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농업벤처기업의 빅데이터 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TOE 프레임워크 관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Big Data Use Intention of Agriculture Ventures : Focused on TOE Framewo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1525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ICT 기술 발달과 함께 축적된 빅데이터의 활용은 글로벌 농산업계에 파괴적 혁신을 가져오고 있다. 최근 정부는 농업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지원조직 신설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국내 농산업계는 작물생산 업종의 일부 기업 외에는 빅데이터 활용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선도적으로 활용하여 혁신을 창출하는 주체가 되어야 할 농업벤처기업을 중심으로 기술, 조직, 환경의 복합적인 맥락에서 빅데이터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업종과 매출규모에 따른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농식품벤처·창업지원특화센터로부터 협조를 받아 309개 농업벤처기업의 유효데이터를 확보하였으며, SPSS ver. 22.0과 PROCESS macro v3.4를 이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정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기술적 요인 중에서는 상대적 이점과 호환성이 농업벤처기업의 빅데이터 활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적 요인 중에서는 경영층 지원과 비용이 농업벤처기업의 빅데이터 활용의도에 각각 유의한 정(+)의 영향과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적 요인 중에서는 정책적 지원만이 농업벤처기업의 빅데이터 활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빅데이터 활용의도에 미치는 독립변수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를 비교해보면, 호환성, 경영층 지원, 상대적 이점, 정책적 지원, 비용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 째, 농업벤처기업의 업종은 호환성을 제외한 모든 TOE 변수들과 빅데이터 활용의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 째, 농업벤처기업의 매출규모는 조직혁신성 및 법적·규정적지원의 빅데이터 활용의도에 대한 영향 관계에서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문적 가치는 농업 빅데이터 활용기술의 실수요자인 농업벤처기업의 입장에서 활용의도에 실제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들을 기술적, 조직적, 환경적 맥락으로 나누어 이론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있다. 특히 다양한 선행연구로부터 영향요인을 도출하여, 실증연구를 통해 농산업 분야와 벤처기업의 특성에 맞는 핵심요인을 규명한 최초의 연구이다. 또한 조절효과 검정을 통해 업종에 따른 요인별 영향력의 차이 또는 유무를 밝혔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우선 상대적 이점과 정책적 지원이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정부기관에서 농업벤처로 하여금 빅데이터 활용을 통한 새로운 수익창출 기회와 운영 효율성 제고가 가능한 핵심사업을 선정하여 협업기회를 늘리는 정책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호환성, 경영층지원 순으로 영향력이 높다는 결과는 작물별·기기별로 데이터 표준화가 부족하고 비정형 데이터가 많은 농업 특성에 맞는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이 정책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중요하며, 농업벤처와 같은 소규모 조직에서는 최고경영층의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높은 이해수준으로부터 출발한 조직문화 재편 의지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업종의 조절효과 검정 결과는 핵심사업의 추진과 정책적 지원의 우선순위를 작물생산 분야와 이외 분야로 나누어 중단기/중장기 과제로 추진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설문표본이 대부분 사업화 초기단계이거나 매출규모가 작은 기업 비중이 높은 점, 그리고 대부분 대표이사 등 경영층이나 일부 관리자급 응답이 포함된 점, 조절효과 검정에 업종을 보다 세분화하지 못한 점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사업화 단계별 빅데이터 활용 인식과 사업화 성과 및 활용방안에 대한 비교 연구, 업종별 심화연구가 이뤄진다면 보다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ICT 기술 발달과 함께 축적된 빅데이터의 활용은 글로벌 농산업계에 파괴적 혁신을 가져오고 있다. 최근 정부는 농업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지원조직 신설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국...

