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막의 의미 확장과 의의 고찰 : 샤를르 드 푸코의 ‘사막 영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pansion of Meaning of Desert and its Significance : focusing on the Charles de Foucauld's 'desert spiritu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09736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신학과 실천신학 , 2013. 2

      • 발행연도

        2013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114 p. ;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전영준

      • 소장기관
        • 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new meaning of the desert by Charles de Foucauld and its influence on the history of Christian spirituality. The new meaning of the desert has begun with Charles de Foucauld. Foucauld's life seems like the lives of the Desert Fathers' in early Christianity, however Fouauld's purpose is different from Desert Father's. Accordingly, this thesis shows the desert's meaning has expanded by comparing how Foucauld and Desert Fathers understood the desert and desert spirituality.
      Desert Fathers thought that desert is the place of extreme situation cut off from the world, the suitable place to purify and train, and the place to battle against evil. Through these things the desert becomes a place to meet God (Chapter 2).
      The meanings of desert understood by Foucauld summarize into two. One is that desert is the poorest and humblest place. The other is that it's the place of practicing love and mission. The lowest place is not only to stay, but also to practice love for the afflicted. We can learn how Foucauld understood the desert through his life and spirituality. Foucauld's unique vocation, "Nazareth life", guided him to the desert, the lowest place. Desert change "Nazareth life" spirituality from contemplative spirituality to unified spirituality of contemplation and action. Foucauld practiced love and mission enthusiastically and actively in desert(Chapter 3).
      The life of Foucauld has began to emphasize new aspect of desert. Entering the desert is not separating from the secular world, but entering into its lowest place. Accordingly, we can regard the lowest place of secular world as desert, and we can think whole world as one great desert because of the structural imbalance, reality of poverty and idolization of material. This is desertification of the city.
      The Foucauld's understanding of desert implies that the desert is not only a contemplative place but also a practicing place. This conversion of meaning indicates that the life of practicing love is important in Christian spirituality life. Foucauld's life progressing from contemplative life to active life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active life. Foucauld didn't neglect contemplative life, which indicates the desert has both contemplative and active meaning. Therefore the desert is mystic place which requires to live unified life of contemplation and action.
      Foucauld's desert spirituality contributes to the world through many movements of the communities following his instructions. Their character is living among the poorest in everyday life and helping them. They emphasize city desert, and live to be an oasis in it. Finally, this new desert spirituality present christian to live a desert spirituality within the life of this world(Chapter 4).
      번역하기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new meaning of the desert by Charles de Foucauld and its influence on the history of Christian spirituality. The new meaning of the desert has begun with Charles de Foucauld. Foucauld's life seems like the lives of the Des...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new meaning of the desert by Charles de Foucauld and its influence on the history of Christian spirituality. The new meaning of the desert has begun with Charles de Foucauld. Foucauld's life seems like the lives of the Desert Fathers' in early Christianity, however Fouauld's purpose is different from Desert Father's. Accordingly, this thesis shows the desert's meaning has expanded by comparing how Foucauld and Desert Fathers understood the desert and desert spirituality.
      Desert Fathers thought that desert is the place of extreme situation cut off from the world, the suitable place to purify and train, and the place to battle against evil. Through these things the desert becomes a place to meet God (Chapter 2).
      The meanings of desert understood by Foucauld summarize into two. One is that desert is the poorest and humblest place. The other is that it's the place of practicing love and mission. The lowest place is not only to stay, but also to practice love for the afflicted. We can learn how Foucauld understood the desert through his life and spirituality. Foucauld's unique vocation, "Nazareth life", guided him to the desert, the lowest place. Desert change "Nazareth life" spirituality from contemplative spirituality to unified spirituality of contemplation and action. Foucauld practiced love and mission enthusiastically and actively in desert(Chapter 3).
      The life of Foucauld has began to emphasize new aspect of desert. Entering the desert is not separating from the secular world, but entering into its lowest place. Accordingly, we can regard the lowest place of secular world as desert, and we can think whole world as one great desert because of the structural imbalance, reality of poverty and idolization of material. This is desertification of the city.
      The Foucauld's understanding of desert implies that the desert is not only a contemplative place but also a practicing place. This conversion of meaning indicates that the life of practicing love is important in Christian spirituality life. Foucauld's life progressing from contemplative life to active life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active life. Foucauld didn't neglect contemplative life, which indicates the desert has both contemplative and active meaning. Therefore the desert is mystic place which requires to live unified life of contemplation and action.
      Foucauld's desert spirituality contributes to the world through many movements of the communities following his instructions. Their character is living among the poorest in everyday life and helping them. They emphasize city desert, and live to be an oasis in it. Finally, this new desert spirituality present christian to live a desert spirituality within the life of this world(Chapter 4).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샤를르 드 푸코에 의해서 새롭게 조명된 사막의 의미와 이 의미가 그리스도교 영성사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고찰했다. 사막의 의미가 새로운 강조점을 지니게 된 것은 샤를르 드 푸코로부터 시작된다. 푸코의 삶은 초기 그리스도교 시대의 사막 교부들과 비슷한 모습을 보이지만 다른 목적으로 사막에 들어갔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샤를르 드 푸코가 이해한 사막과 사막 영성이 사막 교부들이 이해한 것과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면서 사막의 의미 지평이 확장되었음을 밝힌다.
