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범죄 두려움을 개인 특성에 주목함과 동시에 공간적 특성에 대한 인식이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개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범죄 두려움을 개인 특성에 주목함과 동시에 공간적 특성에 대한 인식이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개인...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범죄 두려움을 개인 특성에 주목함과 동시에 공간적 특성에 대한 인식이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개인적 특성 외에도 공간적 특성이 범죄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과 2012년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대표본 자료인 사회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모형으로는 자료에서 제공하는 범죄 두려움에 대한 응답이 순서・범주형으로 구성된 것을 고려하여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범죄 두려움과 개인 및 사회경제적 특성, 그리고 공간적 특성은 밀접한 인과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특히, 공간 특성을 고려한 시설계획은 자연적 감시기능을 증진하여 범죄 두려움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그리고 범죄 두려움을 낮출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준태, "판교 시민들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CPTED의 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경찰연구학회 10 (10): 175-196, 2011
2 최수형, "청소년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339-363, 2009
3 이성식, "지역사회 경찰활동과 범죄 두려움" 한국공안행정학회 10 : 133-159, 2000
4 이성식, "지역무질서, 집합효율성, 범죄두려움의 관계: 세 모델의 검증" 한국피해자학회 20 (20): 487-509, 2012
5 류준혁, "지역 주민의 범죄 위험 인식 분석에 대한 연구 - 구체적 범죄 두려움 결정요인 분석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7 (7): 1-24, 2011
6 박승훈, "주택유형이 범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서울시 25개 자치구를 중심으로 -" 한국주거학회 25 (25): 85-92, 2014
7 민영, "인터넷 이용과 정보격차: 정보접근성, 활용능력, 그리고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2009
8 차훈진, "여성의 범죄 두려움의 사회심리학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학회 3 (3): 169-197, 2007
9 허선영, "안전도시 조성을 위한 범죄의 공간적 분포와 도시의 장소별 발생특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5 (15): 78-89, 2012
10 성용은, "시민의 개인적 특성과 범죄두려움 관계 분석" 한국경호경비학회 (14) : 261-284, 2007
1 임준태, "판교 시민들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CPTED의 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경찰연구학회 10 (10): 175-196, 2011
2 최수형, "청소년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339-363, 2009
3 이성식, "지역사회 경찰활동과 범죄 두려움" 한국공안행정학회 10 : 133-159, 2000
4 이성식, "지역무질서, 집합효율성, 범죄두려움의 관계: 세 모델의 검증" 한국피해자학회 20 (20): 487-509, 2012
5 류준혁, "지역 주민의 범죄 위험 인식 분석에 대한 연구 - 구체적 범죄 두려움 결정요인 분석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7 (7): 1-24, 2011
6 박승훈, "주택유형이 범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서울시 25개 자치구를 중심으로 -" 한국주거학회 25 (25): 85-92, 2014
7 민영, "인터넷 이용과 정보격차: 정보접근성, 활용능력, 그리고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2009
8 차훈진, "여성의 범죄 두려움의 사회심리학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학회 3 (3): 169-197, 2007
9 허선영, "안전도시 조성을 위한 범죄의 공간적 분포와 도시의 장소별 발생특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5 (15): 78-89, 2012
10 성용은, "시민의 개인적 특성과 범죄두려움 관계 분석" 한국경호경비학회 (14) : 261-284, 2007
11 김현중, "수도권 5대 범죄의 결정요인: Mixed GWR모형의 적용" 서울연구원 12 (12): 137-155, 2011
12 차훈진, "성별에 따른 범죄에 대한 인식이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7 (7): 177-210, 2008
13 한형수, "서울시 재정비촉진지구내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의 적용방안 실증분석 –목동아파트 입주민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환경학회 7 (7): 175-198, 2009
14 이재영, "범죄피해경험과 지역특성의 상호작용이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범죄심리학회 7 (7): 231-250, 2011