      ICT 기술 발달과 함께 축적된 빅데이터의 활용은 글로벌 농산업계에 파괴적 혁신을 가져오고 있다. 최근 정부는 농업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지원조직 신설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국내 농산업계는 작물생산 업종의 일부 기업 외에는 빅데이터 활용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선도적으로 활용하여 혁신을 창출하는 주체가 되어야 할 농업벤처기업을 중심으로 기술, 조직, 환경의 복합적인 맥락에서 빅데이터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업종과 매출규모에 따른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농식품벤처·창업지원특화센터로부터 협조를 받아 309개 농업벤처기업의 유효데이터를 확보하였으며, SPSS ver. 22.0과 PROCESS macro v3.4를 이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정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기술적 요인 중에서는 상대적 이점과 호환성이 농업벤처기업의 빅데이터 활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적 요인 중에서는 경영층 지원과 비용이 농업벤처기업의 빅데이터 활용의도에 각각 유의한 정(+)의 영향과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적 요인 중에서는 정책적 지원만이 농업벤처기업의 빅데이터 활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빅데이터 활용의도에 미치는 독립변수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를 비교해보면, 호환성, 경영층 지원, 상대적 이점, 정책적 지원, 비용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 째, 농업벤처기업의 업종은 호환성을 제외한 모든 TOE 변수들과 빅데이터 활용의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 째, 농업벤처기업의 매출규모는 조직혁신성 및 법적·규정적지원의 빅데이터 활용의도에 대한 영향 관계에서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문적 가치는 농업 빅데이터 활용기술의 실수요자인 농업벤처기업의 입장에서 활용의도에 실제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들을 기술적, 조직적, 환경적 맥락으로 나누어 이론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있다. 특히 다양한 선행연구로부터 영향요인을 도출하여, 실증연구를 통해 농산업 분야와 벤처기업의 특성에 맞는 핵심요인을 규명한 최초의 연구이다. 또한 조절효과 검정을 통해 업종에 따른 요인별 영향력의 차이 또는 유무를 밝혔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우선 상대적 이점과 정책적 지원이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정부기관에서 농업벤처로 하여금 빅데이터 활용을 통한 새로운 수익창출 기회와 운영 효율성 제고가 가능한 핵심사업을 선정하여 협업기회를 늘리는 정책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호환성, 경영층지원 순으로 영향력이 높다는 결과는 작물별·기기별로 데이터 표준화가 부족하고 비정형 데이터가 많은 농업 특성에 맞는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이 정책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중요하며, 농업벤처와 같은 소규모 조직에서는 최고경영층의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높은 이해수준으로부터 출발한 조직문화 재편 의지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업종의 조절효과 검정 결과는 핵심사업의 추진과 정책적 지원의 우선순위를 작물생산 분야와 이외 분야로 나누어 중단기/중장기 과제로 추진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설문표본이 대부분 사업화 초기단계이거나 매출규모가 작은 기업 비중이 높은 점, 그리고 대부분 대표이사 등 경영층이나 일부 관리자급 응답이 포함된 점, 조절효과 검정에 업종을 보다 세분화하지 못한 점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사업화 단계별 빅데이터 활용 인식과 사업화 성과 및 활용방안에 대한 비교 연구, 업종별 심화연구가 이뤄진다면 보다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가. 연구의 배경 1
      • 나. 연구의 목적 4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가. 연구의 배경 1
      • 나. 연구의 목적 4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 3. 논문의 구성 7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8
      • 1. 농업벤처기업과 빅데이터 활용 8
      • 가. 빅데이터의 개념과 활용분야 8
      • 나. 농업분야 빅데이터 기술의 필요성과 활용현황 13
      • 다. 농업분야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연구 추이 20
      • 2. TOE(기술-조직-환경) 프레임워크 27
      • 가. TOE 프레임워크 27
      • 나. 혁신확산이론 31
      • 다. TOE 프레임워크 연구 추세와 특징 32
      • 3. 기술적 요인 34
      • 가. 기술적 요인의 구성변수 34
      • 나. 기술적 요인과 활용의도와의 관계 38
      • 4. 조직적 요인 46
      • 가. 조직적 요인의 구성변수 46
      • 나. 조직적 요인과 활용의도와의 관계 50
      • 5. 환경적 요인 57
      • 가. 환경적 요인의 구성변수 57
      • 나. 환경적 요인과 활용의도와의 관계 61
      • 6. TOE 프레임워크의 조절변수 68
      • 가. 업종 69
      • 나. 매출규모 71
      • Ⅲ. 연구설계 73
      • 1. 연구가설 및 모형의 설정 73
      • 가. 연구가설 73
      • 나. 연구모형 80
      •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변수의 측정 81
      • 가. 변수의 조작적 정의 81
      • 나. 측정도구 86
      •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87
      • 가. 자료수집 87
      • 나. 분석방법 88
      • Ⅳ. 분석결과 89
      • 1. 표본의 일반적 특성 89
      • 2.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 92
      • 가. 타당성 및 탐색적 요인분석 92
      • 나.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 95
      • 3. 상관관계 분석 96
      • 4. 주요 변수 간 관계 분석 98
      • 가. 일반적 특성에 따른 평균 비교 98
      • 나. 업종과 빅데이터 활용분야 간 교차분석 102
      • 5. 연구가설 검정 104
      • 가. 인과관계 분석 104
      • 나. 조절효과 분석 106
      • 6. 가설 검정 결과 요약 및 논의 134
      • 가. 가설 검정 결과 요약 134
      • 나. 논의 137
      • Ⅴ. 결론 144
      • 1. 연구결과의 요약 144
      • 2. 연구의 시사점 148
      • 가. 학문적 시사점 148
      • 나. 실무적 시사점 149
      • 3.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방향 152
      • 국문초록 154
      • ABSTRACT 157
      • REFERENCE 160
      • [부록] 설문지 169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Easy Flow 회귀분석, 이일현, 서울: 한나래, , 2015

