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신무용 운동과 안제승의 역할 = Korean Modern Dance Movement andAhn, Jae-Seung's Contribu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451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life of dance theorist Ahn Je-seung, and the meaning and implication in his Korean New Dance Theory. Understanding Ahn Je-seung's New Dance theory, we should focus o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1) The theory concentrated interest on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principle of Korean New Dance Movement. 2)Ahn Je-seung considered prototype and tradition as the subjects of understanding and improvement rather than the subjects of rejection and denial. 3) The theory indicated the lack of effort to settle Korean Traditional Dance, insufficiency of prototype and uncertainty of genealogy of Korean dance, and inappropriate direction of modernization. Ahn Je-seung's Korean New Dance Theory provides the following implications: 1) The theory can be applied to the current status in the aspect of discussion on prototype and modification, tradition and creatio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Korean Dance. 2) From Ahn Je-seung's point of view, Korean New Dance Theory is not the following or copying of Japanese one but the fruits of critical investigation. 3) Ahn Je-seung's efforts and experiment are derived from his longing for Korean Dance's modernization which corresponds with the current trend and the taste of modern people.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life of dance theorist Ahn Je-seung, and the meaning and implication in his Korean New Dance Theory. Understanding Ahn Je-seung's New Dance theory, we should focus o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1) The theory concent...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life of dance theorist Ahn Je-seung, and the meaning and implication in his Korean New Dance Theory. Understanding Ahn Je-seung's New Dance theory, we should focus o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1) The theory concentrated interest on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principle of Korean New Dance Movement. 2)Ahn Je-seung considered prototype and tradition as the subjects of understanding and improvement rather than the subjects of rejection and denial. 3) The theory indicated the lack of effort to settle Korean Traditional Dance, insufficiency of prototype and uncertainty of genealogy of Korean dance, and inappropriate direction of modernization. Ahn Je-seung's Korean New Dance Theory provides the following implications: 1) The theory can be applied to the current status in the aspect of discussion on prototype and modification, tradition and creatio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Korean Dance. 2) From Ahn Je-seung's point of view, Korean New Dance Theory is not the following or copying of Japanese one but the fruits of critical investigation. 3) Ahn Je-seung's efforts and experiment are derived from his longing for Korean Dance's modernization which corresponds with the current trend and the taste of modern peop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무용이론가 안제승의 삶과 그의 한국 신무용론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와 시사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안제승의 신무용론을 이해함에 있어 세 가지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1) 한국 신무용 운동의 원리를 정초하는데 관심을 집중시켰다. 2) 안제승은 원형과 전통을 거부나 부정의 대상이 아니라 이해와 개량의 대상으로 보았다. 3) 한국 전통무용의 정립을 위한 노력의 부족, 한국 무용 원형의 허술함과 계보의 불투명, 그리고 현대화 방향의 부적절함에 대해 지적하였다. 안제승의 한국 신무용론은 다음과 같은 시사를 제공한다. 1) 한국 무용의 원형과 변형, 전통과 창조,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한 논의에 있어 안제승의 무용론은 우리의 현실에 밀착시킬 수 있는 선례다. 2) 안제승의 관점에서 한국 신무용론은 일본 신무용론의 답습, 모방이기보다는 비판적 검토의 성과이다. 3) 안제승의 고심과 실험의 바탕에는 현대의 조류와 현대인의 취향에 부합하는 한국 무용의 현대화를 향한 열망이 내포되어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무용이론가 안제승의 삶과 그의 한국 신무용론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와 시사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안제승의 신무용론을 이해함에 있어 세 가지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1) 한국 신...

