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당귀·단삼·치자 복합물의 혈행 개선 효능 =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effect of Angelicae gigantis radix, Salviae miltiorrhizae radix and Gardeniae fructus complex extra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82077

      • 저자
      • 발행사항

        완주군 : 又石大學校,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又石大學校 大學院 , 韓醫學科 方劑學專攻 , 2020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19.861 판사항(6)

      • DDC

        615.32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ix, 59장 :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홍준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우석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ematologic improvement effects of the Angelicae gigantis Radix, Salviae miltiorrhizae Radix and Gardeniae Fructus complex extract confirm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ngelicae gigantis Radix, Salviae miltiorrhizae Radix and Gardeniae Fructus complex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y when compared with EGCG and effectively inhibited oxidation of human LDL induced by Cu2+.
      2. Angelicae gigantis Radix, Salviae miltiorrhizae Radix and Gardeniae Fructus complex showed thrombolytic activ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3. Angelicae gigantis Radix, Salviae miltiorrhizae Radix and Gardeniae Fructus complex inhibited the expression of cell adhesion proteins ICAM-1 and VCAM-1, and also inhibited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factors COX-2, 5-LOX and CRP.
      4. Angelicae gigantis Radix, Salviae miltiorrhizae Radix and Gardeniae Fructus complex reduced the levels of triglyceride (TG), cholesterol (total-cholestreol) and LDL in animal models induced by high cholesterol diet, I could confirm it. This reduction resulted in a reduction in the atherosclerotic risk index (AI). This may be due to the inhibition of H㎎-CoA reductase involved in cholesterol biosynthesis.
      5. Angelicae gigantis Radix, Salviae miltiorrhizae Radix and Gardeniae Fructus complex, inhibited ACE to induce blood vessel relaxation, and inhibited the production of TXB2, inhibiting blood coagulation and blood vessel contraction.
      번역하기

      The hematologic improvement effects of the Angelicae gigantis Radix, Salviae miltiorrhizae Radix and Gardeniae Fructus complex extract confirm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ngelicae gigantis Radix, Salviae miltiorrhizae Radix and Gardeniae Fruc...

      The hematologic improvement effects of the Angelicae gigantis Radix, Salviae miltiorrhizae Radix and Gardeniae Fructus complex extract confirm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ngelicae gigantis Radix, Salviae miltiorrhizae Radix and Gardeniae Fructus complex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y when compared with EGCG and effectively inhibited oxidation of human LDL induced by Cu2+.
      2. Angelicae gigantis Radix, Salviae miltiorrhizae Radix and Gardeniae Fructus complex showed thrombolytic activ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3. Angelicae gigantis Radix, Salviae miltiorrhizae Radix and Gardeniae Fructus complex inhibited the expression of cell adhesion proteins ICAM-1 and VCAM-1, and also inhibited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factors COX-2, 5-LOX and CRP.
      4. Angelicae gigantis Radix, Salviae miltiorrhizae Radix and Gardeniae Fructus complex reduced the levels of triglyceride (TG), cholesterol (total-cholestreol) and LDL in animal models induced by high cholesterol diet, I could confirm it. This reduction resulted in a reduction in the atherosclerotic risk index (AI). This may be due to the inhibition of H㎎-CoA reductase involved in cholesterol biosynthesis.
      5. Angelicae gigantis Radix, Salviae miltiorrhizae Radix and Gardeniae Fructus complex, inhibited ACE to induce blood vessel relaxation, and inhibited the production of TXB2, inhibiting blood coagulation and blood vessel contra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II. 실험 및 방법 6
      • 1. 시료의 제조 6
      • 2. In vitro assay 7
      • I. 서론 1
      • II. 실험 및 방법 6
      • 1. 시료의 제조 6
      • 2. In vitro assay 7
      • 2.1. 시약 및 기구 7
      • 2.2. DPPH 라디칼 소거능 7
      • 2.3.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8
      • 2.4. 세포 배양 8
      • 2.5. 세포 독성 측정 8
      • 2.6. 혈전(fibrin) 용해 활성 측정 9
      • 2.7. ICAM-1의 발현 억제능 측정 (ICC) 9
      • 2.8. COX-2의 활성 저해능 측정 10
      • 2.9. Human LDL 산화 억제능 측정 10
      • 2.10. H㎎-CoA 환원 효소 활성 저해능 측정 11
      • 2.11. ACE 효소 저해능 측정 11
      • 2.12. 통계분석 12
      • 3. In vivo assay 13
      • 3.1. 시약 및 기구 13
      • 3.2. 실험동물 13
      • 3.3. 고지혈증 동물모델 제작 13
      • 3.4. 혈장 분리 15
      • 3.5. 혈중 중성지방(TG) 측정 15
      • 3.6. 혈중 총콜레스테롤 측정 15
      • 3.7. 혈중 LDL-콜레스테롤 산출 15
      • 3.8. 동맥경화 위험도 지수(AI) 산출 16
      • 3.9. TXB2 생성 억제능 측정 16
      • 3.10. C-reactive protein 생성 억제능 측정 17
      • 3.11. 고지혈증 동물모델의 부검 17
      • 3.12. 통계분석 17
      • III. 결과 18
      • 1. 항산화 효능 18
      • 1.1. DPPH 라디칼 소거능 18
      • 1.2.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19
      • 2. In vitro assay 20
      • 2.1. 세포 독성 20
      • 2.2. 혈전(fibrin) 용해 활성 24
      • 2.3. ICAM-1의 발현 억제 효능 26
      • 2.4. VCAM-1의 발현 억제 효능 28
      • 2.5. COX-2의 발현 억제 효능 30
      • 2.6. 5-LOX의 발현 억제 효능 32
      • 2.7. COX-2의 활성 저해 효능 34
      • 2.8. Human LDL 산화 억제 효능 35
      • 2.9. H㎎-CoA 환원 효소 활성 저해 효능 36
      • 2.10. ACE 효소 저해 효능 39
      • 3. In vivo assay 41
      • 3.1. 혈중 중성지방(TG) 수치 개선 효능 41
      • 3.2. 혈중 총콜레스테롤 수치 개선 효능 42
      • 3.3. 혈중 LDL-콜레스테롤 수치 개선 효능 43
      • 3.4. 동맥경화 위험도 지수(AI) 개선 효능 44
      • 3.5. TBX2 생성 억제 효능 45
      • 3.6. C-reactive protein 생성 억제 효능 46
      • 3.7. 고지혈증 동물모델의 부검 47
      • IV. 고찰 49
      • V. 결론 53
      • 참고문헌 5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통계청, "2011년 사망원인 통계", 2012

      2 박용복, "콜레스테롤 대사와 관련 유전자의 발현조절", 한국 식품영양과학회 2000 년도 춘계 산업심포지움발표집. 3-6, 2000

      3 김동윤, 이지선, 이선동, 박영철, 김민희, "당귀 (Angelica sinensis) 의 임상활용에 대한 효능 및 부작용연구", null

      1 통계청, "2011년 사망원인 통계", 2012

      2 박용복, "콜레스테롤 대사와 관련 유전자의 발현조절", 한국 식품영양과학회 2000 년도 춘계 산업심포지움발표집. 3-6, 2000

      3 김동윤, 이지선, 이선동, 박영철, 김민희, "당귀 (Angelica sinensis) 의 임상활용에 대한 효능 및 부작용연구", null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