      2. Innovating with Analytics, Kiron , D. , Kirk , P. P. and Ferguson , R . B ., 54 ( 1 ) , pp . 47-52 ., , 2012

      3. 스마트팜 경영전략, 안문형, 허철무, 서울: 청람, , 2021

      4. 데이터 농업의 미래, 임현, 정고운, 장제연, 정의진, KISTEP 미래예측 브리프, 2020-3호, , 2020

      5. SPSS/AMOS 통계분석방법, 송지준, 서울: 21세기사, , 2015

      6. Research overview of big data technology, Liu , Z. and Zhang , Q, 48 ( 6 ) , pp . 957-969, , 2014

      7. 빅데이터 동향 및 정책 시사점, 배동민, 박현수, 오기환, 방송통 신정책, 25(10), pp. 37-74, , 2013

      8. 이훈영 교수의 연구조사방법론, 이훈영, 서울: 청람, , 2012

      9. Determinants of e-Business Use in US Firms, Hsu , P. F. , Kraemer , K. L. and Dunkle , D., 10 ( 4 ) , pp . 9-45 ., , 2006

      10. 빅데이터 분석 기술과 활용사례, 김재생, 한국콘텐츠학회지, 12(1), pp. 14-20, , 2014

      1. Easy Flow 회귀분석, 이일현, 서울: 한나래, , 2015

      2. Innovating with Analytics, Kiron , D. , Kirk , P. P. and Ferguson , R . B ., 54 ( 1 ) , pp . 47-52 ., , 2012

      3. 스마트팜 경영전략, 안문형, 허철무, 서울: 청람, , 2021

      4. 데이터 농업의 미래, 임현, 정고운, 장제연, 정의진, KISTEP 미래예측 브리프, 2020-3호, , 2020

      5. SPSS/AMOS 통계분석방법, 송지준, 서울: 21세기사, , 2015

      6. Research overview of big data technology, Liu , Z. and Zhang , Q, 48 ( 6 ) , pp . 957-969, , 2014

      7. 빅데이터 동향 및 정책 시사점, 배동민, 박현수, 오기환, 방송통 신정책, 25(10), pp. 37-74, , 2013

      8. 이훈영 교수의 연구조사방법론, 이훈영, 서울: 청람, , 2012

      9. Determinants of e-Business Use in US Firms, Hsu , P. F. , Kraemer , K. L. and Dunkle , D., 10 ( 4 ) , pp . 9-45 ., , 2006

      10. 빅데이터 분석 기술과 활용사례, 김재생, 한국콘텐츠학회지, 12(1), pp. 14-20, , 2014

      11. 빅데이터 활성화 정책 및 응용사례, 복경수, 유재수, 한국통신 학회지, 31(11), pp. 3-13, , 2014

      12. 빅데이터 분석에 관한 마케팅적 접근, 이서구, 대한경영학회지, 28(1), pp. 21-35, , 2015

      13. 2021 농업전망: 농업의 미래, 디지털농 업, 박지연, 이정민, 서대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2021

      14. 농림업분야 빅데이터 활용도 제 고 방안, 한정훈, 안현진, 구자춘, 김경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2016

      15. 소셜미디어 혁신저항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정화섭, 한국콘텐 츠학회논문지, 13(6), pp. 158-166, , 2013

