剛菴 宋成鏞(1913-1999)은 일제의 단발령과 창씨개명에 항거하며 평생 儒者의 삶을 지켜온 그는 전통적인 학문을 계승하면서도 시대정신을 예술로 승화시킨 20세기의 마지막 선비이자 서화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365956
장지훈 (경기대학교)
2018
Korean
Gangam ; Song Sung-yong ; Calligraphy ; Typography ; Out with a new. ; 강암 ; 송성용 ; 서예 ; 서체 ; 구체신용(舊體新用).
KCI등재
학술저널
95-129(35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剛菴 宋成鏞(1913-1999)은 일제의 단발령과 창씨개명에 항거하며 평생 儒者의 삶을 지켜온 그는 전통적인 학문을 계승하면서도 시대정신을 예술로 승화시킨 20세기의 마지막 선비이자 서화가...
剛菴 宋成鏞(1913-1999)은 일제의 단발령과 창씨개명에 항거하며 평생 儒者의 삶을 지켜온 그는 전통적인 학문을 계승하면서도 시대정신을 예술로 승화시킨 20세기의 마지막 선비이자 서화가이다. 강암은 栗谷(李珥)―艮齋(田愚)―裕齋(宋基冕)로 이어온 학맥과, 蒼巖(李三晩)―石亭(李定稷)―裕齋 등으로 계승된 예맥 위에, 거슬러 歐陽詢 ․ 黃庭堅 ․ 董其昌 ․ 紫霞(申緯) ․ 秋史(金正喜) 등 역대 제가들과 아래로 一洲(金振宇) ․ 潁雲(金容鎭) ․ 雪松(崔圭祥) 등 근대 서화가들을 통섭하였다. 특히 선친 裕齋가 일생동안 학문과 예술의 이념으로 삼아 온 ‘舊體新用’론에 입각하여 장년기까지 갈고 닦은 학문과 예술의 실질을 사회적으로도 발현하여 강암은 自得의 예술세계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강암의 다양한 서예세계를 서체별로 분석하였다.
강암의 전서는 金文의 회화적이면서도 주경한 금석기의 맛과 웅혼한 기상, 小篆의 엄경하고 방정한 조형과 유려한 필세, 碑學의 웅혼한 필획과 자형이 혼융되어 있어서 ‘蒼勁古拙의 미’가 두드러진다. 예서는 끊임없는 자기화의 과정을 거침으로써 枯淡한 기운이 응축되어 고졸하면서도 맑은 기운이 감도는 ‘苦澁淸虛의 미’가 두드러진다. 해서는 방정하고 수려한 규범을 토대로 풍윤하고 굳건한 기상과 비학의 험절한 서법 등을 두루 섭렵하여 무기교의 탈속적인 ‘瘦拙平淡의 미’를 형성하였다. 행초서는 역대 제가들의 장점을 두루 취하여 瘦硬通神의 기풍을 갖추었고, 공교의 극치를 넘어 탈속의 경계와 천취자연의 서예본질로 회귀함으로써 ‘蒼勁拔俗의 미’를 구현하였다.
강암은 공자의 溫故知新과 왕희지의 詳察古今과 김정희의 實事求是와 송기면의 舊體新用에 입각하여 고금의 서예자료를 섭렵하고, 그 용필과 체세에 대해 면밀히 규찰하고 체득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강암체를 창출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宋成鏞, "논양예술논총의 발간에 부친다" 강암서예학술재단 (창간) : 1994
2 송하경, "김제서예 삼백년사" 4 : 2000
3 최병식, "강암 송성용의 생애와 예술세계" 강암서예학술재단 (창간) : 1994
4 김기동, "강암 송성용의 삶과 예술" (1․2․3) : 1999
5 권윤희, "강암 송성용 풍죽화의 유가미학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6 원동석, "강암 송성용 其人基書" 도서출판 불이 1996
7 김병기, "강암 송성용 其人基書" 도서출판 불이 1996
8 박권상, "강암 송성용 其人基書" 도서출판 불이 1996
9 최근덕, "강암 송성용 其人基書" 도서출판 불이 1996
10 고정곤, "강암 송성용 其人基書" 도서출판 불이 1996
1 宋成鏞, "논양예술논총의 발간에 부친다" 강암서예학술재단 (창간) : 1994
2 송하경, "김제서예 삼백년사" 4 : 2000
3 최병식, "강암 송성용의 생애와 예술세계" 강암서예학술재단 (창간) : 1994
4 김기동, "강암 송성용의 삶과 예술" (1․2․3) : 1999
5 권윤희, "강암 송성용 풍죽화의 유가미학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6 원동석, "강암 송성용 其人基書" 도서출판 불이 1996
7 김병기, "강암 송성용 其人基書" 도서출판 불이 1996
8 박권상, "강암 송성용 其人基書" 도서출판 불이 1996
9 최근덕, "강암 송성용 其人基書" 도서출판 불이 1996
10 고정곤, "강암 송성용 其人基書" 도서출판 불이 1996
11 "剛菴宋成鏞書集" 지식산업사 1983
12 "剛菴墨迹Ⅲ" 강암서예학술재단 2009
13 "剛菴墨迹Ⅱ- 碑文․懸板" 강암서예학술재단 2004
14 김병기, "剛菴墨迹Ⅱ- 碑文․懸板" 강암서예학술재단 2004
15 "剛菴墨迹Ⅰ- 書品․畵品" 동아일보사 1995
16 "剛菴千字文書" 도서출판 불이 1993
17 "剛菴 宋成鏞 詩文" 미술문화원 2009
18 "剛菴 宋成鏞 行狀" 미술문화원 2009
한국과 동남아 교류사에 의한 궁중 춤 연구 - 類型과 要素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8 | 0.28 | 0.2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9 | 0.29 | 0.613 | 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