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융합형 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바람직한 내용 규제체계 연구 = Change of Content Regulation System in the Age of Media Converg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911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융합형 미디어 서비스가 출현함에 따라 기존 내용 규제 체계의 적용이 어떤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나아가 융합형 미디어 서비스 시대에 콘텐츠 규제체계가 어떠한 틀을 가지고 변화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미디어 사업자를 축으로 하는 수직적 규제를 근거로 한 매체별 콘텐츠규제체계의 문제점은 첫째 융합 매체의 등장으로 인한 규제의 공백이다. 특히 UCC와 같은 이용자 중심의 새롭고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내용규제에 대한 새로운 기준이 필요하다고 제기되고 있다. 둘째 중복규제의 비효율성과 그로 인한 규제의 형평성 문제이다. 매체 간 이동성이 비교적 자유로워진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 동일 콘텐츠에 대한 차별화된 내용규제의 적용은 중복심의라는 비효율성을 초래할 여지가 있다. 셋째 인터넷 미디어의 내용규제이다. 그동안 주로 선정성과 음란성이 내용규제의 대상으로 논의되어 왔으나, 이제는 이용자 중심 콘텐츠의 다량 유통으로 인해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융합형 미디어 서비스의 등장에 대하여 향후에는 수평적 규제에 근거한 콘텐츠 규제체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며, 미디어 사업자를 중심으로 한 자율규제가 효율적인 모색 안이 될 수 있다. 이때 수평적 규제는 콘텐츠의 특성별 맞춤형 내용규제의 기준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변화한 미디어 환경에서도 방송의 사회적 영향력은 여전하기 때문에, 방송미디어에 대해서는 법적인 효력을 갖는 강력한 내용 규제가 여전히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융합형 미디어 서비스가 출현함에 따라 기존 내용 규제 체계의 적용이 어떤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나아가 융합형 미디어 서비스 시대에 콘텐츠 규제체계가 어떠한 틀...

      본 연구는 융합형 미디어 서비스가 출현함에 따라 기존 내용 규제 체계의 적용이 어떤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나아가 융합형 미디어 서비스 시대에 콘텐츠 규제체계가 어떠한 틀을 가지고 변화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미디어 사업자를 축으로 하는 수직적 규제를 근거로 한 매체별 콘텐츠규제체계의 문제점은 첫째 융합 매체의 등장으로 인한 규제의 공백이다. 특히 UCC와 같은 이용자 중심의 새롭고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내용규제에 대한 새로운 기준이 필요하다고 제기되고 있다. 둘째 중복규제의 비효율성과 그로 인한 규제의 형평성 문제이다. 매체 간 이동성이 비교적 자유로워진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 동일 콘텐츠에 대한 차별화된 내용규제의 적용은 중복심의라는 비효율성을 초래할 여지가 있다. 셋째 인터넷 미디어의 내용규제이다. 그동안 주로 선정성과 음란성이 내용규제의 대상으로 논의되어 왔으나, 이제는 이용자 중심 콘텐츠의 다량 유통으로 인해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융합형 미디어 서비스의 등장에 대하여 향후에는 수평적 규제에 근거한 콘텐츠 규제체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며, 미디어 사업자를 중심으로 한 자율규제가 효율적인 모색 안이 될 수 있다. 이때 수평적 규제는 콘텐츠의 특성별 맞춤형 내용규제의 기준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변화한 미디어 환경에서도 방송의 사회적 영향력은 여전하기 때문에, 방송미디어에 대해서는 법적인 효력을 갖는 강력한 내용 규제가 여전히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oblems of present content regulation system to review contents of convergent media. This study attempts to make a new framework of content regulatory system in the convergent media environment. Since the media ecosystem has been changed from vertical and closed type to horizontal and open type, the paradigm of content regulatory system also needs to be changed. It is very ineffective to review contents of convergent media with current regulation system. For example, UCC are not regulated under current regulatory system, since UCC is not classified as broadcasting contents. Since multi platforms that one content can be distributed in a variety of platforms, contents can be regulated repetitively and it makes contents review system inefficient. The most significant problem of content regulation in the age of media convergence is how to regulate internet media properly. Through internet media huge amounts of harmful contents are distributed. However it is almost impossible to review all the harmful contents of internet media. Distribution through internet media causes many problems such as copyright law breaking. So we need to find out new regulatory content system to review internet media contents efficient. As a new regulatory system, this study proposes horizontal regulatory system which does not reflect media specific features. Application of horizontal regulatory system focusing on contents, so it avoids traditional media specific different regulation. In horizontal regulatory system more users`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review process is needed. However we still need a strict content regulation system to a contents of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contents targeting children and teenagers, since its influence on the socie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oblems of present content regulation system to review contents of convergent media. This study attempts to make a new framework of content regulatory system in the convergent media environment. Since the 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oblems of present content regulation system to review contents of convergent media. This study attempts to make a new framework of content regulatory system in the convergent media environment. Since the media ecosystem has been changed from vertical and closed type to horizontal and open type, the paradigm of content regulatory system also needs to be changed. It is very ineffective to review contents of convergent media with current regulation system. For example, UCC are not regulated under current regulatory system, since UCC is not classified as broadcasting contents. Since multi platforms that one content can be distributed in a variety of platforms, contents can be regulated repetitively and it makes contents review system inefficient. The most significant problem of content regulation in the age of media convergence is how to regulate internet media properly. Through internet media huge amounts of harmful contents are distributed. However it is almost impossible to review all the harmful contents of internet media. Distribution through internet media causes many problems such as copyright law breaking. So we need to find out new regulatory content system to review internet media contents efficient. As a new regulatory system, this study proposes horizontal regulatory system which does not reflect media specific features. Application of horizontal regulatory system focusing on contents, so it avoids traditional media specific different regulation. In horizontal regulatory system more users`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review process is needed. However we still need a strict content regulation system to a contents of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contents targeting children and teenagers, since its influence on the socie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보통신윤리위원회, "해외 인터넷 내용규제 법제도 연구"

