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고등학교 한문 수업에서 수업 관찰의 구조와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 대안으로써 수업 비평의 개념과 방법을 정리하였다. 수업 관찰자는 체크리스트로 인하여 관찰자의 관점과 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고등학교 한문 수업에서 수업 관찰의 구조와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 대안으로써 수업 비평의 개념과 방법을 정리하였다. 수업 관찰자는 체크리스트로 인하여 관찰자의 관점과 관...
이 연구는 고등학교 한문 수업에서 수업 관찰의 구조와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 대안으로써 수업 비평의 개념과 방법을 정리하였다. 수업 관찰자는 체크리스트로 인하여 관찰자의 관점과 관찰 대상 을 제한하고, 수업을 탈 맥락으로 관찰하게 하며, 수업의 외적 형태나 행위 또는 결과에만 주목하게 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연구 수업 협의회는 수업을 관찰하는 사람들의 고유한 시선과 안목을 잘 드러내지 못한다. 교사들은 체크리스트 속에 자신의 관점을 숨기기기 때문에 어떤 한문 수업이 좋 은 수업이며, 수업활동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 지에 관한 의미 있는 대화를 나누기도 어렵다. 이러 한 상황을 개선하는데 수업 비평은 한문과 수업을 바라보는 안목을 높일 것이다.
교육대학원에서 수업 비평을 같이 공부한 6명의 한문교사가 K교사의 고등학교 3학년 한문 수업 을 보고, 작성한 수업 비평문을 통하여 수업을 수업 비평의 시각으로 보고자 하였다. 수업 비평은 한문 수업을 보는 현실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어, 한문교사들이 수업을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도 록 시각을 전환하게 하고, 수업을 이해하는 다른 방법과 절차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수업을 성찰하 고 학생을 위해 수업을 개선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es and problems of classroom observations as pedagogics in Chinese character lessons in high school, and as an alternative suggested the concept and methods of lesson critique. The checklists would limit teachers' point...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es and problems of classroom observations as pedagogics in Chinese character lessons in high school, and as an alternative suggested the concept and methods of lesson critique. The checklists would limit teachers' points of view and objects of observation, making them to observe the lessons in a decontextualized way, and as a result they would pay attention merely to exterior forms, behaviors or results of the lessons. While, class and lesson council is not in a position to disclose unique points of view and opinions of those who teach the lessons. As teachers may often conceal their points of view under the cover of the checklists, it's hard for them to have a meaningful conversation regarding what are good Chinese character lessons and how to understand their teaching activity. Lesson critique may help improve this circumstance by enhancing teachers' views on Chinese characters and lessons. In this study, six Chinese character teachers who had studied the subject of lesson critique together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atched a 3rd-grader Chinese character lesson at high school by Teacher K and the study sought to approach the lesson from the perspective of lesson critique based on their written critiques. The study believes that lesson critique may help improve Chinese character teachers' existing points of view towards Chinese character lessons, let them see those from a new perspective, make them learned of other methods and procedures to understand the lessons, get to the essence of lessons, and eventual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lessons for studen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왕규, "한문교육학 연구자로서의 교사와 교수, 그 변화와 성찰(省察)의 한 국면(局面) -대학원 ‘한문교육원론’ 수업 비평-"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331-386, 2008
2 白光鎬, "타이머와 죽비-어느 한문 교사가 관찰한 한문 수업 이야기" 한국학술정보원 2008
3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문음사 2006
4 엄훈, "지식으로 수업 보기, 그 관점과 방법" 한국어교육학회 (135) : 215-242, 2011
5 나귀수, "수학 수업 비평의 실제" 대한수학교육학회 15 (15): 369-387, 2013
6 신지혜,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비평 공동체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9 (19): 71-97, 2011
7 서근원, "수업을 왜 하지?" 우리교육 2003
8 김향정, "수업비평의 관점에서 음악수업 ‘읽기’ 및 ‘쓰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65-85, 2014
9 서근원, "수업, 어떻게 볼까? 아이의눈을 찾아서" 교육과학사 2014
10 이혁규, "수업, 비평의 눈으로 읽다" 우리교육 2009
1 김왕규, "한문교육학 연구자로서의 교사와 교수, 그 변화와 성찰(省察)의 한 국면(局面) -대학원 ‘한문교육원론’ 수업 비평-"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331-386, 2008
2 白光鎬, "타이머와 죽비-어느 한문 교사가 관찰한 한문 수업 이야기" 한국학술정보원 2008
3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문음사 2006
4 엄훈, "지식으로 수업 보기, 그 관점과 방법" 한국어교육학회 (135) : 215-242, 2011
5 나귀수, "수학 수업 비평의 실제" 대한수학교육학회 15 (15): 369-387, 2013
6 신지혜,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비평 공동체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9 (19): 71-97, 2011
7 서근원, "수업을 왜 하지?" 우리교육 2003
8 김향정, "수업비평의 관점에서 음악수업 ‘읽기’ 및 ‘쓰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65-85, 2014
9 서근원, "수업, 어떻게 볼까? 아이의눈을 찾아서" 교육과학사 2014
10 이혁규, "수업, 비평의 눈으로 읽다" 우리교육 2009
11 심영택, "수업 비평적 담화 방법의 원리 탐색" 한국화법학회 (23) : 311-346, 2013
12 정재찬, "수업 비평적 관점을 통한 중등 국어 수업 사례 연구" 국어교육학회 (39) : 467-504, 2010
13 이혁규, "수업 비평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한 탐색적 논의" 한국교육인류학회 10 (10): 155-185, 2007
14 이혁규, "수업 비평의 방법과 활용 : 자전적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18 (18): 271-300, 2010
15 강성우, "수업 비평문에 나타난 초등영어 예비교사들의 교육적 안목 탐색"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53 (53): 21-46, 2011
16 엄훈, "수업 비평 개념에 대한 대안적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3 (13): 79-101, 2010
17 추갑식, "내러티브 인식론에 비추어 본 수업비평의 탐구" 교육종합연구소 10 (10): 1-23, 2012
18 정재찬, "국어 수업 비평론" 국어교육학회 (25) : 389-420, 2006
19 서근원, "교육인류학의 수업 이해 과정과 그 의의에 관한 질적 사례 기술 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4 (14): 77-128, 2011
20 박승배, "교육비평 -엘리어트 아이즈너의 질적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006
21 권낙원, "교수-학습 이론의 이해" 문음사 2007
22 김태현, "교사, 수업에서 나를 만나다" 좋은교사 2012
23 이희목, "고등학교漢文Ⅱ" 천재교육 1995
24 엄선용, "고등학교 한문과 교실수업의 이해" 한국한문교육학회 (44) : 147-187, 2015
25 Parker J. Palmer, "가르칠 수 있는 용기" 한문화 2014
26 엄선용, "漢文科 授業 批評과 方法에 대한 探索的 論意"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69-499, 2012
27 엄선용, "漢文敎師를 위한 授業 批評의 方法과 活用" 한국한문교육학회 (40) : 287-321, 2013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8-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 The Korea Association For Han-character and classical written language Education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 | 0.3 | 0.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3 | 0.534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