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지용 「琉璃窓」 시편의 기호체계 연구 -인지시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emiotic System of Jeong, ji-yong`s Poetry “Glass Window" -Focusing on Cognitive Poetic Approach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692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기호학과 인지시학이라는 서로 다른 연구방법론의 상호 통섭을 시도하고, 그러면서도 시차적 관점을 유지한 채 시 텍스트의 기호체계와 의미구조를 분석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

      이 논문은 기호학과 인지시학이라는 서로 다른 연구방법론의 상호 통섭을 시도하고, 그러면서도 시차적 관점을 유지한 채 시 텍스트의 기호체계와 의미구조를 분석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정지용의 시 「琉璃窓 1」과 「琉璃窓 2」를 텍스트로 삼아 분석의 과정을 보이고자 하였다. 그 이유는 ‘창’이 분절·대립·소통의 기호체계로서의 속성을 잘 보여줄 뿐만 아니라, 화제성과 상황성을 담지할 수 있는 인지론적 은유의 원리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琉璃窓 1」의 기호체계는 시어의 화제성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또 이 화제성을 중심으로 ‘전경-배경’의 의미론적 전환과정을 행위자로서의 화자와 청자 관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琉璃窓 2」의 기호체계는 텍스트가 환기하는 상황 스크립트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였다. 그 결과 「琉璃窓 2」의 도식이 불안과 갈증, 외로움이 결부된 상황스크립트라는 것과, 스크립트 내의 행위가 반복적으로 제시되고 있음을 살폈다. 이 두 텍스트의 분석을 통해 공통적으로 알 수 있는 것은 정지용 시에서 주요한 시적 대상으로 선택되고 있는 ‘유리창’이 주체와 객체를 분리하면서도 이어주는 기능을 한다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ttempt the consilience of semiotics and cognitive poetics interactively, but at the same time, to show what the semiotic system and semantic structure of Jeong ji-yong`s text is in keeping the parallax view. In order 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ttempt the consilience of semiotics and cognitive poetics interactively, but at the same time, to show what the semiotic system and semantic structure of Jeong ji-yong`s text is in keeping the parallax view. In order to clarify that process of analysing, it was approached in Jeong`s “Glass Window-1” and “Glass Window-2”. That is not only why ``window`` brings out some attributes as a semiotic system, but it includes the principle of cognitive metaphor being able to contain topicality and situational-ity. First, the semiotic system of “Glass Window-1” was approached in focusing topicality of poetic words. Based on the topicality, moreover, a semantic shifting process of ``figure-ground`` was derived from relationship with speaker and hearer as actors. Second, the semiotic system of “Glass Window-2” was approached in focusing some situational scripts evoked by texts. Consequently, these scripts of “Glass Window-2” were the situational scripts linked with anxiety, thirst, solitude, etc. and acting in that scripts repeatedly came out as well. As a result, one common feature revealed from these approaches of two poems is that ``glass window`` frequently used in Jeong`s writings functions first as a separator between subject and object, then as a counter-separato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