15 박철현, "범죄피해경험, 이웃통합 그리고 범죄의 두려움:대학생에 대한 심층면접결과를 중심으로" 한국피해자학회 13 (13): 51-77, 2005
16 노성호, "범죄의 두려움에 대한 경험적 연구" 한국피해자학회 6 : 169-205, 1998
17 고준호, "범죄와 두려움의 공간적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18 신의기,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설계의 제도화 방안(Ⅰ)"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8
19 조은경,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의 차이"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9 (9): 1-21, 2003
20 이윤호, "범죄에 대한 공포: 그 원인과 반응" 형사정책연구원 4 (4): 27-44, 1993
21 박정선, "범죄두려움의 지역적 차이에 대한 연구: 수준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범죄비행학회 1 : 75-96, 2011
22 박정선, "범죄두려움에 관한 다수준적 접근 : 주요 모델들의 검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1 (21): 173-203, 2010
23 이성우, "로짓프로빗모형 응용" 박영사 2005
24 허선영, "도시내 범죄발생과 범죄 두려움 위치의 공간적 차이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4 (14): 194-207, 2011
25 김성언, "노인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 쟁점과 경험적 탐색"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4 (24): 393-426, 2013
26 이성우, "공간적, 환경적 요인이 범죄피해에 미치는 영향" 서울연구원 7 (7): 57-76, 2006
27 송봉규, "경찰활동과 범죄에 대한 두려움" 한국범죄심리학회 8 (8): 133-152, 2012
28 Garofalo, J., "Victimization and Fear of Crime" 16 : 80-97, 1979
29 Wilson, J. Q., "The Police and Neighborhood Safety: Broken Windows" 127 : 29-38, 1982
30 Baumer, Terry L., "Testing a general model of fear of crime: data from a national sample" 22 (22): 239-255, 1985
31 Villarreal, A., "Social Cohesion, Criminal Victimization and Perceived Risk of Crime in Brazilian Neighborhoods" 84 (84): 1725-1753, 2006
32 May, David C., "Predictors of fear of criminal victimization at school among adolescent" 20 : 149-168, 2000
33 LaGrage, R. L., "Perceived risk and fear of crime: Role of social and physical incivilities" 29 : 311-334, 1992
34 Sampson. R. J., "Neighborhoods and Violent Crime: a Multilevel Study of collective Efficacy" 277 : 918-924, 1997
35 Ross, C. E., "Neighborhood Disorder, Fear and Mistrust: the Buffering Role of Social Ties with Neighbors" 28 : 401-420, 2000
36 Madala, G. S., "Limited Dependent and Qualitative Variables in Econometr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37 Maxfield, M, G., "Lifestyle and Routine Activity Theories of Crime: Empirical Studies of Victimization, Delinquency, and Offender Decision-making" 3 : 275-282, 1987
38 Lisk, A. E., "Fear of crime and constrained behavior" 66 : 827-837, 1988
39 Clarke, Alan H., "Fear of crime among the elderly" 22 : 49-62, 1982
40 Warr, M., "Fear of Victimazation: A Look at the Proximate Causes" 61 (61): 1033-1043, 1983
41 Ferraro, K. F., "Fear of Crime: Interpreting Victimization Ris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
42 Covington, J., "Fear of Crime in Urban Residential Neighborhoods" 32 (32): 231-249, 1991
43 Skogan, W., "Disorder and Decline: Crime and the Spiral of Decay in American Citi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0
44 Skogan, W., "Coping with Crime" Sage 1981
45 Franklin, Travis W., "A multilevel analysis of the vulnerability, disorder, and social integration model of fear of crime" 2 : 204-227, 2008
범죄발생과 토지이용 간 공간적 상관관계 탐색을 위한 실증연구
고속철도역세권에 있어 TOD개발에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10-1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도시행정학보 -> 도시행정학보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9 | 0.79 | 1.0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8 | 0.93 | 1.292 | 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