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이 20대 중국인의 결혼관 및 연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watching dating reality programs on the marriage views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Chinese people in their 2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0847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dvances in media technology and the rapid growth of the OTT service market following the coronavirus pandemic have greatly increased the popularity of dating reality programs. These programs provide viewers with a sense of empathy by showcasing single men and women competing and revealing their charms in a shared space. Through this, viewers form their own perspectives on dating and marriage. In particular, these program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gender role awareness, reinforcing traditional gender roles or emphasizing modern gender equality. Men often take the lead while women assume passive roles, leading viewers to unconsciously internalize these gender roles. Additionally, watching dating reality programs significantly impacts viewers' psychological states and social interactions. By forming emotionally meaningful connections with the characters, viewers feel that the dating and marriage situations depicted in the programs are their own. While these quasi-social interactions can positively influence how viewers address their romantic problems, they can also lead to dissatisfaction when viewers compare their own relationships to the dramatic situations portrayed in the program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impact of watching dating programs on individuals' views of marriage and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s. It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gender role awareness, and social influence between watching dating programs and personal views on marriage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study explores whether there is a gender-based difference in the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degree of viewing dating reality programs and satisfaction with marriage and romantic relationships. The purpose is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production of dating programs and adult intimate relationships in modern society.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watching dating reality programs on views of marriage and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s. Two research hypotheses were proposed: first, that heavy viewers would have a more positive view of marriage compared to light viewers; and second, that heavy viewers would report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romantic relationships. The analysis revealed that heavy viewers of dating reality programs indeed had a more positive view of marriage an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romantic relationships than light viewers. In Research Question 1,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al characteristic variabl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atching dating reality programs and views on marriage. The results showed that watching these programs significantly influenced views on marriage, with attachment avoidance having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search Question 2, we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gender role awareness and social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atching dating reality programs and views on marriage. Both gender discrimination and gender equality perception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Social comparison also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while parasocial interac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Research Question 3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al characteristic variables between watching dating reality programs and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s. Here, attachment anxiety was not significant, but attachment avoida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search Question 4, we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gender role awareness and social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atching dating reality programs and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s. The perception of gender discrimination had a mediating effect, but the perception of gender equality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Social comparison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whereas parasocial interaction did not. Finally, in Research Questions 5 and 6, we explored the impact of watching dating reality programs on views of marriage and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s according to gender. Various mediating variables affected the male group, but did not appear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emale group.
      In conclusion, watching dating reality programs can positively impact an individual's view of marriage and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s. This effect is likely because these programs often depict an idealized married life, helping viewers form a positive perspective on marriage. First,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dating reality programs on viewers' views of marriage and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s effectively reflects cultural development theory. This theory posits that media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formation of human thoughts and ideas about the real world, and this was proven to be true for dating reality programs. It was confirmed that perso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play an important mediating role between watching these programs and forming views on marriage. Next, the importance of gender role awareness was emphasized. Media content plays a crucial role in forming and reinforcing awareness of gender roles. The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gender role education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by revealing the impact of this awareness on marriage views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particular, changes in women's roles and increased independence were found to be major factors in Chinese society. Lastly, through social comparison theory, it was understood that social comparison plays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of watching dating reality programs and forming views on marriage. However, the results showed that parasocial interactions, where viewers feel as if they are forming real human relationships with media characters,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the formation of views on marriage. This is like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reality programs and how they are perceived by viewer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watching dating reality programs plays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an individual's view of marriage, which can be further influenced by mediating variables such as gender role awareness and social comparison.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gender role education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laying the foundation for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dating reality programs on individuals' psychological mechanisms.

      Keywords: Dating reality program, Cultivation theory, Personal characteristics, Gender role awareness, Social influence, Views on marriage,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s
      번역하기

      Advances in media technology and the rapid growth of the OTT service market following the coronavirus pandemic have greatly increased the popularity of dating reality programs. These programs provide viewers with a sense of empathy by showcasing singl...

