진행과정 = 23
      • 4.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 23
      • 가. 단계별 목표 = 24
      • 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 25
      • 5. 자료처리 = 28
      • Ⅳ. 연구결과 및 분석 = 29
      • 1. 우울척도 = 29
      • 가. 전체 우울의 변화 = 29
      • 나. 개인별 우울의 변화 = 30
      • 다. 우울척도의 기준에 분포 = 31
      • 2. 자아존중감척도 = 33
      • 가. 전체 자아존중감의 변화 = 33
      • 나. 개인별 자아존중감의 변화 = 34
      • 3.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진행에 의한 질적 분석 = 36
      • 가. 편마비노인의 회기별 활동내용 = 36
      • 나. 편마비노인의 단계별 개인행동변화 = 73
      • Ⅴ. 논의 = 77
      • Ⅵ. 결론 및 제언 = 80
      • 참고문헌 = 82
      • 부록 = 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