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호텔산업에 종사하는 Y세대인 서비스담당 직원을 대상으로 상사 지원, 재미,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설계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950180
2017
Korean
customer orientation ; supervisory support ; workplace fun ; job satisfaction ; Y generation ; 상사 지원 ; 직장 내 재미 ; 직무만족 ; 고객지향성 ; Y세대
KCI등재
학술저널
23-34(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호텔산업에 종사하는 Y세대인 서비스담당 직원을 대상으로 상사 지원, 재미,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설계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
본 연구는 국내 호텔산업에 종사하는 Y세대인 서비스담당 직원을 대상으로 상사 지원, 재미,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설계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981년에서 2000년 사이에 출생하여 Y세대라 불리는 직원만을 조사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확보된 실증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및 PROCESS Macro 분석이 실시되었으며, 이를 위한 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과 AMOS 18.0이 적용되었다. 분석 결과, 재미는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상사 지원은 직무만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고객지향성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은 고객지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무만족은 상사 지원과 고객지향성의 관계 그리고 재미와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 모두 매개 작용이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직장 내 재미와 직무에 대한 만족감이 높을수록 직원의 고객지향성 행동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사의 지원은 직무만족을 통해 직원의 고객지향성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rrent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causal relationships of supervisory support, workplace fun,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of Y Generational service provider in the Korean hotel industry.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the...
The current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causal relationships of supervisory support, workplace fun,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of Y Generational service provider in the Korean hotel industry.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84 hotel employees who were born from 1981 to 2000, which is considered as Generation Y. To analyze the data, frequency, correlation, regression, PROCESS Macro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undertaken using SPSS and AMOS version 18.0. The results show as follows: First, factor of workplace fu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Second, factor of supervisory suppor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but its effect on the customer orientation was not significant. Third,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Lastly, job satisfaction was revealed as a significant mediator between dependent variables(supervisory support and workplace fun) and customer orientation. Eventually, this study found that the more workplace fun and job satisfaction employees have, the higher customer orientation they show. Supervisory support was revealed as an indirect factor to enhance customer orientation through job satisfac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강원도 일부지역 외식업 조리사들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과 스트레스 정도
떡 전문점에서의 체험요소가 브랜드 태도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들의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가치관이 친환경적 태도 및 구매의도간의 구조적 영향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