      Advances in media technology and the rapid growth of the OTT service market following the coronavirus pandemic have greatly increased the popularity of dating reality programs. These programs provide viewers with a sense of empathy by showcasing single men and women competing and revealing their charms in a shared space. Through this, viewers form their own perspectives on dating and marriage. In particular, these program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gender role awareness, reinforcing traditional gender roles or emphasizing modern gender equality. Men often take the lead while women assume passive roles, leading viewers to unconsciously internalize these gender roles. Additionally, watching dating reality programs significantly impacts viewers' psychological states and social interactions. By forming emotionally meaningful connections with the characters, viewers feel that the dating and marriage situations depicted in the programs are their own. While these quasi-social interactions can positively influence how viewers address their romantic problems, they can also lead to dissatisfaction when viewers compare their own relationships to the dramatic situations portrayed in the program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impact of watching dating programs on individuals' views of marriage and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s. It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gender role awareness, and social influence between watching dating programs and personal views on marriage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study explores whether there is a gender-based difference in the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degree of viewing dating reality programs and satisfaction with marriage and romantic relationships. The purpose is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production of dating programs and adult intimate relationships in modern society.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watching dating reality programs on views of marriage and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s. Two research hypotheses were proposed: first, that heavy viewers would have a more positive view of marriage compared to light viewers; and second, that heavy viewers would report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romantic relationships. The analysis revealed that heavy viewers of dating reality programs indeed had a more positive view of marriage an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romantic relationships than light viewers. In Research Question 1,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al characteristic variabl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atching dating reality programs and views on marriage. The results showed that watching these programs significantly influenced views on marriage, with attachment avoidance having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search Question 2, we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gender role awareness and social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atching dating reality programs and views on marriage. Both gender discrimination and gender equality perception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Social comparison also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while parasocial interac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Research Question 3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al characteristic variables between watching dating reality programs and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s. Here, attachment anxiety was not significant, but attachment avoida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search Question 4, we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gender role awareness and social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atching dating reality programs and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s. The perception of gender discrimination had a mediating effect, but the perception of gender equality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Social comparison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whereas parasocial interaction did not. Finally, in Research Questions 5 and 6, we explored the impact of watching dating reality programs on views of marriage and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s according to gender. Various mediating variables affected the male group, but did not appear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emale group.
      In conclusion, watching dating reality programs can positively impact an individual's view of marriage and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s. This effect is likely because these programs often depict an idealized married life, helping viewers form a positive perspective on marriage. First,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dating reality programs on viewers' views of marriage and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s effectively reflects cultural development theory. This theory posits that media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formation of human thoughts and ideas about the real world, and this was proven to be true for dating reality programs. It was confirmed that perso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play an important mediating role between watching these programs and forming views on marriage. Next, the importance of gender role awareness was emphasized. Media content plays a crucial role in forming and reinforcing awareness of gender roles. The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gender role education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by revealing the impact of this awareness on marriage views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particular, changes in women's roles and increased independence were found to be major factors in Chinese society. Lastly, through social comparison theory, it was understood that social comparison plays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of watching dating reality programs and forming views on marriage. However, the results showed that parasocial interactions, where viewers feel as if they are forming real human relationships with media characters,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the formation of views on marriage. This is like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reality programs and how they are perceived by viewer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watching dating reality programs plays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an individual's view of marriage, which can be further influenced by mediating variables such as gender role awareness and social comparison.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gender role education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laying the foundation for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dating reality programs on individuals' psychological mechanisms.

