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System Dynamics 기법을 활용하여 선원인력의 원활한 수급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20년까지 선원인력 모델을 구축하여 분석한 결과, 지속적으로 선원인력이 감소하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711667
인천 :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2015
학위논문(석사) --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물류경영학과 해운항만 , 2015. 2
2015
한국어
System Dynamics ; 선원인력 ; 복지제도 ; 선원교육기관 ; 육상근로자
인천
75 ; 26 cm
지도교수: 여기태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System Dynamics 기법을 활용하여 선원인력의 원활한 수급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20년까지 선원인력 모델을 구축하여 분석한 결과, 지속적으로 선원인력이 감소하는...
본 연구는 System Dynamics 기법을 활용하여 선원인력의 원활한 수급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20년까지 선원인력 모델을 구축하여 분석한 결과, 지속적으로 선원인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활한 선원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기존 선원인력 확보 관련 선행연구 및 각종 매체를 통해 제시된 요인들 중 시계열 자료 확보가 가능한 임금, 복지제도, 선원교육기관, 육상근로자 임금을 사용하여 시나리오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나리오 분석결과, 선원교육기관을 통한 선원인력 확충 방안은 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원 복지 지원금액과 평균임금이 증가했을 경우 선원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육상임금이 증가할 경우 이직하는 선원 수가 증가하여 육상임금 대비 선원 임금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