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교육은 다양한 교육적 필요와 능력을 가진 학생들이 함께 교육받는 것으로 그 특징은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사회적 활동이나 교수 활동에서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다. 많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253387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2008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2008.2
2008
한국어
서울
vii, 98 p. : 삽도 ; 26 cm.
지도교수: 진영선
단면인쇄임
참고문헌 : p. 93-9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통합교육은 다양한 교육적 필요와 능력을 가진 학생들이 함께 교육받는 것으로 그 특징은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사회적 활동이나 교수 활동에서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다. 많은...
통합교육은 다양한 교육적 필요와 능력을 가진 학생들이 함께 교육받는 것으로 그 특징은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사회적 활동이나 교수 활동에서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다.
많은 연구들을 통해서 통합교육이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입증되어 왔으나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는 장애학생을 일반학급에 배치했다는 단순한 물리적, 시간적 통합에 의해서 저절로 성취되는 것이 아니라 통합교육 환경에서 질적으로 우수하며 적절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정신지체학생과 일반학생이 함께 하는 통합 미술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와 일반학생의 정신지체학생에 대한 수용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B중학교에 재학중인 특수반 학생 3명과 일반학생 15명을 대상으로 ‘통합환경에서 자연재료를 이용한 미술활동 프로그램’을 25회기에 걸쳐 실시하여 개인별, 단계별 사례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구성은 숲으로 둘러싸여 있는 대상학생들의 학교환경을 최대한 활용하여 ‘자연재료를 이용한 미술활동’으로 특징지었다.
또한 사례연구에서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정신지체학생에게는 미술활동 전후에 사회 성숙도 검사와 그림검사(KFD, KSD)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일반학생들에게는 미술활동 전후에 자체 제작한 ‘일반학생들의 장애학생들에 대한 수용성에 대한 검사지’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에서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환경에서 자연재료를 이용한 미술프로그램 적용은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통합환경에서 자연재료를 이용한 미술프로그램 적용은 정신지체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수용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