      Keywords: Dating reality program, Cultivation theory, Personal characteristics, Gender role awareness, Social influence, Views on marriage,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코로나 팬데믹 이후 OTT 서비스 시장의 급성장은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인기를 크게 높였다.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미혼 남녀가 한 공간에서 자신의 매력을 드러내고 경쟁하는 모습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공감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시청자들은 자신의 연애와 결혼관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전통적인 성역할을 강화하거나 현대적인 성평등을 강조하는 등 성역할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친다. 남성은 주도적이고 여성은 수동적인 역할을 맡는 경우가 많아 시청자들이 무의식적으로 이러한 성역할을 내면화하게 된다. 또한,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은 시청자들의 심리적 상태와 사회적 상호작용에 큰 영향을 미친다. 프로그램 속 인물들과 감정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형성하게 되면서 시청자들은 프로그램 속 연애와 결혼 상황을 실제 자신의 것처럼 느끼게 된다. 이러한 준 사회적 상호작용은 시청자들의 연애 문제 해결 방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때로는 프로그램 속 드라마틱한 상황과 자신의 연애를 비교하면서 불만족감을 느끼게 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연애 프로그램 시청이 개인의 결혼관 및 연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개인특성과 성역할 인식, 사회적 영향이 연애 프로그램 시청과 개인 결혼관 및 연애 관계 만족 사이에서 매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성별에 따른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 정도와 결혼관 및 연인관계 만족 사이에 매개 효과의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여 현대 사회에서의 연애 프로그램 제작과 성인 친밀관계에 대한 이해를 깊이 있게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이 결혼관과 연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가설로는 중시청자 집단이 경시청자 집단에 비해 긍정적인 결혼관과 연인관계 만족도를 가질 것이라는 두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중시청자 집단이 경시청자 집단보다 긍정적인 결혼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연인관계 만족도 역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1에서는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과 결혼관 사이에서 개인특성 변인이 어떤 매개 효과를 나타내는지 분석하였다. 결과는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이 결혼관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며, 애착 회피는 부분 매개 효과를 보였다. 연구문제2에서는 성역할 인식과 사회적 영향이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과 결혼관 사이에서 어떤 매개 효과를 나타내는지 분석하였다. 성차별적 인식과 성평등적 인식 모두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과 결혼관 사이에서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냈으며, 사회적 비교는 부분 매개 효과를 보였으나 준사회적 상호작용은 매개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연구문제3에서는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과 연인관계 만족도 사이에서 개인특성 변인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애착 불안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애착 회피는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연구문제4에서는 성역할 인식과 사회적 영향이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과 연인관계 만족 사이에서 어떤 매개 효과를 나타내는지 분석하였다. 성차별적 인식은 매개 효과를 보였으나 성평등적 인식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사회적 비교는 유의미한 매개 효과를 보였으나 준사회적 상호작용은 그렇지 않았다. 연구문제5, 6에서는 성별 그룹에 따라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이 결혼관 및 연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남성 그룹에서는 다양한 매개 변인이 영향을 미쳤으나 여성 그룹에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은 개인의 결혼관과 연인관계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프로그램이 이상적인 결혼생활을 묘사하여 시청자에게 긍정적인 결혼관을 형성하게 하기 때문임을 시사한다. 먼저,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시청자의 결혼관과 연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는 문화계발 이론을 통해 효과적으로 반영되었다. 특히, 미디어가 현실 세계에 대한 인간의 생각이나 관념 구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문화계발효과 이론의 주요 가정이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효과를 설명하는 데에도 유효하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와 같은 개인적 심리 특성이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과 결혼관 형성 사이에서 중요한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에는, 성역할 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미디어 콘텐츠가 성역할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고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나아가 이러한 인식이 결혼관과 연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성역할 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특히, 중국 사회에서 여성의 역할 변화와 독립성 증가가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비교 행위가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과 결혼관 형성 과정에서 중요한 매개역할을 한다는 점을 사회비교 이론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시청자가 미디어 속 인물들과 실제 인간관계를 맺는 것처럼 느끼는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결혼관 형성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특성과 시청자의 수용 방식에서 기인한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이 개인의 결혼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성역할 인식과 사회적 비교와 같은 매개 변인들을 통해 강화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 결과는 성역할 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개인의 심리적 메커니즘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주제어: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문화계발이론, 개인특성, 성열학 인식, 사회적 영향, 결혼관, 연인관계 만족도
      번역하기

      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코로나 팬데믹 이후 OTT 서비스 시장의 급성장은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인기를 크게 높였다.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미혼 남녀가 한 공간에서 자신의 매력을 드...

