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급인력의 인구이동패턴과 인적자원의 지역 불균형 = Migration of the Highly Educated and Regional Inequality of Human Capit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376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급인력의 유입, 지원시설 및 상업시설 유치와 일자리 창출 등 대학은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학이 지역 경쟁력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이 제대로 발현되...

      고급인력의 유입, 지원시설 및 상업시설 유치와 일자리 창출 등 대학은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학이 지역 경쟁력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이 제대로 발현되기 위해서는 졸업생들이 해당 지역에 머물며 생산 및 소비 등의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역 내에서 고용이 이루어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졸업생들이 해당 지역에서 머무르는 비중은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는 대학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대학과 직장지 간의 이론적 ‘최소이동거리’와 ‘실제이동거리’를 비교함으로써, 대학과 산업의 일치도가 지역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실증하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과통근(excess commuting) 분석 틀을 이용하여 최소이동거리와 실제이동거리를 계산하고 대학소재지와 직장지간의 불일치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비수도권에 비해 수도권에 취업기회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2004년에 비해 2009년 최소이동거리는 비슷한 반면 실제이동거리는 증가하였다. 이는 대학과 직장지의 불일치에 직장의 수가 아닌 다른 요인이 작용함을 시사한다. 셋째, 학력이 높을수록 대학과 산업의 일치성이 낮아지는 현상은 비수도권에서 특히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비수도권 지역의 인적자본 유출의 심각성과 지역 수준의 산・학・연 연계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has generally been considered that accumulation of the highly educated has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economies. Over the past few decades, the Seoul Metropolitan Area(SMA) has enjoyed a relatively large brain gain while non-...

      It has generally been considered that accumulation of the highly educated has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economies. Over the past few decades, the Seoul Metropolitan Area(SMA) has enjoyed a relatively large brain gain while non-SMA regions has suffered brain dr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level of human capital retainment by measu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and the smallest possible migration distances of university graduates. The smallest possible average distances can be obtained by the linear programming that reassigns the locations of universities and jobs to minimize the total average migration costs to find the optimal migration flow. The main findings are that firstly, the amount of excess migration had increased between 2004 and 2009, indicating the growing mismatch between universities and work places. Secondly, higher excess migration rate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years of education among the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Lastly, the university graduates from the non-SMA region tend to have a higher excess migration rate than those from the SMA a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대졸자의 인구이동과 지역불균형에 관한 논의 Ⅲ.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1. 전국의 대학 및 직장 현황 2. 필요이동거리와 초과이동거리 Ⅴ. 결론 및 시사점
      • Ⅰ. 서론 Ⅱ. 대졸자의 인구이동과 지역불균형에 관한 논의 Ⅲ.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1. 전국의 대학 및 직장 현황 2. 필요이동거리와 초과이동거리 Ⅴ. 결론 및 시사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호, "지역간 이동의 결정요인 및 임금효과" 한국지역학회 26 (26): 45-70, 2010

      2 강은택, "수도권 대학으로의 이동 요인과 졸업 후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9 (49): 5-16, 2014

      3 권오규, "변이할당모형을 이용한 수도권 인구 유출입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9 (49): 5-19, 2014

      4 권오규, "대학진학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학회 28 (28): 65-77, 2012

      5 문남철, "대학 졸업자의 지역간 취업이동과 지역발전" 국토지리학회 44 (44): 581-593, 2010

      6 심재헌, "대학 졸업자의 지역 간 취업 이동 요인 분석: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취업 이동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75 : 37-51, 2012

      7 Ritsila, "Where Do the Highly Educated Migrate? : Micro-level Evidence from Finland" 17 (17): 2003

      8 White, "Urban commuting journeys are not ‘wasteful’" 96 : 1988

      9 Sjaastad, "The Costs and Returns of Human Migration" 70 : 1962

      10 Fratesi, U., "Selective Migration and Regional Growth: Evidence from Italy"

      1 이상호, "지역간 이동의 결정요인 및 임금효과" 한국지역학회 26 (26): 45-70, 2010

      2 강은택, "수도권 대학으로의 이동 요인과 졸업 후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9 (49): 5-16, 2014

      3 권오규, "변이할당모형을 이용한 수도권 인구 유출입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9 (49): 5-19, 2014

      4 권오규, "대학진학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학회 28 (28): 65-77, 2012

      5 문남철, "대학 졸업자의 지역간 취업이동과 지역발전" 국토지리학회 44 (44): 581-593, 2010

      6 심재헌, "대학 졸업자의 지역 간 취업 이동 요인 분석: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취업 이동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75 : 37-51, 2012

      7 Ritsila, "Where Do the Highly Educated Migrate? : Micro-level Evidence from Finland" 17 (17): 2003

      8 White, "Urban commuting journeys are not ‘wasteful’" 96 : 1988

      9 Sjaastad, "The Costs and Returns of Human Migration" 70 : 1962

      10 Fratesi, U., "Selective Migration and Regional Growth: Evidence from Italy"

      11 Artz, "Rural Area Brain Drain : Is It a Reality?" 18 (18): 2003

      12 Haapanen, "Migration of the Highly Educated : Evidence from Residence Spells of University Graduates" 54 (54): 2012

      13 Carr, P. J., "Hollowing Out the Middle : The Rural Brain Drain and What It Means for America" Beacon Press 2009

      14 Ma, "Extended Excess Commuting in Seoul" 43 (43): 2006

      15 남재걸, "Conceptualizing the Engagement of Universities in Regional Development in a Knowledge-based Society" 한국경제지리학회 13 (13): 19-38,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