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세계체제의 존재시간을 13세기로 거슬러 올라가 동방의 쇠퇴가 서방의 흥기에 기회를 제공하여 13세기 세계체제와 16세기 세계체제가 연속성을 갖는다고 보았다. 몽골제국은 군사적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저자는 세계체제의 존재시간을 13세기로 거슬러 올라가 동방의 쇠퇴가 서방의 흥기에 기회를 제공하여 13세기 세계체제와 16세기 세계체제가 연속성을 갖는다고 보았다. 몽골제국은 군사적 ...
저자는 세계체제의 존재시간을 13세기로 거슬러 올라가 동방의 쇠퇴가 서방의 흥기에 기회를 제공하여 13세기 세계체제와 16세기 세계체제가 연속성을 갖는다고 보았다. 몽골제국은 군사적 역량을 기반으로 중앙아시아, 중국을 정복함으로써 팍스 몽골리카를 형성하였는데 14세기 중엽에 쇠퇴하게 된 원인으로 흑사병때문이었다. 13세기 세계체제의 붕괴로 16세기 이후 포르투갈, 스페인 등이 동방으로 비교적 쉽게 진출하게 된다. 그럼 이러한 변화가 일어날 때 중국은 대체로 당중기, 송, 원, 명중기로 해상 진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전반적으로 육상보다는 해상의 루트가 더 주목을 받았음을 지도의 제작을 통해 시각화하여 살펴보았다. 즉, 보응, 회안, 고우, 양주, 진강, 소주, 남경, 상주, 항주의 운하루트는 남북의 왕래에서 상당히 중요한 지리적 위치를 차지하였다. 또한 동남아시아의 일부지역이나 국가도 중요하였지만 이 책에서 간과하고 있어 그 중요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近代 中國 博物學의 民族主義的 性格 – 旣存 硏究의 批判的 檢討를 中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