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달지연 아동의 고유수용성 감각 기반 치료 활동이 감각처리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사례 연구 = Effects of Proprioception based Therapy on Sensory Processing and Problematic Behavior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737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prioceptive sensory-based therapeutic activities on sensory processing and problematic behavior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wo 5-year-old chi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prioceptive sensory-based therapeutic activities on sensory processing and problematic behavior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wo 5-year-old children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delay that was mediated through proprioceptive sensory-based therapeutic activities. The mediation done once a week for 50 minutes per session, for a total of 12 session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sensory-based treatment activities, sensory processing was evaluated using the Sensory Profile and problematic behaviors were evaluated using the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in valu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visual analysis was done using graphs.
      After the proprioceptive sensory-based treatment activity, participant 1 was clear in the following items: sensory profile, sensory processing, visual processing, vestibular sensory processing, tactile processing, multisensory processing, oral sensory processing, endurance and muscle tone control, body posture movement control, and activity level control.
      The difference improved from that of the doubt difference, and the results showed improvement in atrophy, depression and anxiety, social immaturity, attention problems, aggression, internalization problems, and externalization problems in the child and adolescent behavior evaluation scale. Participant 2 showed an improvement in all items except the reaction threshold items in the sensory profile, and atrophy, depression/anxiety, social immaturity, thinking problems, attention problems, delinquency, aggression, internalization problems, and externalization in the child and adolescent behavior evaluation scale. Improved results were found on the problem scale.
      This study confirmed that proprioceptive sensory-based therapeutic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sensory processing and problematic behavior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발달지연 아동에게 고유수용성 감각 기반 치료 활동이 아동의 감각처리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발달지연은 진단받은 만 5...

      목적: 본 연구는 발달지연 아동에게 고유수용성 감각 기반 치료 활동이 아동의 감각처리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발달지연은 진단받은 만 5세아동 2명으로 고유수용성 감각 기반 치료 활동을 통한 중재를 하였다. 중재 시간은 회기당 50분씩 실시하였고, 중재 기간은 주 1회씩 총 12회기 동안 진행하였다. 중재 전과 후에는고유수용성 감각 기반 치료 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감각처리는 감각 프로파일(Sensory Profile)과 문제행동은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 로 평가를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중재 전과 후의 차이 값을산출하여 비교하였고, 그래프를 통한 시각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고유수용성 감각 기반 치료 활동 후 대상자 1은 감각프로파일에서 감각처리, 시각처리, 전정감각처리, 촉각처리, 다감각처리, 구강감각처리, 지구력 및 근긴장도 조절, 신체자세 움직임 조절, 활동 정도 조절 항목에서 명확한 차이에서의심성 차이로 개선되었고,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에서위축, 우울 및 불안, 사회적 미성숙, 주의집중 문제, 공격성,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에서 개선된 결과가 나타났다. 대상자 2는 감각 프로파일에서 반응역치 항목을 제외한 모든항목에서 개선이 되었고,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에서위축, 우울/불안, 사회적 미성숙, 사고의 문제, 주의집중 문제, 비행, 공격성, 내재화 문제, 외재화 문제 척도에서 개선된 결과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고유수용성 감각 기반 치료 활동은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처리 및 문제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차유진 ; 김세연 ; 우희순 ; 정희승 ; 김은주 ; 최유임 ; 박수현, "한국형 발달프로파일-Ⅲ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 18 (18): 11-21, 2010

      2 김명선 ; 하은혜 ; 오경자, "심리장애 진단아동의 K-CBCL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척도 군집분석" 한국임상심리학회 33 (33): 675-693, 2014

      3 김보람 ; 신지은 ; 김경미, "경직형 양하지 마비 아동과 일반아동의 감각처리 능력 비교"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13 (13): 21-29, 2015

      4 Natalie Silove, "Update on the investigation of children with delayed development" Wiley 49 (49): 519-525, 2013

      5 Lephart, S. M., "The role of proprioception in the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of athletic injuries" 25 (25): 130-137, 1997

      6 Kim, J. M., "The review of proprioceptive activities i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5 (5): 52-63, 2007

      7 Janda, V., "Physical therapy of the low back" Churchill livingstone 253-278, 1987

      8 Wingert, J. R., "Joint-position sense and kinesthesia in cerebral palsy" 90 (90): 447-453, 2009

      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Vol. 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10 Kim, M. S., "Comparison of sensory treatment capabilities of children with general childhood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9 (9): 1-10, 2001

      1 차유진 ; 김세연 ; 우희순 ; 정희승 ; 김은주 ; 최유임 ; 박수현, "한국형 발달프로파일-Ⅲ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 18 (18): 11-21, 2010

      2 김명선 ; 하은혜 ; 오경자, "심리장애 진단아동의 K-CBCL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척도 군집분석" 한국임상심리학회 33 (33): 675-693, 2014

      3 김보람 ; 신지은 ; 김경미, "경직형 양하지 마비 아동과 일반아동의 감각처리 능력 비교"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13 (13): 21-29, 2015

      4 Natalie Silove, "Update on the investigation of children with delayed development" Wiley 49 (49): 519-525, 2013

      5 Lephart, S. M., "The role of proprioception in the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of athletic injuries" 25 (25): 130-137, 1997

      6 Kim, J. M., "The review of proprioceptive activities i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5 (5): 52-63, 2007

      7 Janda, V., "Physical therapy of the low back" Churchill livingstone 253-278, 1987

      8 Wingert, J. R., "Joint-position sense and kinesthesia in cerebral palsy" 90 (90): 447-453, 2009

      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Vol. 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10 Kim, M. S., "Comparison of sensory treatment capabilities of children with general childhood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9 (9): 1-10, 2001

      11 박하나 ; 김경미, "Ayres 감각통합 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운동발달에 미치는 효과"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17 (17): 18-30, 2019

      12 Jung, H. J., "An infant developmental disorder" 47 (47): 131-142,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