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언론 운동으로서 광고기업불매 운동의 특성에 관한 소고 = A Review on Boycotting Advertiser as a Movement of Med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455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large number of controversies and articles surrounding boycotting advertising corporations in Cho-Sun, Chung-Ang and Dong-A Ilbo have been published and the focus of these researches has been on whether this movement is a just consumer movement or a...

      A large number of controversies and articles surrounding boycotting advertising corporations in Cho-Sun, Chung-Ang and Dong-A Ilbo have been published and the focus of these researches has been on whether this movement is a just consumer movement or an unjust interference with firm's business which hurts market order.
      This article attempted to investigate what is meant by boycotting as a movement of media. And this study tried to inquire into the concept of the citizens and prove the basis of justification of boycotting from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commodities. Furthermore, this research developed debate focusing on the goal and way of movement and the differentiation from other movements of media. We can't understand the meaning of this movement only by consumers' right for private goods, because this movement is dealing with democracy as a basis of public goods of a field for democratic public opinion and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beyond consumers' field handling interests among the mere individuals although they are standing for the consumer movement.
      Therefore, the fashion and tool of this movement should be far more acknowledged than general consumer movement.
      The fact that not organized groups but individuals led the movement and participated voluntarily tells us that movement has a strong characteristic of neo-social movement developed in Europe and is a movement that makes the most of characteristic of media industry having dual markets. This movement is a participation type by collective intelligence of general characteristic that civic campaign using internet has and it is evolved from rational citizens of industrial society into participant citizens of network society. It is not the movement led by guidance members but is the most democratic movement flexiblly coping to changing environment in which participant citizens are suggesting ideas on the method and direction of the movement and adopting the alternative supported after in-depth discussion.
      This movement attempted to attain the goal through direct pressure in the market whereas the previous media movement has made a lot of effort in participating and preparing for alternatives for systems and polic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조중동 광고기업불매운동을 둘러싼 숱한 논쟁과 연구물들이 발표되었지만 초점은 대체로 이 운동이 정당한 소비자 운동인지 아니면 시장 질서를 해치는 부당한 업무 방해인지에 맞추어져...

      조중동 광고기업불매운동을 둘러싼 숱한 논쟁과 연구물들이 발표되었지만 초점은 대체로 이 운동이 정당한 소비자 운동인지 아니면 시장 질서를 해치는 부당한 업무 방해인지에 맞추어져왔다. 언론운동으로서의 의의나 사회적 가치 등에 대한 평가는 소홀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운동으로서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소비자, 수용자 그리고 시민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정리하고 언론상품의 특성을 분석하여 광고기업 불매운동에 대한 정당성의 근거를 입증하려 했다. 또한 운동의 목표와 운동방식 그리고 기존 언론운동과의 차별성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 운동은 소비자 운동을 표방하고 있지만 단순히 사인간의 이해를 다루는 소비자의 범주를 넘어서서 민주적 시민으로서의 권리를 요구한다. 여론의 형성과 민주적 공론장이라는 공공재를 구축하는 토대로서 언론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사적 재화에 대한 소비자의 권리만으로는 이운동의 의미를 이해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운동의 방식과 수단은 일반소비자운동보다는 훨씬 폭넓게 인정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또한 조직화된 개인이나 집단이 주도한 것이 아니라 일반 개인이 주도하였고 자발적인 참여가 중심이었다는 점에서 유럽에서 전개된 신사회운동적 성격이 강하고 이중적 시장을 가지고 있는 언론산업의 특성을 살린 운동이었다. 인터넷을 이용한 시민운동이 지니는 일반적 특성인 집단지성에 의한 새로운 참여방식이며 산업사회의 합리적인 시민에서 네트워크사회의 참여하는 시민으로 진화한 것이다. 지도부가 주도하는 운동이 아니라 참여한 시민들이 운동의 방법이나 방향에 대한 의견을 내고 토론을 통해 지지를 받는 방식이 채택되면서 상황변화에 대한 유연한 대처를 모색하는 가장 민주적인 운동이었다고 볼수 있다. 기존의 언론 운동이 제도와 정책 과정에 대한 참여와 대안을 마련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것과는 다르게 시장에서 직접적인 압박을 통해 운동의 목표를 달성하려고 하였다는 점도 이운동의 특성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 율, "한국시민운동의 개념적 위상과 문제점" 35 (35): 159-180, 2001

      2 임동욱, "한국시민 언론운동의 성격과 방향정립을 위한 시론적 논의" (33) : 165-201, 1995

      3 김은규, "한국 대안적 공론장의 변화과정과 추동 요인에 대한 고찰" 한국언론정보학회 33 : 87-113, 2006

      4 Rheingold, H., "참여군중" 황금가지 2003

      5 강상현, "정보화 시대의 시민언론 운동. in: 한국사회와 언론 3:자본주의 언론과 민주주의" 한울 86-132, 1993

      6 김상겸, "인터넷을 통한 소비자 운동의 자유에 관한 연구"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5 (15): 25-46, 2009

      7 문재완, "인터넷에서의 표현의 자유와 그 한계 -인터넷포털에서 발생하는 불법행위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31) : 309-339, 2008