      2 이상우, "통신.방송 융합시대의 수평적 규제체계: 유럽연합과 OECD의 전송과 콘텐츠 분리규제 분석" KISDI 2006

      3 황성기, "청소년보호를 위한 표현물 규제시스템의 헌법적 고찰" 29 (29): 289-310, 2001

      4 이영주, "지상파 방송에 대한 방송심의규제의 타당성에 대한 고찰 :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및 집행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2 (52): 298-321, 2008

      5 이영주, "지상파 방송에 대한 방송심의규제의 타당성에 대한 고찰 :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및 집행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2 (52): 298-321, 2008

      6 이창현, "지상파 방송심의를 둘러싼 영향력 집단의 갈등과 심의개선의 모색" 문화방송 8 (8): 64-93, 2007

      7 황지연, "융합시대 사회문화 트렌드와 UCC활용 전망" 18 (18): 2007

      8 양동철, "우리나라 인터넷 내용규제 실태에 대한 소고" 17 : 45-92, 2007

      9 박선영, "언론정보법 연구II : 방송의 자유와 법적 제한" 법문사 2002

      10 조연하, "방송프로그램 등급제의 자율규제 모델에 관한 연구: 이해 집단별 인식유형을 중심으로" (겨울) : 275-320, 2001

      1 정보통신윤리위원회, "해외 인터넷 내용규제 법제도 연구"

      2 이상우, "통신.방송 융합시대의 수평적 규제체계: 유럽연합과 OECD의 전송과 콘텐츠 분리규제 분석" KISDI 2006

      3 황성기, "청소년보호를 위한 표현물 규제시스템의 헌법적 고찰" 29 (29): 289-310, 2001

      4 이영주, "지상파 방송에 대한 방송심의규제의 타당성에 대한 고찰 :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및 집행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2 (52): 298-321, 2008

      5 이영주, "지상파 방송에 대한 방송심의규제의 타당성에 대한 고찰 :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및 집행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2 (52): 298-321, 2008

