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실적공시예고와 주가급락위험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Notice on Disclosure and Stock Price Crash Ris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183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rior notice on disclosure of final earnings (referred to as “prior notice” hereafter), which was introduced in Korea in 2005, is a disclosure that gives advance notice of the earnings announcement date prior to the announcement of a...

      [Purpose] The prior notice on disclosure of final earnings (referred to as “prior notice” hereafter), which was introduced in Korea in 2005, is a disclosure that gives advance notice of the earnings announcement date prior to the announcement of a corporate financial result. Prior notice has been known to increase the salience of earnings disclosure through voluntary disclosure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 the interest of information users including investors, thereby increasing trading volume and volatility on the earnings disclosure date (Kang and Choi, 2017). On the other hand, stock price crash is a phenomenon in which a company’s stock price suddenly plummet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more opaque accounting information is, the higher the crash risk (Hutton et al., 2009). This study predicted that if the prior notice increase the investor's interest on profit information, managers will not hide bad news or provide opaque accounting information, so that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managers and information users will be alleviated. The relieving information asymmetry will also affect the stock price crash risk.
      [Methodology] In order to analyze this relation, this research set whether or not prior notice was used as a variable of interest and the crash risk was analyzed as a dependent variable.
      [Finding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rash risk is low for corporates that have announced the prior notice. This result was the same when measuring the crash risk with different variables. On the other hand, by analyzing the relation of time lag between the prior notice and the actual profit announcement date and the crash risk, it was confirmed that the time lag and the crash risk had a negative(-)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lag and the crash risk confirms that the prior notice has value as information and that an appropriate amount of time is required for information analysis.
      [Policy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evidence that the prior notice increases the salience of information, thereby improving th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management and investors. It also suggests that the financial authorities should be more proactive in introducing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s such as prior notice for the benefit of market participa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실적공시예고는 자발적 공시로서 이익공시일의 현저성을 높이는 동시에 정보이용자의 관심을 높여 이익공시일의 거래량과 변동성을 키운다(강나라와 최관, 2017). 한편, 주가급락...

      [연구목적] 실적공시예고는 자발적 공시로서 이익공시일의 현저성을 높이는 동시에 정보이용자의 관심을 높여 이익공시일의 거래량과 변동성을 키운다(강나라와 최관, 2017). 한편, 주가급락 또는 주가붕괴는 기업의 주가가 갑자기 급락하는 현상으로 경영자의 의도적인 부정적 정보 축적으로 인한 정보비대칭이 원인으로 지목된다(Jin and Myers, 2006). 또한 회계정보가불투명할수록 주가급락위험도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Hutton et al., 2009). 본 연구는 실적공시예고가 정보이용자의 이익정보에 대한 관심을 높이면, 경영자가 부정적 정보를 감추거나불투명한 회계정보를 제공할 수 없게 되어 경영자와 정보이용자의 정보비대칭성은 완화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즉, 실적공시예고를 통한 이익정보의 현저성 상승은 정보비대칭성의 완화를가져오고 결국 주가급럭위험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실적공시예고 여부를 관심변수로 하고 주가급락위험을 종속변수로 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 상장기업의 재무데이터를 분석하고, 관심변수인 실적공시예고 여부는 수작업으로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실증분석 결과, 실적공시예고 공시 여부와 주가급락위험은 음(-)의 관계를 보였다. 추가적으로 실적공시예고와 실제 이익공시일과의 보고시차와 주가붕괴위험의 관계를 분석하여 보고시차와 주가급락위험이 음(-)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보고시차와 주가급락위험의 관계는 실적예고공시가 정보로서 가치를 가지며 정보이용자가 정보 해석을 위해 적절한 시간이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정책적 시사점] 이상의 연구결과는 실적공시예고 제도가 정보의 현저성을 높이고 이를 통해경영자와 정보이용자간의 정보비대칭성을 개선시킨다는 근거가 된다. 그러므로 시장참여자를 위해 금융당국이 실적예고공시 제도를 적극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실적예고공시에서 확장하여 공시를 사전적으로 알려주는 안내공시의 확대 필요성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도 제기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