      사막 교부들의 사막 의미는 세상과 단절된 극한 상황의 장소이며, 정화와 훈련에 적합한 장소이고 악마와 투쟁하는 장소이다. 사막은 이 모든 것을 통해서 하느님을 만나는 장소가 된다(2장).
      샤를르 드 푸코가 이해한 사막의 의미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가장 가난하고 가장 비천한 장소이며 애덕 실천과 선교를 행하는 장소이다. 가장 낮은 자리는 단순히 그곳에 머물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곳에서 고통 받는 이들을 위한 애덕 실천의 장소가 된다. 샤를르 드 푸코의 사막을 어떻게 이해했는지는 그의 삶과 영성을 통해 알 수 있었다. 푸코의 독특한 성소인 ‘나자렛 삶’은 그를 가장 낮은 곳인 사막으로 이끌었다. 그리고 사막은 ‘나자렛 삶’ 영성을 관상적인 영성에서 관상과 활동이 통합된 영성으로 변화시켰고, 푸코는 사막에서 적극적이고 활동적인 애덕 실천과 선교 활동을 한다(3장).
      푸코의 삶에 의해서 사막의 새로운 측면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사막에 들어가는 것은 세상으로부터 단절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세상 속의 가장 낮은 곳으로 들어가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이 세상 속의 가장 낮은 곳을 사막으로 여길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구조적 모순, 실질적인 가난, 하느님 자리에 다른 물질적인 우상이 들어선 이 세상을 하나의 거대한 사막으로 볼 수 있게 하였다. 이것을 도시의 사막화라고 할 수 있다.
      푸코의 사막 이해는 사막이 관상적인 장소뿐만이 아니라 활동적인 장소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환은 그리스도교 영성 생활 안에서 애덕 실천의 삶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관상적 삶에서 애덕 실천의 삶으로 나아간 푸코의 삶은 영성 생활에서 관상 생활 못지않게 활동 생활이 중요함을 드러낸다. 하지만 푸코가 끝까지 관상 생활을 소홀히 하지 않았던 것처럼 사막은 관상적인 의미와 활동적인 의미 모두를 품으면서 관상과 활동이 통합된 삶을 살아가게 하는 신비의 공간이 된다.
      푸코의 사막 영성은 푸코의 영성을 명시적으로 따르는 수도회와 그의 영성에 영향을 받은 공동체들을 통해서 세상에 기여하고 있다. 이들의 특징은 세상 한 가운데의 일상 속에서 세상에 가장 낮은 이들과 같은 삶을 살면서 그들에게 도움을 주는 영성을 살아간다는 것이다. 이들은 사막인 도시를 강조하며 그 안에서 오아시스가 되는 삶을 살아간다. 이러한 새로운 사막 영성은 우리 그리스도인들에게 세상의 삶 안에서 살아갈 사막 영성을 제시한다(4장).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샤를르 드 푸코에 의해서 새롭게 조명된 사막의 의미와 이 의미가 그리스도교 영성사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고찰했다. 사막의 의미가 새로운 강조점을 지니게 된 것은 샤를르...

      본 논문에서는 샤를르 드 푸코에 의해서 새롭게 조명된 사막의 의미와 이 의미가 그리스도교 영성사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고찰했다. 사막의 의미가 새로운 강조점을 지니게 된 것은 샤를르 드 푸코로부터 시작된다. 푸코의 삶은 초기 그리스도교 시대의 사막 교부들과 비슷한 모습을 보이지만 다른 목적으로 사막에 들어갔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샤를르 드 푸코가 이해한 사막과 사막 영성이 사막 교부들이 이해한 것과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면서 사막의 의미 지평이 확장되었음을 밝힌다.
      사막 교부들의 사막 의미는 세상과 단절된 극한 상황의 장소이며, 정화와 훈련에 적합한 장소이고 악마와 투쟁하는 장소이다. 사막은 이 모든 것을 통해서 하느님을 만나는 장소가 된다(2장).
      샤를르 드 푸코가 이해한 사막의 의미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가장 가난하고 가장 비천한 장소이며 애덕 실천과 선교를 행하는 장소이다. 가장 낮은 자리는 단순히 그곳에 머물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곳에서 고통 받는 이들을 위한 애덕 실천의 장소가 된다. 샤를르 드 푸코의 사막을 어떻게 이해했는지는 그의 삶과 영성을 통해 알 수 있었다. 푸코의 독특한 성소인 ‘나자렛 삶’은 그를 가장 낮은 곳인 사막으로 이끌었다. 그리고 사막은 ‘나자렛 삶’ 영성을 관상적인 영성에서 관상과 활동이 통합된 영성으로 변화시켰고, 푸코는 사막에서 적극적이고 활동적인 애덕 실천과 선교 활동을 한다(3장).