      본 연구는 무용이론가 안제승의 삶과 그의 한국 신무용론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와 시사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안제승의 신무용론을 이해함에 있어 세 가지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1) 한국 신무용 운동의 원리를 정초하는데 관심을 집중시켰다. 2) 안제승은 원형과 전통을 거부나 부정의 대상이 아니라 이해와 개량의 대상으로 보았다. 3) 한국 전통무용의 정립을 위한 노력의 부족, 한국 무용 원형의 허술함과 계보의 불투명, 그리고 현대화 방향의 부적절함에 대해 지적하였다. 안제승의 한국 신무용론은 다음과 같은 시사를 제공한다. 1) 한국 무용의 원형과 변형, 전통과 창조,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한 논의에 있어 안제승의 무용론은 우리의 현실에 밀착시킬 수 있는 선례다. 2) 안제승의 관점에서 한국 신무용론은 일본 신무용론의 답습, 모방이기보다는 비판적 검토의 성과이다. 3) 안제승의 고심과 실험의 바탕에는 현대의 조류와 현대인의 취향에 부합하는 한국 무용의 현대화를 향한 열망이 내포되어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제승, "한국신무용사" 승리문화사 1984

      2 안제승, "한국무용의 창작방향 모색: 재창조의 정의와 그 방향" 무용한국사 24-35, 1981

      3 유인화, "춤과 그들: 부채춤 꽃봉오리 피우다"

      4 정수웅, "최승희: 격동의 시대를 살다간 어느 무용가의 생애와 예술" 눈빛 2004

      5 안제승, "전통과 재창조의 관계" 예술원 28 : 132-141, 1984

      6 김선주, "이야기여성사(2)" 여성신문사 2000

      7 김경애, "우리 무용 100년" 현암사 2001

      8 안제승, "예의 본명과 원형승계의 논리" 예술원 33 : 100-132, 1994

      9 안제승, "신무용의 본질과 요람기가 남긴 영향" 세기사 1972

      10 안제승, "신무용 타당성 논고" 경희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6 : 221-2387, 1978

      1 안제승, "한국신무용사" 승리문화사 1984

      2 안제승, "한국무용의 창작방향 모색: 재창조의 정의와 그 방향" 무용한국사 24-35, 1981

      3 유인화, "춤과 그들: 부채춤 꽃봉오리 피우다"

      4 정수웅, "최승희: 격동의 시대를 살다간 어느 무용가의 생애와 예술" 눈빛 2004

      5 안제승, "전통과 재창조의 관계" 예술원 28 : 132-141, 1984

      6 김선주, "이야기여성사(2)" 여성신문사 2000

      7 김경애, "우리 무용 100년" 현암사 2001

      8 안제승, "예의 본명과 원형승계의 논리" 예술원 33 : 100-132, 1994

      9 안제승, "신무용의 본질과 요람기가 남긴 영향" 세기사 1972

      10 안제승, "신무용 타당성 논고" 경희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6 : 221-2387, 1978

      11 안제승, "분단 이후의 이질화 성향과 동질성 회복을 위한 원리모색" 춤의 해’ 학술분과. 261-273, 1993

      12 안제승, "보전과 현대화의 원리" 경희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5 : 109-117, 1977

      13 안제승, "보전과 변용의 원리: 전통성과 무형문화재를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5 : 1-27, 1983

      14 안제승, "무용학개론" 신원문화사 1992

      15 안제승, "무용의 본질에서 본 신무용의 성격과 요람기의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1973

      16 안제승, "무용예술의 개론적 고찰" 무용한국사 20-29, 1973

      17 안제승, "무용"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 : 294-303, 1988

      18 안제승, "맹아기의 신무용 고찰" 무용한국사 47 : 80-87, 1993

      19 안제승, "맹아기의 신무용 고찰" 무용한국사 48 : 97-105, 1994

      20 안제승, "맹아기의 신무용 고찰" 무용한국사 49 : 70-80, 1994

      21 최승희, "나의 자서전" 이문당 1937

      22 정진한, "김백봉 화관무의 조형에 관한 미적 분석"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23 안병주, "김백봉 부채춤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24 조택원, "가사호접" 서문당 1976

      25 조동화, "新舞踊四○年,韓國演藝年鑑" 성영문화사 1962

      26 안제승, "『허(虛)』 의 실상" 40-43, 1983

      27 안제승, "Preservation & Deformer 논고" 무용한국사 40-48, 19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04-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and Martial Arts KCI등재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1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 Philosophy of Movement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and Martial Arts KCI등재
      2019-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3-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1.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6 0.947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