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요국 경제안보 강화에 따른 해상 공급망 재편의 세계 교역 효과 분석 : 정기선 해운 연결성 지수 원시자료를 중심으로 = Impact of Maritime Supply Chain Reconfiguration on Global Trade Volume by Strengthened Economic Security: A liner shipping connectivity index perspec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623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기선 해운 연결성 지수의 산출에 투입되는 주요 원시자료를 대·내외적 경제안보 리스크 요인으로 상정하여 해당 요인들의 변화, 즉 국가별 해상 공급망재편이 세계 해상교역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을 추정하였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에서선정한 해상 교역로상 초크 포인트(choke point)에 위치한 9개 주요국들의 해상 공급망 재편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해운 연결성을 구성하는 해상 공급망 재편의 주요 요소들의 변화는 세계 148개 국가들의 다자간 해상교역의 증대효과를 발생시켰다. 반면 경제안보를 위시한 9개 주요국과 미국 또는 중국의 일대일로 협조국등 특정 집단과의 해상 공급망 강화가 세계 해상교역 수준 증대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등 해상교역 대외 의존도가 높은국가들의 해상 공급망 재편 대응 전략의 체계적, 선택적 수립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정기선 해운 연결성 지수의 산출에 투입되는 주요 원시자료를 대·내외적 경제안보 리스크 요인으로 상정하여 해당 요인들의 변화, 즉 국가별 해상 공급망재편이 세계 해상교역 ...

      본 연구는 정기선 해운 연결성 지수의 산출에 투입되는 주요 원시자료를 대·내외적 경제안보 리스크 요인으로 상정하여 해당 요인들의 변화, 즉 국가별 해상 공급망재편이 세계 해상교역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을 추정하였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에서선정한 해상 교역로상 초크 포인트(choke point)에 위치한 9개 주요국들의 해상 공급망 재편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해운 연결성을 구성하는 해상 공급망 재편의 주요 요소들의 변화는 세계 148개 국가들의 다자간 해상교역의 증대효과를 발생시켰다. 반면 경제안보를 위시한 9개 주요국과 미국 또는 중국의 일대일로 협조국등 특정 집단과의 해상 공급망 강화가 세계 해상교역 수준 증대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등 해상교역 대외 의존도가 높은국가들의 해상 공급망 재편 대응 전략의 체계적, 선택적 수립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ssumes that the main raw data used in the calculation of the liner shipping connectivity index are internal and external economic security risk factors, and estimates the impact of changes in these factors, i.e. the reconfiguration of national maritime supply chains, on global seaborne trade. In addition, we examine the effects of maritime supply chain reconfiguration in nine major countries located at choke points along selected seaborne trade rout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changes in the main components of maritime supply chain reconfiguration, which constitute shipping connectivity, resulted in an increase in multilateral seaborne trade among 148 countries. On the other hand, the impact of strengthening maritime supply chains with certain groups, such as nine major countries with economic security concerns and the United States or China's Belt and Road Partnership countries, on increasing the level of global seaborne trade was in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countries with high external dependence on maritime trade, such as South Korea, to systematically and selectively establish strategies to respond to the reconfiguration of maritime supply chains.
      번역하기

      This study assumes that the main raw data used in the calculation of the liner shipping connectivity index are internal and external economic security risk factors, and estimates the impact of changes in these factors, i.e. the reconfiguration of nati...

      This study assumes that the main raw data used in the calculation of the liner shipping connectivity index are internal and external economic security risk factors, and estimates the impact of changes in these factors, i.e. the reconfiguration of national maritime supply chains, on global seaborne trade. In addition, we examine the effects of maritime supply chain reconfiguration in nine major countries located at choke points along selected seaborne trade rout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changes in the main components of maritime supply chain reconfiguration, which constitute shipping connectivity, resulted in an increase in multilateral seaborne trade among 148 countries. On the other hand, the impact of strengthening maritime supply chains with certain groups, such as nine major countries with economic security concerns and the United States or China's Belt and Road Partnership countries, on increasing the level of global seaborne trade was in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countries with high external dependence on maritime trade, such as South Korea, to systematically and selectively establish strategies to respond to the reconfiguration of maritime supply chain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