      6 이창현, "지상파 방송심의를 둘러싼 영향력 집단의 갈등과 심의개선의 모색" 문화방송 8 (8): 64-93, 2007

      7 황지연, "융합시대 사회문화 트렌드와 UCC활용 전망" 18 (18): 2007

      8 양동철, "우리나라 인터넷 내용규제 실태에 대한 소고" 17 : 45-92, 2007

      9 박선영, "언론정보법 연구II : 방송의 자유와 법적 제한" 법문사 2002

      10 조연하, "방송프로그램 등급제의 자율규제 모델에 관한 연구: 이해 집단별 인식유형을 중심으로" (겨울) : 275-320, 2001

      11 여성민우회 미디어운동본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역할과 과제" 2008

      12 주정민, "방송통신 융합과 해외의 콘텐츠 심의체계 변화" 미디어미래연구소 2007

      13 하윤금, "방송의 내용 규제와 영향력 평가"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3

      14 이승선, "방송위원회 방송심의의 특성과 방송사 자율심의의 과제" 한국방송비평학회 2007

      15 박승권, "방송법 개요 및 IPTV정책 동향 및 해외 동향"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5

      16 강재원, "방송ㆍ통신 융합서비스의 규제 방향: IPTV에 대한 규제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0 (20): 7-43, 2006

      17 오용수, "방송·통신 융합에 따른 규제체계 전환의 정책방향" 한국방송학회 (62) : 137-169, 2006

      18 이상도, "방송 프로그램 협찬 제도의 문제점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독일과 한국의 관련법규 비교검토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6 (6): 448-484, 2006

      19 김창규, "방송 · 통신 융합에 따른 통합규제기구의 위상과 역할" 한국방송학회 (58) : 57-100, 2004

      20 김대호, "미디어 산업에 대한 규제 체제의 패러다임 변화"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4 (24): 195-223, 2007

      21 강남준, "미국방송협회(NAB) 자율심의 제도의 변천과정: 한국 방송심의제도에 던지는 함의" 한국방송학회 (63) : 179-207, 2006

      22 안정민, "미국 방송매체의 음란/외설 규제정책의 변화과정 분석" 한국방송학회 (65) : 111-141, 2007

      23 조연하, "매체 자율등급심의 모델의 유형화 : 방송, 영화, 비디오, 게임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61) : 287-317, 2005

      24 방석호, "디지털 컨버전스에 따른 내용규제의 논리 연구" 12 : 73-97, 2003

      25 주정민, "디지털 융합시대 콘텐츠 내용규제 제도에 대한 비교 연구" 19 : 5-16, 2007

      26 이상우, "공익과 경쟁: 융합 환경에서 공익성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17 (17): 77-113, 2006

      27 Campbell, A, "Self-regulation and the Media" 51 : 711-772, 1999

      28 Ogus, A, "Rethinking Self-Regulation" 15 : 98-108, 1992

      29 Krattenmaker, T, "Regulating Broadcast Programming" The MIT Press 1994

      30 김대호, "Reform of Contents Review System in the Converging Media Age. <내용규제 패러다임의 변화와 향후 과제>" 방송통신 심의위원회 2008

      31 Jacobs, J. A, "Comparing regulatory models: Self-regulation vs. Government regulation: The contrast between the regulation of motion picture and broadcasting may have implications for Internet regulation" 1 (1): 1-38, 1996

      32 Werbach, L, "A Layered Model for Internet Policy" 1 : 37-67, 2002

      33 황성기, ""방송통신 융합 하의 심의 어떻게 할 것인가: 방송통신융합 구조 개편 쟁점과 통합적 내용규제 기구 검토를 중심으로."" 여성민우회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2-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사회과학연구논총 -> 사회과학연구논총
      외국어명 : 미등록 -> Ewha Journal of Social Sciences
      KCI등재
      2015-01-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회과학연구소 -> 이화사회과학원
      영문명 : Social Sciences Research Institute -> Ewha Institute of Social Sciences(EIS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5-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사회과학연구논총 제1호 -> 사회과학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82 1.133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