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절대 공간으로서의 풍경 = The landscape as an absolute space: ‘the second landscape’ and a ontological mo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146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두 번째 풍경’이라는 개념을 통해 절대 공간으로서의 풍경의 의미에 대해 접근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쓰였다. 풍경이라는 말은 풍부한 이론적 함축을 지니고 있다. 일상적인 사...

      이 논문은 ‘두 번째 풍경’이라는 개념을 통해 절대 공간으로서의 풍경의 의미에 대해 접근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쓰였다. 풍경이라는 말은 풍부한 이론적 함축을 지니고 있다. 일상적인 사용에서 풍경이라는 단어는 주체의 시선에 포착되는 특별한 정경이나 상황을 뜻하는 중립적인 것이다. 풍경은 낯선 것이지만 차츰 낯익어지면서 일상이 된다. 이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풍경은 그 반대의 것, 낯익음이 어느 순간 낯섦으로 다가오는 때의 경험이다. 이것을 ‘두 번째 풍경’이라 명명했는데, 이는 시선의 시공간적인 이동을 통해 만들어지며 그것을 바라보는 주체의 시선을 자기반영성을 형태로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하나의 공간으로 사유될 수 있다. 풍경은 객관적인 것으로서의 공간과 주관적인 것으로서의 장소의 불일치로 인해, 그 간극에서 생겨나며, 이런 점에서 헤겔적 의미에서의 절대적인 것이라 말할 수 있다. 절대 공간으로서의 풍경은 라캉이 응시라는 단어로 개념화한 작용의 산물로서, 이 논문에서는 그것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구니키타 돗포의 단편소설 「잊을 수 없는 사람들」과 홍상수의 장편영화 「북촌방향」을 통해 기술하고자 했다. 여기에서 ‘두 번째 풍경’은 존재론적 순간이 만들어내는 공간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was written on the purpose of illuminating the notion of the landscape as an absolute space by coining an idea of ‘the second landscape’. The word of landscape has rich theoretical implications in itself. It usually means an expense of ...

      This paper was written on the purpose of illuminating the notion of the landscape as an absolute space by coining an idea of ‘the second landscape’. The word of landscape has rich theoretical implications in itself. It usually means an expense of special scenery or situations, which becomes gradually familiar as time goes by. However the notion of the landscape which I coined in this paper has the contrary vector of familiarity. When something familiar suddenly comes out to be alien for a subject, it also makes a special scene to him/her. It can be called ‘the second landscape’, which is made by a temporal or spatial transposition of a eye. It also can be considered as a space in that it have a subject’s eye as a form of the self-referentiality. A landscape is made from the discrepancy between a space (the objective) and a place (the subjective), which can be regarded as an absolute in Hegelian term. The landscape as an absolute space is also an idea made by the mechanism of a Lacanian gaze. I depicted a model of its process by analyzing a short story of a Japanese writer, Kunikida Doppo’s and a film of Korean director, Hong Sang-su’s. We can find there ‘the second landscape’ made by an ontological mo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두 번째 풍경’
      • 2. 절대 공간으로서의 풍경
      • 3. 풍경과 응시: 고진의 풍경론이 놓친 것
      • 4. 라캉의 응시와 홍상수의 <북촌방향>
      • 국문초록
      • 1. ‘두 번째 풍경’
      • 2. 절대 공간으로서의 풍경
      • 3. 풍경과 응시: 고진의 풍경론이 놓친 것
      • 4. 라캉의 응시와 홍상수의 <북촌방향>
      • 5. 숭고와 풍경, 존재론적 순간
      • 6. 맺음말
      • 참고문헌
      • 영문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