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황장애 환자의 방어기제 = Defense Mechanisms in Panic Disor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968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공황장애의 치료와 이해에 정신역동적 요소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 저자들은 양 집단간의 방어기제 척도와 주요 방어기제를 비교하...

      공황장애의 치료와 이해에 정신역동적 요소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 저자들은 양 집단간의 방어기제 척도와 주요 방어기제를 비교하여 공황장애 환자들이 정상인과는 다른 방어기제를 사용하는지, 공황장애 환자들의 방어기제의 성숙도가 과연 낮은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결과를 공황장애환자들에 대한 정신치료에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DSM-IV의 진단기준에 적합한 공황장애 환자 22명(환자군)과 정상대조군 22명을 대상으로 20개의 방어기제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자기측정 기구인 이화방어기제검사(Ewha Defense Mechanism Test)를 연구대상에 주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상 대조군에 비해 환자군에서 전치와 행동화 척도가 높았고(p〈0.05) 통제만이 이들이 흔히 사용하는 주요 방어기제였다(p〈0.05), 또한 성숙도 면에서 환자군은 정상군에 비해 신경증적 방어기제를 주요 방어기제로 사용하였다(p〈0.05). 이러한 방어기제에 대한 지식은 공황장애 환자에 대한 정신역동적 가설을 세우고 정신치료적 접근을 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spite the indications that psychodynamic factors may be important in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panic disorder, these have not been studied systematically. In this report, self-rating Ewha Defense Mechanism Test(EDMT) was used to test the hypoth...

      Despite the indications that psychodynamic factors may be important in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panic disorder, these have not been studied systematically. In this report, self-rating Ewha Defense Mechanism Test(EDMT)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es that 1) panic patients would use different defense mechanism from normal controls, 2) panic patients would use lower-maturity defenses than normal controls. Twenty-two subjects meeting the DSM-IV criteria for panic disorder and 22 normal controls were given self-rating EDMT, and were compared about the use and maturity level of defenses between the two groups. Panic subjects scored significantly much higher than normal controls on the defenses of displacement and acting out, and on the controlling as a major defense mechanism. Also, the use of neurotic defense mechanisms was more frequent in panic subjec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