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광암으로 근치적 방광적출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림프혈관침윤이 방광암 환자의 생존에 독립적 예후 인자임을 알아보고, 림프혈관침윤이 있는 환자에서 술 후 보조화학요법이 미치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방광암으로 근치적 방광적출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림프혈관침윤이 방광암 환자의 생존에 독립적 예후 인자임을 알아보고, 림프혈관침윤이 있는 환자에서 술 후 보조화학요법이 미치는 ...
방광암으로 근치적 방광적출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림프혈관침윤이 방광암 환자의 생존에 독립적 예후 인자임을 알아보고, 림프혈관침윤이 있는 환자에서 술 후 보조화학요법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1989년부터 2004년 사이에 방광암으로 본원에서 근치적 방광적출술을 시행 받은 260명 환자의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나이, 성별, 림프혈관침윤 상태를 포함한 병리 자료, 보조화학요법 시행 여부 등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병기 별 림프혈관침윤의 빈도, 종양특이생존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근치적 방광적출술 후 림프혈관침윤 양성인 환자에서 보조화학요법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43.8개월 (3-180)이었다.
전체 260명의 환자 중 125명 (48%)에서 림프혈관침윤 양성이었다. 림프혈관침윤은 T 병기와 N 병기가 높을수록 그 빈도가 높았다 (T1 29.0%, T2 45.6%, T3 58.1%, T4 65.0%; N0 37.1%, N1 63.0%, N2 74.1%; p<.001). 림프혈관침윤은 림프절 음성인 환자의 종양특이생존에 유의한 독립적 예후 인자였다. 보조화학요법은 림프절 음성인 환자에서는 림프혈관침윤이 양성이라 하더라도 생존에 이득이 없었다. 보조화학요법은 림프절 양성인 환자의 생존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는데, 이러한 효과는 림프절 양성, 림프혈관침윤 양성인 경우에만 해당되었다.
림프혈관침윤은 근치적 방광적출술 후 림프절 전이 음성인 환자의 생존에 독립적 예후 인자였다. 술 후 보조화학요법은 림프혈관침윤을 가진 국소진행성 방광암 환자의 생존에 도움이 되지 못했으나, 림프절 전이 및 림프혈관침윤 양성인 환자의 생존을 증가시켰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We assessed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lymphovascular invasion (LVI) in bladder cancer and the impact of adjuvant chemotherapy on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LVI at radical cystectomy.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the results o...
Objective: We assessed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lymphovascular invasion (LVI) in bladder cancer and the impact of adjuvant chemotherapy on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LVI at radical cystectomy.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the results of 260 patients who underwent radical cystectomy with pelvic lymphadenectomy for bladder cancer between 1989 and 2004. All patient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sex, age, pathology data including LVI status, adjuvant chemotherapy, and so on.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LVI according to pathologic stage, the impact of LVI on cancer-specific survival, and the impact of adjuvant chemotherapy on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LVI at radical cystectomy. Mean follow-up was 43.8 months (3-180, median 33.6).
Results: Of the 260 patients 125 (48%) had LVI. Prevalence of LVI increased with higher T stage (29.0%, 45.6%, 58.1% and 65.0% for T1, T2, T3 and T4, respectively; p<.001) and N stage (37.1%, 63.0% and 74.1% for N0, N1 and N2, respectively; p<.001). In node-negative patients, LVI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cancer-specific survival, while in node-positive patients, LVI was not. Adjuvant chemotherapy was not beneficial in node-negative patients, even those with LVI. As for node-positive patients, the impact of chemotherapy was limited to LVI-positive status.
Conclusions: LVI is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cancer-specific survival in node-negative patients at radical cystectomy. Adjuvant chemotherapy was not beneficial in patients with LVI as the sole risk factor for survival, but beneficial in node-positive and LVI-positive patient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