      16. 항공분야 빅데이터의 정책적 활용방안 연구, 심가람, 김제철, 박진서, 한국교통연구원, , 2014

      17.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 Theories and model, Dillon , A. and Morris , M. G., 31 , pp . 3-32 ., , 1996

      18.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 방안, 이훈혜, KIET 산업경제, pp. 45-54, , 2014

      19. The context for change : Organization , technology and environment, Depietro , R. , Wiarda , E. & Fleischer , M., 199 ( 0 ) , pp . 151-175 ., , 1990

      20. E-supply Chain management : an evaluation of current web initiatives, Lancaster , S. , Yen , D. C. and Ku , C . Y ., 14 ( 2 ) , pp . 167-184, , 2006

      21. Big data and cloud computing : Current state and future opportunities, Agrawal , D. , Sudipto , D. , and Abbabi , A. E., pp . 530-533, , 2011

      22. 스마트 뉴딜(New Deal): 공공데이터 개방과 기업의 활용, 박성민, 채승병, CEO Information, 907호, 삼성경제연구소, , 2013

      23. Knowledge Sharing in the Public Sector : Empirical Evidence from Cambodia, Vong , S. , Zo , H. and Ciganek , A. P., 32 ( 3 ) , pp . 409-423 ., , 2016

      24. 인지된 RPA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동휘,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20

      25. 스마트그리드환경에서 중소형 BEMS 수용요인에 관한 연구, 이명우,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9

      26. Understanding the Determinants of RFID Adoption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Wang , Y. M. , Wang , Y. S. and Yang , Y. F., 77 , pp . 803-815 ., , 2010

      27.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Success : A ten-year update, DeLone , W. H. and Mclean , E. R., 19 ( 4 ) , pp . 9-30 ., , 2003

      28. 농업 농촌 디지털 전환을 위한 빅 데이터 활성화 방안 연구, 이원석, 전대호, 신용태, 손경자, 정보처리학회논문지, 9(8), pp. 235-242, , 2020

      29. 미래 농업 농촌을 위한 농업 농촌데이터 현황 분석 및 제언, 이지민, 전원과 자원, 59(4), pp. 50-57, , 2017

      30. 벤처기업의 성장단계별 기업경쟁력 및 기업 성 과 창출 전략, 박찬희, 박다인, 벤처창업연구, 13(6), pp. 177-189, , 2016

      31. Organizational intention to adopt big data in the B2B context : An integrated view, Sun , S. , Hall , D. J . & Cegielski , C. G., 86 ( 1 ) , pp . 109-121 ., , 2020

      32. An empirical examination of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mobile payment, Kim , C. , Mirusmonov , M. and Lee , I., 26 ( 3 ) , pp . 310-322, , 2010

      33. 농업경영체의 온라인 직거래 마케팅 수용에 관 한 실증적 연구, 윤철호, 박창희, Information Systems Review, 20(1), pp. 41-59, , 2018

      34. 4차산업혁명 시대에 빅데이터를 활용한 농업경영전략이 필요하다, 강혜정, 전원과 자원, 59(4), pp. 35-49, , 2017

      35.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연구에 대 한 종합적 고찰”, 유재현, 박철, Entrue J 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9(2), pp. 31-50, , 2010

      36. 빅데이터 환경 하의 ICT데이터 유통체계 진단 및 생태계 조성 방안, 김병곤, 조중환, 정용규, 이민호, 박정구, 이정훈, 이재학, 허준, 최재섭,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3

      37. Segmenting internet banking adopter and non-adopters in the Turkish retail banking sector, Ozdemir , S. , Trott , P. and Hoecht , A ., 26 ( 4 ) , pp . 212-236 ., , 2008

      38. 자율주행 자동차 지속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에 관한 연구, 이낙선,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20

      39. 중소기업 경영자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의사결정 효율화에 대한 연구, 신충호, 안동규, 최정웅, 기업경영리뷰, 10(3), pp. 311-326, , 2019

      40. 2019 농업전망: 농업 농촌의 변화와 미래를 이 끄는 빅데이터 활용방안, 이경계, 박경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2019

      41. 소상공인의 O2O 플랫폼 서비스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에 관한 연구, 이상호, 국립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20

