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가직무표준에 기반한 취업현장 중심의 색채교육 연구 = 전문대학 미용학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202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색은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핵심요소이며 인체의 미의 구현이 주요 교육목적인 미용관련 학과에서 색채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전문대학은 전문 미용인을 양성하는 주요 교육기관이며 전문...

      색은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핵심요소이며 인체의 미의 구현이 주요 교육목적인 미용관련 학과에서 색채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전문대학은 전문 미용인을 양성하는 주요 교육기관이며 전문대학의 미용관련 학과의 교육과정은 미용사 면허 취득을 위한 과목 중심으로 편성되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전문대학 미용관련 학과는 메이크업, 헤어, 네일, 피부 등 세부전공으로 나누어지며 세부전공에 따라 색채관련 과목들의 배치는 상이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색채관련 과목을 강화해야 한다는 견해들이 연구를 통하여 제시되었으나 기존 연구는 색채관련 과목의 증강 또는 관련성 있는 과목의 내용 재구성 등 교육시간 강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러나 전문대학의 교육목적이 현장에서 필요한 전문인 양성임을 고려한다면 색채교육의 강화를 논하기 이전에 색채교육이 세부전공에 관계없이 반드시 필요한 것인지 혹은 세부전공에 따라 차이를 두어야 하는지 또한 교육의 범위는 어디까지인지에 대하여 객관적 지침과 취업현장의 평가에 기반한 근거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색채교육의 당위성과 교육범위를 다음과 같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색채관련 과목을 세부 주제별로 분류한 다음 각 주제의 교육내용이 세부전공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각 세부 교육주제와 국가직무표준(NCS)중 색채교육 관련 부분과의 비교ㆍ매칭을 통하여 색채교육의 세부주제별 현장 활용도를 알아보았다. 또한 미용관련 국가직무표준(NCS)의 색채교육에 대한 중요도를 현장 종사자들에게 평가하여 세부전공별 색채교육에 대한 견해 차이의 존재여부도 알아보았다. 조사결과 색채교육은 세부전공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필요하나 세부 교육주제에 따른 현장 활용도에는 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부 현장 종사자들은 다른 전공분야 현장에서 필요한 색채관련 수행업무에 대해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lor is one of the key elements in expressing beauty that it is very crucial to set up the optimized color-related courses in cosmetology education systems. Junior college ,so far, has been the leading educational institution in training beauty-relat...

      Color is one of the key elements in expressing beauty that it is very crucial to set up the optimized color-related courses in cosmetology education systems. Junior college ,so far, has been the leading educational institution in training beauty-related specialists and the curriculum of beauty-related departments in most junior colleges focuses mainly on subjects required to get the cosmetologist license. Moreover, generally, there are multiple sub-specialties in the cosmetology department such as makeup, hair design, skin care, nail art and etc that the importance of color-related subjects tends to depend on those sub-specialties. The existing research on optimizing color-related education has been focused mainly on adding either more color-related courses on the curriculum or color-related contents in the existing courses. Keeping in mind the fact that the main purpose of the junior college education system is to bring up the field-oriented specialists, the first thing to be done is to find a clear evidence about both the necessity and scope of color-related education as well as a distinction among sub-specialties in terms of learning level. Therefore, in this paper, both chromatology and personal-color, the two main color-related courses, are classified into a number of teaching subjects such that each teaching subject is checked if there is any difference at the training level among sub-specialties(makeup, hair cut, skin care and nail art). Furthermore, each teaching subject is then matched with the competency units among cosmetic-related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 to check the utilization of each teaching subject. These competency units are also surveyed and then prioritized by field workers; this is to figure out what is really required regarding color-related subjects in the real workplace.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s that there is a consensus on the importance and need of color education irrespective of sub-specialties but some difference on the utilization of some color-related teaching subjects depending on the workplace. There is also a consensus on the need of color-related education irrespective of sub-specialties while some field workers are not known to be aware of the exact meaning of color-related job performance criter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3. 미용교육관련 국가직무표준
      • 4. 연구 및 설문 결과 분석
      • 5. 결론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3. 미용교육관련 국가직무표준
      • 4. 연구 및 설문 결과 분석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