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학부모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062623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영재교육전공 , 2013. 2
2013
한국어
서울
iii, 49장 ; 26 cm
지도교수: 전경남
참고문헌(장 44-45)과 부록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학부모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본 연구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학부모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영재선발에 관한 학부모 정보량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부모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영재교육 확대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넷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자신의 자녀의 영재교육 지원에 대한 의지의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영재선발에 관한 학부모 정보량, 영재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태도에 상관이 있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천안시의 4개 초등학교에서 6학년 각각 3학급을 선정하여 자체 개발한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설문지는 영재 선발에 관한 정보량, 영재교육의 필요성, 영재교육 확대에 관한 신념, 자녀의 영재교육지원에의 태도, 일반적특성의 5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가운데 활용 가능한 192부를 SPSS 1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들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영재를 선발하는 정보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을수록 자녀의 교육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만한 시간적, 경제적, 심리적 여유가 없기 때문으로 소외계층 영재들을 위한 교육복지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지위의 학부모들에게 보다 적극적인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둘째, 학부모들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많은 학부모들이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대다수의 학부모들은 영재교육을 통해 자녀의 재능이 개발되어 자아실현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기에 영재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초등교육에서는 전인교육이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여 영재교육과 전인교육을 별개의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영재교육의 기회를 더 많은 학생들에게 확대하는 것에 대해 학부모들은 긍정적인 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영재교육을 처음 실시하는 학년에 대한 학부모의 응답은 3-4학년으로 나타났으나 현재 공립영재교육기관의 경우 대부분 고학년에 치중해 있어 학년을 다소 확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영재교육에 대한 학부모 연수에 참여 의지에 대한 분석 결과는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집단 간의 인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학부모 연수에 참가하겠다는 긍정적인 답변이 부정적인 답변보다 다소 높았다. 하지만 부정적인 답변의 비율과 중도적인 답변이 많아 학부모 연수에 대해 학부모들이 다소 부담스러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학부모들이 연수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비율이 높아 학부모 연수 참여에 더 많은 부담감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자녀에게 기회가 주어졌을 때 영재교육 참여여부에 대한 의견 역시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집단 간의 인식의 차이는 없었으며 세 집단의 학부모들 모두 참여시키겠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 이유로는 자녀의 재능을 키워주어야 한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지배적이어 자녀의 재능을 키워주는데 부모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지원을 해주려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재교육에 참여시키지 않겠다고 응답한 이유는 영재교육의 효과에 대해 의문이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지배적이었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영재교육 프로그램들에 대해 그 효과성에 대한 점검이 요구되는 것으로 내실 있는 프로그램의 구성과 운영, 평가를 통해 지속적인 질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일곱째, 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영재교육 확대에 관한 인식, 자녀의 영재교육지원에 대한 의지에 관한 문제에 있어 세 집단 모두 긍정적인 부정적인 인식보다 많기는 하였으나 부정적인 비율이 높았으며 영재교육의 필요성이나 효과, 목적, 선발 방식 등 영재교육에 대한 다각적인 정보의 제공 및 학부모들의 인식을 높일 수 있는 연수, 영재교육시설 방문 및 참관 수업 등 학부모들이 영재교육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학부모의 인식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여덟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영재선발에 관한 정보량, 영재교육에 대한 태도의 상관관계에 있어 사회경제적 지위는 영재교육에 대한 태도와는 상관이 없으나 영재선발에 관한 정보량과는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에 대해 비슷한 태도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학부모들은 영재선발에 관한 정보를 얻는 데 어려움을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 이러한 학부모들이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는 방식으로의 접근이 필요하겠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