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정수장학회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862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수장학회(구 5.16장학회)는 장학 사업을 하는 공익법인이다. 1961년 쿠데타로 집권한 박정희는 당시 부산지역의 대표언론사였던 김지태 소유의 부산일보, 부산문화방송과 토지등을 강제 헌...

      정수장학회(구 5.16장학회)는 장학 사업을 하는 공익법인이다. 1961년 쿠데타로 집권한 박정희는 당시 부산지역의 대표언론사였던 김지태 소유의 부산일보, 부산문화방송과 토지등을 강제 헌납 받아 5.16장학회를 설립했다. 이후 5.16장학회는 부산일보, 부산문화방송, 문화방송 등의 실질적 사주로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지금도 정수장학회는 부산일보 주식 100%, 서울MBC 주식의 30%, 경향신문사 건물 부지를 소유하고 있다. 언론사와 토지를 사실상 ‘강탈’당한 김지태씨와 그 유족들은 지속적으로 재산의 반환을 요구해 왔다. 1970년 이후 국회에서도 논란거리였다. 지난 2005년에는 국정원의 진실위원회에서, 2007년에는 과거사위원회에서 부일장학회 헌납사건 등을 조사하고 원상회복을 권고했지만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 정수장학회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정수장학회 거버넌스를 공영으로 바꾸고 부당하게 소유하고 있는 언론사 지분을 유족과 해당언론사에 무상 반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ung-Soo Scholarship Foundation(previously, 5.16 Scholarship Foundation) is public association for public service. In 1961, Junghee Park who took power through military coup established 5.16 Scholarship Foundation by the votive offerings including Bus...

      Jung-Soo Scholarship Foundation(previously, 5.16 Scholarship Foundation) is public association for public service. In 1961, Junghee Park who took power through military coup established 5.16 Scholarship Foundation by the votive offerings including Busan Ilbo that belongs to Jeetea Kim and is one of the leading newspaper in Busan, Busan Munhwa Broadcasting Company, a land forcibly from Jeetea Kim. Since then, 5.16 scholarship association wielded strong influence over Busan Ilbo, Busan Munhwa Broadcasting Company, Munhwa Broadcasting Company(MBC) as an actual company owner. Even now, Jung-Soo Scholarship Foundation is possessing 100% shares of Busan Ilbo, 30% share of Seoul Munhwa Broadcasting Company, and Kyounhyang Sinmun’s building site. Jeeteas Kim and his bereaved family who are actually robbed of media companies and a land continue to reclaim their properties. After 1970, it is a subject of considerable debate in the National Assembly continuously. Even though the Truth Commission of Korean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in 2005 and the Past Affairs Commission in 2007 investigated Buil scholarship association offering case and advised restoration, it has not solved yet. To solve the problem of Jung-Soo Scholarship Foundation, it is desired that the governance of Jung-Soo Scholarship Foundation change to public management, and Jung-Soo Scholarship Foundation is taking unjustified possession of media companies’ shares give back to Kim’s bereaved fami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문제의 제기
      • 2. 박정희 정권의 언론장악과 5.16장학회
      • 3. 정수장학회의 운영과 관련 언론 지배
      • 4. 정수장학회 문제 해소 방안
      • 5. 요약 및 결론
      • 1. 문제의 제기
      • 2. 박정희 정권의 언론장악과 5.16장학회
      • 3. 정수장학회의 운영과 관련 언론 지배
      • 4. 정수장학회 문제 해소 방안
      • 5. 요약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건호, "한국현대언론사" 삼민사 1990

      2 조항제, "한국방송의 역사와 전망" 한울아카데미 2003

      3 정순일, "한국방송의 어제와 오늘" 나남 1991

      4 노정팔, "한국방송과 50년" 나남 1995

      5 한국방송공사, "한국방송 70년사"

      6 김민남, "한국민영방송사의 재평가: 한국 최초의 민간상업방송-부산MBC" 커뮤니케이션북스 2002

      7 김해식, "한국 언론의 사회학" 나남 1994

      8 안영민, "정수장학회의 진실과 화해를 위한 역사적 고찰" 2007

      9 정수장학회삼십년지 편집위원회, "정수장학회30년지"

      10 김서중, "정수장학회 원상회복의 바람직한 방향" 2007

      1 송건호, "한국현대언론사" 삼민사 1990

      2 조항제, "한국방송의 역사와 전망" 한울아카데미 2003

      3 정순일, "한국방송의 어제와 오늘" 나남 1991

      4 노정팔, "한국방송과 50년" 나남 1995

      5 한국방송공사, "한국방송 70년사"

      6 김민남, "한국민영방송사의 재평가: 한국 최초의 민간상업방송-부산MBC" 커뮤니케이션북스 2002

      7 김해식, "한국 언론의 사회학" 나남 1994

      8 안영민, "정수장학회의 진실과 화해를 위한 역사적 고찰" 2007

      9 정수장학회삼십년지 편집위원회, "정수장학회30년지"

      10 김서중, "정수장학회 원상회복의 바람직한 방향" 2007

      11 이호진, "정수장학회 개혁방안, In 공공미디어와 미디어 균형발전" 2012

      12 정대수, "정부수립 후의 신문들, In 새로 쓰는 한국언론사" 아침 1988

      13 한홍구, "장물바구니" 돌아온 산 2012

      14 최창봉, "우리방송 100년" 현암사 2001

      15 정수장학회, "예산서(안)"

      16 정수장학회, "예산서(안)"

      17 김동춘, "약탈을 위한 국가의 폭력" (901) : 2012

      18 주진우, "아버지가 뺏은 장학회, 장학회가 키운 박근혜" (254) : 2012

      19 박동순, "실크재벌의 이상과 현실-김지태, In 재벌의 뿌리: 한국의 최고경영인 20인" 태창문화사 1979

      20 김우룡, "소유형태 바꿔 ‘태생적 한계’ 극복하라" 2008

      21 부산일보사, "부산일보50년사"

      22 최홍미, "부산 MBC 가 일군 30년, 그 역사 제 1의 지역 방송으로 새 출발 선언"

      23 김지태, "반환청구서"

      24 한홍구, "박정희의 직접 지시로 이뤄진 부일장학회와 경향신문사 강탈"

      25 한상권, "박정희가 가장 두려워한 것은 비판적인 언론"

      26 문화방송, "문화방송 30년사"

      27 자명 김지태전기간행위원회, "문항라 저고리는 비에 젖지 않는다" 석필 2003

      28 김지태, "나의 이력서" 한국능률협회 1976

      29 김형욱, "김형욱 회고록 제Ⅱ부 한국중앙정보부" 아침출판사 1985

      30 김동춘, "과거청산의 역사적 의의" 2005

      31 국가정보원, "과거와 대화 미래의 성찰: 국정원 진실위보고서 총론(Ⅰ)" 2005

      32 국회입법조사처, "과거사 진상규명(입법조사회답변서)"

      33 경향신문사, "경향신문 50년사"

      34 최준, "韓國新聞史(新補版)" 일조각 1993

      35 朱東晃, "韓國政府의 言論政策이 新聞産業의 變遷에 미친 影響에 관한 一考察 : 第1共和國에서 第5共和國까지"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36 최홍미, "MBC 생성의 역사적 과정에 관한 일고찰"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7

      37 김종규, "3공화국 강탈 언론사 문제의 진상과 해법: 정수장학회, 경향신문을 중심으로" 2005

      38 진실ㆍ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2007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론학연구 ->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외국어명 : Journalism & Communication -> Locality & Communication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8 1.339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