      푸코의 삶에 의해서 사막의 새로운 측면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사막에 들어가는 것은 세상으로부터 단절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세상 속의 가장 낮은 곳으로 들어가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이 세상 속의 가장 낮은 곳을 사막으로 여길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구조적 모순, 실질적인 가난, 하느님 자리에 다른 물질적인 우상이 들어선 이 세상을 하나의 거대한 사막으로 볼 수 있게 하였다. 이것을 도시의 사막화라고 할 수 있다.
      푸코의 사막 이해는 사막이 관상적인 장소뿐만이 아니라 활동적인 장소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환은 그리스도교 영성 생활 안에서 애덕 실천의 삶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관상적 삶에서 애덕 실천의 삶으로 나아간 푸코의 삶은 영성 생활에서 관상 생활 못지않게 활동 생활이 중요함을 드러낸다. 하지만 푸코가 끝까지 관상 생활을 소홀히 하지 않았던 것처럼 사막은 관상적인 의미와 활동적인 의미 모두를 품으면서 관상과 활동이 통합된 삶을 살아가게 하는 신비의 공간이 된다.
      푸코의 사막 영성은 푸코의 영성을 명시적으로 따르는 수도회와 그의 영성에 영향을 받은 공동체들을 통해서 세상에 기여하고 있다. 이들의 특징은 세상 한 가운데의 일상 속에서 세상에 가장 낮은 이들과 같은 삶을 살면서 그들에게 도움을 주는 영성을 살아간다는 것이다. 이들은 사막인 도시를 강조하며 그 안에서 오아시스가 되는 삶을 살아간다. 이러한 새로운 사막 영성은 우리 그리스도인들에게 세상의 삶 안에서 살아갈 사막 영성을 제시한다(4장).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1
      • 1.1. 문제 제기 1
      • 1.2. 연구 방법과 범위 3
      • 국문초록
      • 1. 서론 1
      • 1.1. 문제 제기 1
      • 1.2. 연구 방법과 범위 3
      • 2. 전통적인 사막의 의미 5
      • 2.1. 세상과 단절된 극한(極限)의 장소 5
      • 2.1.1. 성경에서의 사막 5
      • 2.1.2. 사막 교부들이 사막에 들어간 이유 7
      • 2.1.3. 극한 상황의 장소 9
      • 2.2. 정화와 훈련의 장소 11
      • 2.2.1. 성경에서의 정화와 훈련 11
      • 2.2.2. 사막 교부들의 정화와 훈련 15
      • 2.3. 악령과 투쟁의 장소 17
      • 2.4. 하느님과 만남의 장소 20
      • 2.5. 소결론 23
      • 3. 샤를르 드 푸코를 통해 드러난 사막의 의미 25
      • 3.1. 가장 가난하고 가장 비천한 장소 25
      • 3.1.1. 가난함과 비천함의 영성 : ‘나자렛 삶’ 25
      • 3.1.2. 가장 낮은 자리를 찾아 가는 삶 28
      • 3.1.3. 가장 가난하고 가장 비천한 장소로서의 사막 30
      • 3.2. 애덕 실천과 선교의 장소 33
      • 3.2.1. ‘나자렛 삶’의 변화 33
      • 3.2.2. 애덕의 삶 41
      • 3.2.3. 선교의 삶 48
      • 3.2.4. 애덕 실천과 선교의 장소로서의 사막 56
      • 3.3. 소결론 57
      • 4. 사막의 영성적 의미 변화와 그리스도교 영성에 기여 60
      • 4.1. 사막의 영성적 의미 변화 60
      • 4.1.1. 사막의 전통적 의미의 형성 과정 60
      • 4.1.2. 샤를르 드 푸코의 사막의 영성적 의미 62
      • 4.1.3. 푸코 이후 사막의 의미 : 도시의 사막화 63
      • 4.2. 사막의 의미 변화의 신학적 의의 : 활동의 중요성 66
      • 4.2.1. 완덕의 길에서 애덕 실천의 중요성 66
      • 4.2.2. 관상과 활동의 통합을 향한 역사적 흐름 71
      • 4.2.3. 푸코의 삶에서의 애덕 실천의 발전 75
      • 4.2.4. 푸코의 영성을 따르는 수도회들의 애덕 실천의 발전 81
      • 4.2.5. 관상과 활동이 통합된 삶의 공간으로서의 사막 83
      • 4.3. 사막의 의미 변화의 실제적 의의 : 일상생활 속의 사막 85
      • 4.3.1. 예수의 작은 형제회 86
      • 4.3.2. 예수의 작은 자매들의 우애회 87
      • 4.3.3. 기쁜 소식의 작은 형제회와 기쁜 소식의 작은 자매회 89
      • 4.3.4. 예루살렘 형제회 90
      • 4.3.5. 일상생활 속의 사막 93
      • 4.4.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제언 : 오아시스 영성 94
      • 4.5. 소결론 96
      • 5. 결론 98
      • 참고문헌 104
      • Abstract 1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