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안제승, "한국신무용사" 승리문화사 1984
2 안제승, "한국무용의 창작방향 모색: 재창조의 정의와 그 방향" 무용한국사 24-35, 1981
3 유인화, "춤과 그들: 부채춤 꽃봉오리 피우다"
4 정수웅, "최승희: 격동의 시대를 살다간 어느 무용가의 생애와 예술" 눈빛 2004
5 안제승, "전통과 재창조의 관계" 예술원 28 : 132-141, 1984
6 김선주, "이야기여성사(2)" 여성신문사 2000
7 김경애, "우리 무용 100년" 현암사 2001
8 안제승, "예의 본명과 원형승계의 논리" 예술원 33 : 100-132, 1994
9 안제승, "신무용의 본질과 요람기가 남긴 영향" 세기사 1972
10 안제승, "신무용 타당성 논고" 경희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6 : 221-2387, 1978
1 안제승, "한국신무용사" 승리문화사 1984
2 안제승, "한국무용의 창작방향 모색: 재창조의 정의와 그 방향" 무용한국사 24-35, 1981
3 유인화, "춤과 그들: 부채춤 꽃봉오리 피우다"
4 정수웅, "최승희: 격동의 시대를 살다간 어느 무용가의 생애와 예술" 눈빛 2004
5 안제승, "전통과 재창조의 관계" 예술원 28 : 132-141, 1984
6 김선주, "이야기여성사(2)" 여성신문사 2000
7 김경애, "우리 무용 100년" 현암사 2001
8 안제승, "예의 본명과 원형승계의 논리" 예술원 33 : 100-132, 1994
9 안제승, "신무용의 본질과 요람기가 남긴 영향" 세기사 1972
10 안제승, "신무용 타당성 논고" 경희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6 : 221-2387, 1978
11 안제승, "분단 이후의 이질화 성향과 동질성 회복을 위한 원리모색" 춤의 해’ 학술분과. 261-273, 1993
12 안제승, "보전과 현대화의 원리" 경희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5 : 109-117, 1977
13 안제승, "보전과 변용의 원리: 전통성과 무형문화재를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5 : 1-27, 1983
14 안제승, "무용학개론" 신원문화사 1992
15 안제승, "무용의 본질에서 본 신무용의 성격과 요람기의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1973
16 안제승, "무용예술의 개론적 고찰" 무용한국사 20-29, 1973
17 안제승, "무용"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 : 294-303, 1988
18 안제승, "맹아기의 신무용 고찰" 무용한국사 47 : 80-87, 1993
19 안제승, "맹아기의 신무용 고찰" 무용한국사 48 : 97-105, 1994
20 안제승, "맹아기의 신무용 고찰" 무용한국사 49 : 70-80, 1994
21 최승희, "나의 자서전" 이문당 1937
22 정진한, "김백봉 화관무의 조형에 관한 미적 분석"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23 안병주, "김백봉 부채춤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24 조택원, "가사호접" 서문당 1976
25 조동화, "新舞踊四○年,韓國演藝年鑑" 성영문화사 1962
26 안제승, "『허(虛)』 의 실상" 40-43, 1983
27 안제승, "Preservation & Deformer 논고" 무용한국사 40-48,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