      8 김봉수, "인터넷상에서의 불매운동과 그 법적 한계 - 제3자를 대상으로 한 불매운동의 합법성 판단을 중심으로 -" 한국형사법학회 21 (21): 303-328, 2009

      9 정재철, "온라인 시민 사회운동의 공론화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안티닉스운영 게시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33 : 253-285, 2006

      10 이승선, "언론소비자운동에 있어 광고불매운동의 의미" 2009

      1 신 율, "한국시민운동의 개념적 위상과 문제점" 35 (35): 159-180, 2001

      2 임동욱, "한국시민 언론운동의 성격과 방향정립을 위한 시론적 논의" (33) : 165-201, 1995

      3 김은규, "한국 대안적 공론장의 변화과정과 추동 요인에 대한 고찰" 한국언론정보학회 33 : 87-113, 2006

      4 Rheingold, H., "참여군중" 황금가지 2003

      5 강상현, "정보화 시대의 시민언론 운동. in: 한국사회와 언론 3:자본주의 언론과 민주주의" 한울 86-132, 1993

      6 김상겸, "인터넷을 통한 소비자 운동의 자유에 관한 연구"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5 (15): 25-46, 2009

      7 문재완, "인터넷에서의 표현의 자유와 그 한계 -인터넷포털에서 발생하는 불법행위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31) : 309-339, 2008

      8 김봉수, "인터넷상에서의 불매운동과 그 법적 한계 - 제3자를 대상으로 한 불매운동의 합법성 판단을 중심으로 -" 한국형사법학회 21 (21): 303-328, 2009

      9 정재철, "온라인 시민 사회운동의 공론화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안티닉스운영 게시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33 : 253-285, 2006

      10 이승선, "언론소비자운동에 있어 광고불매운동의 의미" 2009

      11 김승수, "언론 운동과 매체정책의 관계에 대한 연구" 열린 미디어 연구소 2007

      12 황성기, "신문사 광고주 관련 정보에 대한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위법 결정의 헌법적 문제점" 한국비교공법학회 10 (10): 213-243, 2009

      13 이남표, "시장 개방과 수용자" 한국언론정보학회 35 : 87-113, 2006

      14 주성수, "시민참여와 민주주의" 아르케 2006

      15 최영묵, "시민참여 방송에 관한 연구" 157-189, 1999

      16 박춘서, "시민운동과 대안언론" 44 (44): 190-221, 2000

      17 정태석, "시민사회와 사회운동의 역사에서 유럽과 한국의 유사성과 차이" 비판사회학회 (72) : 125-147, 2006

      18 최영묵, "시민미디어론" 아르케 2005

      19 신태섭, "수용자 주권과 방송광고제도 개선 방안" 2005

      20 문은숙, "소비자운동의 이해와 한국소비자운동의 발전 과정" 제3섹터연구소 2 (2): 189-223, 2004

      21 주승희, "소비자불매운동의 의의 및 법적 허용 한계 검토" 한국경영법률학회 19 (19): 515-542, 2009

      22 박경신, "소비자들의 2차불매운동의 합법성. in: 한국과 표현의 자유" 경인문화사 71-106, 2009

      23 임동욱, "방송상품의 특성과 기능" (창간) : 53-73, 1990

      24 Picard,R. G., "미디어 경제학" 나남 1992

      25 김주언, "미디어 2.0시대 시청자권리와 수용자 운동" 열린미디어 연구소 2008

      26 김동규, "문화상품과 시장에 관한 연구" 10 : 348-368, 1993

      27 민인철, "능동적 수용자론에 대한 소고: 정치 참여자로서의 대안언론 수용자" 한국지역언론학회 5 (5): 155-190, 2005

      28 이창호, "뉴미디어를 활용한 다양한 사회운동방식에 대한 고찰 2008년 촛불집회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44 (44): 44-75, 2008

      29 이강택, "공영방송에 대한 시민참여연구" 성공회대학교 2010

      30 조대엽, "공공성의 재구성과 시민운동의 새로운 주기" 881-891, 2007

      31 이선미, "‘능동적 시민’과 차이의 정치" 한국여성학회 22 (22): 145-183, 2006

      32 Rimmerman, C., "The New Citizenship:Unconventional Politics, Activism and Service" Westview Press 2001

      33 박상필, "NGO학" 도서출판 아르케 2005

      34 Raboy, M., "Missed Opportunities:The Story of Canada's Broadcasting Policy" McGuil-Queen's University Press 1990

      35 Curran, J., "Mass Media and Democracy : A Reappraisal. in: Mass Media and Society" Edward Arnold 82-117, 1991

      36 Crenson, M., "Downsizing Democracy:How America Sidelined Its Citizens and Privatized Its Public"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2

      37 Mullard, M., "Discourses on Citizenship. in: Citizenship and Welfare State Reform in Europe" Routledge 12-26, 1999

      38 윤성이, "2008년 촛불과 정치참여 특정의 변화: 행위자, 구조, 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세계지역학회 27 (27): 315-334,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61 0.819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