      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코로나 팬데믹 이후 OTT 서비스 시장의 급성장은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인기를 크게 높였다.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미혼 남녀가 한 공간에서 자신의 매력을 드러내고 경쟁하는 모습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공감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시청자들은 자신의 연애와 결혼관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전통적인 성역할을 강화하거나 현대적인 성평등을 강조하는 등 성역할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친다. 남성은 주도적이고 여성은 수동적인 역할을 맡는 경우가 많아 시청자들이 무의식적으로 이러한 성역할을 내면화하게 된다. 또한,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은 시청자들의 심리적 상태와 사회적 상호작용에 큰 영향을 미친다. 프로그램 속 인물들과 감정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형성하게 되면서 시청자들은 프로그램 속 연애와 결혼 상황을 실제 자신의 것처럼 느끼게 된다. 이러한 준 사회적 상호작용은 시청자들의 연애 문제 해결 방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때로는 프로그램 속 드라마틱한 상황과 자신의 연애를 비교하면서 불만족감을 느끼게 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연애 프로그램 시청이 개인의 결혼관 및 연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개인특성과 성역할 인식, 사회적 영향이 연애 프로그램 시청과 개인 결혼관 및 연애 관계 만족 사이에서 매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성별에 따른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 정도와 결혼관 및 연인관계 만족 사이에 매개 효과의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여 현대 사회에서의 연애 프로그램 제작과 성인 친밀관계에 대한 이해를 깊이 있게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이 결혼관과 연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가설로는 중시청자 집단이 경시청자 집단에 비해 긍정적인 결혼관과 연인관계 만족도를 가질 것이라는 두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중시청자 집단이 경시청자 집단보다 긍정적인 결혼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연인관계 만족도 역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1에서는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과 결혼관 사이에서 개인특성 변인이 어떤 매개 효과를 나타내는지 분석하였다. 결과는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이 결혼관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며, 애착 회피는 부분 매개 효과를 보였다. 연구문제2에서는 성역할 인식과 사회적 영향이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과 결혼관 사이에서 어떤 매개 효과를 나타내는지 분석하였다. 성차별적 인식과 성평등적 인식 모두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과 결혼관 사이에서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냈으며, 사회적 비교는 부분 매개 효과를 보였으나 준사회적 상호작용은 매개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연구문제3에서는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과 연인관계 만족도 사이에서 개인특성 변인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애착 불안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애착 회피는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연구문제4에서는 성역할 인식과 사회적 영향이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과 연인관계 만족 사이에서 어떤 매개 효과를 나타내는지 분석하였다. 성차별적 인식은 매개 효과를 보였으나 성평등적 인식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사회적 비교는 유의미한 매개 효과를 보였으나 준사회적 상호작용은 그렇지 않았다. 연구문제5, 6에서는 성별 그룹에 따라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이 결혼관 및 연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남성 그룹에서는 다양한 매개 변인이 영향을 미쳤으나 여성 그룹에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은 개인의 결혼관과 연인관계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프로그램이 이상적인 결혼생활을 묘사하여 시청자에게 긍정적인 결혼관을 형성하게 하기 때문임을 시사한다. 먼저,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시청자의 결혼관과 연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는 문화계발 이론을 통해 효과적으로 반영되었다. 