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로컬푸드와 친환경식품에 대한 최근 소비자들의 인식과 소비행태에 대한 실증조사를 진행하는 것이다. 서울,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로컬푸드와 친환경식품에 대해 들어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950188
2017
Korean
local foods ; eco-friendly food ; perception ; consumption behavior ; 로컬푸드 ; 친환경식품 ; 인식 ; 소비행태
KCI등재
학술저널
104-116(13쪽)
1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로컬푸드와 친환경식품에 대한 최근 소비자들의 인식과 소비행태에 대한 실증조사를 진행하는 것이다. 서울,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로컬푸드와 친환경식품에 대해 들어보...
본 연구의 목적은 로컬푸드와 친환경식품에 대한 최근 소비자들의 인식과 소비행태에 대한 실증조사를 진행하는 것이다. 서울,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로컬푸드와 친환경식품에 대해 들어보거나,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 26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모든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Versio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등의 기술적 통계 값을 산출하였고, 카이스퀘어 검정을 실시하였다. 로컬푸드 구매장소는 대형마트/슈퍼, 로컬푸드매장, 친환경식품 구매장소는 대형마트/슈퍼, 친환경식품 전문샵순으로 많이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구매하는 로컬 푸드는 과일, 채소 순으로 나타났고, 친환경식품의 경우 채소, 과일의 순서로 많이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컬푸드를 구매하는 이유 1순위는 “신선하고 품질이 우수할 것 같아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친환경식품을 구매하는 이유 1순위는 “농약이나 첨가제로부터 안전한 것 같아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카이스퀘어 검정을 통해 로컬푸드와 친환경식품을 들어보고, 구매해본 경험 모두, 여성이 남성보다, 미혼이 기혼보다,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구매 경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로컬푸드와 친환경식품이 분명히 다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의 인식에는 두 식품의 차이를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비자교육을 통해 로컬푸드와 친환경식품에 대한 올바른 정의와 인식을 갖도록 해야 하며, 식품 구매 시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empirical survey on consumer perception and consumption behavior in relation to local food and eco-friendly food.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266 consumers who have heard about or purchased local foods 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empirical survey on consumer perception and consumption behavior in relation to local food and eco-friendly food.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266 consumers who have heard about or purchased local foods and eco-friendly foods centering on Seoul and Gyeonggi–do,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 (Version 23.0) to generate descriptive statistical values such as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implement a Chi-square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purchased local food in large shopping malls, supermarkets, and local food stores, whereas eco-friendly food were usually bought in large shopping malls, supermarkets, and eco-friendly food specialty stores. For local food, consumers bought fruits the most, followed by vegetables, whereas for eco-friendly food, consumers purchased vegetables the most, followed by fruits. The top reason for purchasing local food was its “fresh and high quality,” whereas the top reason for buying eco-friendly food was “safety from pesticides and additives.” According to results of the Chi-square test, women, unmarried people and younger people turned out to have more experiences in purchasing local foods and eco-friendly foods compared to men, married people and older people, respectively. Although local and eco-friendly food were completely different concepts,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consumers were not able to mak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two. Consumer education, therefore, should involve defining the two types of food and spreading awareness on local and organic food to help them made the right choices when buying foo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주, "환경의식과 소비가치가 친환경식자재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28 (28): 181-199, 2014
2 유경진, "친환경식품 구매고객의 가치와 태도 및 행동의도와의 인과관계 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3 (23): 47-68, 2014
3 임해진, "친환경농산물의 구매요인이 재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 자녀를 통한 간접경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제학회 26 (26): 2633-2654, 2013
4 최원식, "친환경농산물 RFID 시스템의 외부변수들이 지각된 가치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확장된 TAM 모델을 적용하여" (사)한국조리학회 19 (19): 149-166, 2013