      42. Considerations for the Adoption of Cloud-based Big Data Analytics in Small Business Enterprises, Ajimoko , A ., 21 ( 2 ) , pp . 63-79, , 2018

      43. 빅데이터 시스템 도입을 위한 통합모형의 연구: TOE, DOI, UTAUT를 기반으로, 이선우, 이희상, J 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1(4), pp. 463-483, , 2014

      44. Big data analytics adoption : A case study in a large South African telecommunications organization, Walker , R. S. and Brown , I, 21 ( 1 ) , pp . 1079-1089, , 2019

      45. TOE와 혁신확산이론에 따른 해운항만조직의 빅데이터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장명희, 이준필, 한국항만경제학회지, 34(3), pp. 159-182, , 2018

      46. 중소기업에서 기술융복 합 지능형 로봇 도입을 통한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상현, 이동하, 박현선, 최문종, 안현숙, 디지털융복 합연구, 13(8), pp. 301-313, , 2015

      47. Effective benchmarking of innovation adoptions :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procurement technologies, Azadegan , A. and Teich , J ., 17 ( 4 ) , pp . 472-490 ., , 2010

      48. 데이터 협업기반 스마트시티 플랫폼 도입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산회,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9

      49. Assessing the determinants of cloud computing adoption : An analysis of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s sectors, Oliveira , T. , Thomas , M. and Espadanal , M., 51 ( 5 ) , pp . 497-510, , 2014

      50. Electronic Business Adoption by European Firms : A Cross-country Assessment of the Facilitators and Inhibitors, Zhu , K. , Kraemer , K. and Xu , S., 12 ( 4 ) , pp . 251-268, , 2003

      51. Understanding the determinants of big data analytics ( BDA ) adoption in logistic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Lai , Y. , Sun , H. and Ren , J, 29 ( 2 ) , pp . 676-703, , 2018

      52. 스마트 공장 수용 요인과 성과 분석을 위한 실증적 연구: TOE 및 IS성공모델을 중심으로, 길형철,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9

      53. Assimilation of enterprise systems : the effect of institutional pressures and the mediating role of top management, Liang , H. , Saraf , N. , Hu , Q. and Xue , Y ., 31 ( 1 ) , pp . 59-87, , 2007

      54. Consumer acceptance and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 Extend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Venkatesh , V. , Thong , J. and Xu , X, 36 ( 1 ) , pp . 157-178, , 2012

      55. Perceived strategic value-based adoption of Big Data Analytics in emerging economy : A qualitative approach for Indian firms, Verma , S. and Bhattacharyya , S. S., 30 ( 3 ) , pp . 354-382, , 2017

      56. 기술수용모델의 확장과 인터넷뱅킹 이용행동에 관한 연구: 신뢰와 적합성의 역할을 중심으로, 김상현, 오상현, 경제연구, 24(1), pp. 175-205, , 2006

      57. 옴니채널쇼핑 도입의도와 기대효과에 관한 연구: 혁신확 산이론과 TOE 프레임워크를 중심으로, 김병철,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 2015

      58. 기술,조직,환경 관점에서 기업의 경영품질 향상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의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이상준, 신수행, 한국IT서비스 학회지, 18(1), pp. 91-112, , 2019

      59. Do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Moderate the Effects of Internet-based Inter-Organizational Systems on Firm Performance ?, Sila , I ., 19 , pp . 581-600 ., , 2010

      60. Investigating Factors Influencing the Physicians ’ Adoption of Electronic Health Record ( EHR ) in Healthcare System of Bangladesh : An Empirical Study, Hossain , A. , Quaresma , R. & Rahman , H., 44 ( 1 ) , pp . 76-87, , 2019

      61. 금융산업에서 빅데이터 기반의 개인정 보 비식별화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TOE 프레 임워크를 중심으로, 우순규, 조성인, 윤수연,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18(3), pp. 71-90, , 2018

      62. 빅데이터 도입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전략적 가치인식과 TOE(Technology Organizational Environment) Framework을 중심으로, 김진수, 가회광,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24(4), pp. 443-472, , 2014

      63. 스마트시티 환경에서 네트워크 스트리밍 연계시스템 특성이 도입 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IT업계 종사자를 중심으로, 박상길, 설수진, 한경석, 홍수희, 유현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 문지, 21(6), pp. 1131-1141, ,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