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소유통업 육성에 관한 법률안」 제정에 관한 소고 = A Review on the Enactment of 「A Bill on the Development of Small and Medium Distribution Indus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954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istribution Industry Development Act」 was enacted following the liberalization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in 1996 to prevent large retailers from collapsing local commercial districts such as traditional markets and to promote balanced dev...

      The 「Distribution Industry Development Act」 was enacted following the liberalization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in 1996 to prevent large retailers from collapsing local commercial districts such as traditional markets and to promote balanced development. However, to protect small business owners and local commercial districts, the Distribution Industry Act has been repeatedly amended in a way of strengthening regulations to the point where the purpose and name of the legislation are overshadowed, such as restrictions on business hours of large marts, mandatory holidays, and bans on online sales activities. There are conflicting opinions on such regulatory effects, and in the future, it is pointed out that laws and systems are necessary to actively support the small and medium-sized distribution industry and lay the foundation for growth by getting out of the one-sided regulatory method.
      In addition, small and medium-sized distribution companies such as small business owners and small distribution businesses, account for the majority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so win-win cooperation between large companies and SMEs is a very important task. The main legal role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Development Act」 was to promote the industry centered on large companies, but now, it is the time for a transition to win-win cooperation between large and small distribution companies.
      Accordingly, to develop the small and medium-sized distribution industry and improve its competitiveness, independent of the existing 「Distribution Industry Development Act」,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enact 「A Bill on the Development of Small and Medium Distribution Industry」 with comprehensive regulations to protect and foster small and medium-sized distribution merchants, as a law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Henc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reasonable legislative direction with an analysis of the feasibility of enacting the 「Act on the Development of Small and Medium Distribution Industry」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mall and medium distribution compan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유통산업발전법」은 1996년 유통산업 자유화조치 이후 대형유통업체들로 인한 전통시장 등 지역상권의 붕괴를 막고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그러나 소상공인과 ...

      「유통산업발전법」은 1996년 유통산업 자유화조치 이후 대형유통업체들로 인한 전통시장 등 지역상권의 붕괴를 막고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그러나 소상공인과 지역상권 보호를 위해 대형마트 영업제한시간・의무휴업일, 온라인 판매 활동 금지 등 제정 취지와 명칭이 무색하리 만큼 규제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개정을 거듭해왔다. 이러한 규제 효과에 대해서는 상반된 의견이 존재하며 향후에는 규제 일변도의 방식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중소유통업을 지원하고 성장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제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더욱이 유통산업은 소상공인과 소기업 등 중소유통기업들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대기업・중소기업 간 상생협력은 매우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유통산업발전법」의 주된 법적 역할이 대기업 중심의 산업진흥이었다면, 지금은 대・중소유통기업 간 상생협력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때이다.
      따라서 중소유통업의 발전과 경쟁력 향상을 위해 정부는 기존의 「유통산업발전법」과는 별도로 중소유통상인 보호・육성을 위한 종합적인 내용을 담은 「중소유통업 육성에 관한 법률(안)」을 중기부 소관법으로 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중소유통기업의 성장・발전을 위한 「중소유통업 육성법」제정에 관한 타당성을 분석하여 합리적인 입법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