특히, 미디어가 현실 세계에 대한 인간의 생각이나 관념 구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문화계발효과 이론의 주요 가정이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효과를 설명하는 데에도 유효하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와 같은 개인적 심리 특성이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과 결혼관 형성 사이에서 중요한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에는, 성역할 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미디어 콘텐츠가 성역할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고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나아가 이러한 인식이 결혼관과 연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성역할 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특히, 중국 사회에서 여성의 역할 변화와 독립성 증가가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비교 행위가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과 결혼관 형성 과정에서 중요한 매개역할을 한다는 점을 사회비교 이론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시청자가 미디어 속 인물들과 실제 인간관계를 맺는 것처럼 느끼는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결혼관 형성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특성과 시청자의 수용 방식에서 기인한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이 개인의 결혼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성역할 인식과 사회적 비교와 같은 매개 변인들을 통해 강화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 결과는 성역할 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개인의 심리적 메커니즘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주제어: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문화계발이론, 개인특성, 성열학 인식, 사회적 영향, 결혼관, 연인관계 만족도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지vi
      • 제1장 서론 1
      • 제1절 문제제기1
      • 제2절 연구목적 6
      • 제2장 이론적 배경 10
      • 국문 요지vi
      • 제1장 서론 1
      • 제1절 문제제기1
      • 제2절 연구목적 6
      • 제2장 이론적 배경 10
      • 제1절 선행연구10
      • 1.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발전 및 현황10
      • 2.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전형성 14
      • 제2절 이론적 논의18
      • 1. 문화계발이론 18
      • 2.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과 문화계발효과 26
      • 제3절 결혼관 및 연인관계 만족도 30
      • 1. 결혼관 30
      • 2. 연인관계 만족도 34
      • 제4절 문화계발효과의 매개변인 요소 36
      • 1. 개인특성36
      • (1) 성인 애착 이론 36
      • (2) 성인 애착과 결혼관 및 연인관계 만족도에 관계 41
      • (3) 성인 애착의 매개효과 42
      • 2. 성역할 인식에 대한 논의 44
      • (1) 성역할 인식44
      • (2) 성역할과 성차별적 인식 및 성평등적 인식의 관계 47
      • (3) 성역할 인식의 매개효과 49
      • 3. 사회적 영향 51
      • (1) 사회적 비교이론 51
      • (2) 사회적 비교의 매개효과54
      • (3) 준사회적 상호작용 56
      • (4)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59
      • 제3장 연구문제 및 가설 61
      • 제1절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 설정61
      • 제2절 연구모형 63
      • 제4장 연구방법 64
      • 제1절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64
      • 제2절 변인측정 66
      • (1) 독립변인 66
      • ①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 정도 측정 66
      • (2) 종속변인 67
      • ① 결혼관 측정 67
      • ② 연인관계 만족 측정68
      • (3) 매개 변인 69
      • ① 성인 애착 측정 69
      • ② 성역할 인식 측정 71
      • ③ 사회적 비교 측정 72
      • ④ 준 사회적 상호작용 측정 73
      • 제5장 분석결과 74
      • 제1절 표본의 특성74
      • 1. 인구통계학적 특성74
      • 2.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형태 75
      • 제2절 측정 도구의 신뢰도 77
      • 1. 변인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결과 77
      • 제3절 연구가설 및 연구문제를 분석결과 83
      • 1. 연구가설1, 2 결과83
      • 2. 연구문제1에 대한 결과84
      • 3. 연구문제2에 대한 결과86
      • 4. 연구문제3에 대한 결과89
      • 5. 연구문제4에 대한 결과 90
      • 6. 연구문제 5에 대한 결과 93
      • (1) 남성집단의 결혼관에 대한 매개변수 영향의 분석결과93
      • (2) 여성집단의 결혼관에 대한 매개변수 영향의 분석결과98
      • 7. 연구문제 6에 대한 결과98
      • (1) 남성집단의 연인관계 만족에 대한 매개변수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 98
      • (2) 여성집단의 연인관계에 대한 매개변수 영향의 분석결과102
      • 제6장 결론 103
      • 제1절 연구결과 요약103
      • 제2절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107
      • (1) 문화계발 효과와 애착이론의 매개효과 연관성을 확장 107
      • (2) 텔레비전 영향과 성역할 인식의 중요성 109
      • (3) 사회적 비교를 통한 결혼관 형성과 준사회적 상호작용 112
      • 제3절 연구의 의의 115
      • 제4절 연구의 한계점117
      • 참고문헌120
      • 부록: 설문지139
      • ABSTRACT 14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