5 소현진, "친환경 식품 소비자의 가치체계 탐구 : 효과적인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전략개발을 위하여" 한국광고PR실학회 7 (7): 57-86, 2014
6 김동석, "친환경 소비 가치가 친환경 농산물의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조리학회 19 (19): 103-120, 2013
7 이선호, "친환경 농산물의 선택결정요인이 소비자신뢰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조리학회 22 (22): 181-191, 2016
8 최정은, "유기농 식품에 대한 객관적 지식․주관적 지식․위험지각 및 구매의도와의 관계 ; 식품안전 위험지각의 매개효과" (사)한국조리학회 17 (17): 153-168, 2011
9 김선업, "유기농 시장의 소비자 특성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26 (26): 1247-1270, 2013
10 김태희, "외식소비성향에 따른 소비자 유형 분석" 한국관광연구학회 20 (20): 313-323, 2006
1 이영주, "환경의식과 소비가치가 친환경식자재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28 (28): 181-199, 2014
2 유경진, "친환경식품 구매고객의 가치와 태도 및 행동의도와의 인과관계 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3 (23): 47-68, 2014
3 임해진, "친환경농산물의 구매요인이 재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 자녀를 통한 간접경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제학회 26 (26): 2633-2654, 2013
4 최원식, "친환경농산물 RFID 시스템의 외부변수들이 지각된 가치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확장된 TAM 모델을 적용하여" (사)한국조리학회 19 (19): 149-166, 2013
5 소현진, "친환경 식품 소비자의 가치체계 탐구 : 효과적인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전략개발을 위하여" 한국광고PR실학회 7 (7): 57-86, 2014
6 김동석, "친환경 소비 가치가 친환경 농산물의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조리학회 19 (19): 103-120, 2013
7 이선호, "친환경 농산물의 선택결정요인이 소비자신뢰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조리학회 22 (22): 181-191, 2016
8 최정은, "유기농 식품에 대한 객관적 지식․주관적 지식․위험지각 및 구매의도와의 관계 ; 식품안전 위험지각의 매개효과" (사)한국조리학회 17 (17): 153-168, 2011
9 김선업, "유기농 시장의 소비자 특성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26 (26): 1247-1270, 2013
10 김태희, "외식소비성향에 따른 소비자 유형 분석" 한국관광연구학회 20 (20): 313-323, 2006
11 김호석, "여성들의 친환경식품 선택 동기가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산업학회 9 (9): 45-56, 2013
12 김동기, "식품의 선택 동기가 유기농 식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6 (26): 506-512, 2011
13 신철노, "소비자의 친환경 농산물 구매형태 조사연구"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2 (42): 77-99, 2008
14 김민정, "배달-테이크아웃 소비행태와 식생활만족도에 대한 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18 (18): 421-443, 2015
15 이보순, "로컬푸드의 소비자 인식과 쇼핑동기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완주로컬푸드를 중심으로" (사)한국조리학회 20 (20): 193-209, 2014
16 홍경완, "로컬푸드의 개념적 이해 연구" 대한경영학회 22 (22): 1629-1649, 2009
17 김종화, "로컬푸드 직매장의 소비자 구매요인 및유형별 차이 연구" 한국식품유통학회 32 (32): 55-78, 2015
18 김지응, "로컬푸드 재료를 이용한 베이커리 제품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9 (29): 143-162, 2014
19 김현철, "로컬푸드 소비에 대한 인식과 만족 - 로컬푸드 소비 활성화 및 비활성화 지역 간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외식경영학회 15 (15): 197-218, 2012
20 이정윤, "대도시 주부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및 우려도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6 (16): 999-1007, 2009
21 정유경, "농가맛집의 현황과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활성화방안"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4 (24): 692-701, 2009
22 이희상, "글로벌푸드/로컬푸드 담론을 통한 장소의 관계적 이해"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 (20): 45-61, 2012
23 Morris, C., "The local food sector: A preliminary assessment of its form and impact in gloucestershire" 105 (105): 559-566, 2003
24 Jo, J. Y., "The influence of customer values on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towards local food" The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2014
25 Roininen, K., "Exploring consumers’ perceptions of local food with two different qualitative techniques: Laddering and word association" 17 (17): 20-30, 2006
26 Chen, M.,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in relation to organic foods in taiwan: Moderating effects of food-related personality traits" 18 (18): 1008-1021, 2007
27 Lee, J. R., "A study of attitude toward healthy menu" 10 (10): 16-29, 2004
강원도 일부지역 외식업 조리사들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과 스트레스 정도
떡 전문점에서의 체험요소가 브랜드 태도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7-12-2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조리학회지 ->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 |
2017-03-1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조리학회 -> (사)한국조리학회영문명 : 미등록 -> Culinary Society of Korea | ![]() |
2015-12-0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2 | 1.72 | 1.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9 | 1.72 | 2.16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