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기진·김남천 비평의 사유 체계와 인식소들 = The thinking system and cognition factors of Kim, Ki-jin & Kim, Nam-cheon’s criticis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velopment process of Kim Nam-cheon’s critical thought can be seen to resemble that of Marx. His moving from ‘pigeon of vacuum’ to ‘pigeon of air’ would be the proof that his criticism had moved from the abstract to the concrete. It is an abstract system of ideas that has a common relationship with the historical failure of the KAPF. In addition, a series of subject matter issues may also be read as an attempt to restore the materiality of experience and the specificity of life from the universal and abstract principles. Kim, Ki-jin’s critical world is believed to have provided a firm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Kim, Nam-cheon’s criticism and its reasons. The antagonism between politics and literature, which is equivalent to a fundamental sense of problem in Kim’s criticism, the basic attitude of cherishing the faithfulness of the process rather than the results, the process of shaping literature and art, the consideration of the writers and readers who are in charge of specific and realistic matters, and the aspect of empirical transcendence as a total of them and one cognitive horizon, can finally be seen in Kim, Ki-jin’s language. In short, the propositions and past processes that the two had penetrated would have given way to rescuing the ‘Marxian’ from the ‘Marxist’. Criticism texts by Kim, Ki-jin and Kim, Nam-cheon are still literary traditions with a strong appeal, awaiting the call of the historical present with ample interpretability open.
      번역하기

      The development process of Kim Nam-cheon’s critical thought can be seen to resemble that of Marx. His moving from ‘pigeon of vacuum’ to ‘pigeon of air’ would be the proof that his criticism had moved from the abstract to the concrete. It is ...

      The development process of Kim Nam-cheon’s critical thought can be seen to resemble that of Marx. His moving from ‘pigeon of vacuum’ to ‘pigeon of air’ would be the proof that his criticism had moved from the abstract to the concrete. It is an abstract system of ideas that has a common relationship with the historical failure of the KAPF. In addition, a series of subject matter issues may also be read as an attempt to restore the materiality of experience and the specificity of life from the universal and abstract principles. Kim, Ki-jin’s critical world is believed to have provided a firm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Kim, Nam-cheon’s criticism and its reasons. The antagonism between politics and literature, which is equivalent to a fundamental sense of problem in Kim’s criticism, the basic attitude of cherishing the faithfulness of the process rather than the results, the process of shaping literature and art, the consideration of the writers and readers who are in charge of specific and realistic matters, and the aspect of empirical transcendence as a total of them and one cognitive horizon, can finally be seen in Kim, Ki-jin’s language. In short, the propositions and past processes that the two had penetrated would have given way to rescuing the ‘Marxian’ from the ‘Marxist’. Criticism texts by Kim, Ki-jin and Kim, Nam-cheon are still literary traditions with a strong appeal, awaiting the call of the historical present with ample interpretability op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김남천이 ‘진공 중의 비둘기’에서 ‘공중의 비둘기’로 사유의 방점을 이동해간 것은, 그의 비평세계가 추상에서 구체로 옮아갔음을 말해주는 단적인 증거이다. 그것은 추상적 관념체계로서 카프의 역사적 실패와 공속관계를 이룬다. 또한 일련의 주체화 논제들 역시 보편적·추상적 원리로부터 경험의 물질성, 삶의 구체성을 복원하려는 시도로 읽을 수 있을 것이다. 김기진의 비평세계는 이상 김남천 비평의 전개에 있어 굳건한 인식론적 토대 및 그 사유의 지반을 제공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김기진 비평에 있어 근본적 문제의식에 해당하는 정치와 문학의 길항관계, 결과보다는 과정의 충실성을 소중히 여기는 기본적 태도, 문학예술의 형상화 과정 및 그 구체적·현실적 담당자인 작가와 독자에 대한 충분한 배려와 실제적 조건들의 고려, 그리고 그것들의 총합이자 하나의 인식론적 지평으로서 경험적 초월론의 양상 등은 김기진에게서 빠짐없이 그 단초들을 볼 수 있으며, 비로소 김남천에 이르러 본격적인 심화·확산의 양상들을 통해, 마침내 체화된 언어로서 한국 마르크스주의 비평의 진면목을 획득하고 있기 때문이다. 요컨대 두 사람이 관통했던 명제들과 그 지난한 과정들은 ‘마르크스주의적인(Marxist) 것’으로부터 ‘마르크스적인(Marxian) 것’을 구출해내는 작업에 방불했다 할 것이었다.
      번역하기

      김남천이 ‘진공 중의 비둘기’에서 ‘공중의 비둘기’로 사유의 방점을 이동해간 것은, 그의 비평세계가 추상에서 구체로 옮아갔음을 말해주는 단적인 증거이다. 그것은 추상적 관념체계...

      김남천이 ‘진공 중의 비둘기’에서 ‘공중의 비둘기’로 사유의 방점을 이동해간 것은, 그의 비평세계가 추상에서 구체로 옮아갔음을 말해주는 단적인 증거이다. 그것은 추상적 관념체계로서 카프의 역사적 실패와 공속관계를 이룬다. 또한 일련의 주체화 논제들 역시 보편적·추상적 원리로부터 경험의 물질성, 삶의 구체성을 복원하려는 시도로 읽을 수 있을 것이다. 김기진의 비평세계는 이상 김남천 비평의 전개에 있어 굳건한 인식론적 토대 및 그 사유의 지반을 제공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김기진 비평에 있어 근본적 문제의식에 해당하는 정치와 문학의 길항관계, 결과보다는 과정의 충실성을 소중히 여기는 기본적 태도, 문학예술의 형상화 과정 및 그 구체적·현실적 담당자인 작가와 독자에 대한 충분한 배려와 실제적 조건들의 고려, 그리고 그것들의 총합이자 하나의 인식론적 지평으로서 경험적 초월론의 양상 등은 김기진에게서 빠짐없이 그 단초들을 볼 수 있으며, 비로소 김남천에 이르러 본격적인 심화·확산의 양상들을 통해, 마침내 체화된 언어로서 한국 마르크스주의 비평의 진면목을 획득하고 있기 때문이다. 요컨대 두 사람이 관통했던 명제들과 그 지난한 과정들은 ‘마르크스주의적인(Marxist) 것’으로부터 ‘마르크스적인(Marxian) 것’을 구출해내는 작업에 방불했다 할 것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민, "한국근대문학비평사" 소명출판 1999

      2 김윤식,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 일지사 1976

      3 손유경, "프로문학의 감성구조" 소명출판 2012

      4 임규찬, "카프비평자료총서 I-VIII" 태학사 1990

      5 정명중, "육체의 사상, 사상의 육체" 문학들 2008

      6 김지형, "식민지 이성과 마르크스의 방법 : 김남천과 임화의 창작방법론 연구" 소명출판 2013

      7 I. 칸트, "순수이성비판" 박영사 1997

      8 E. 발리바르, "마르크스의 철학" 오월의봄 2018

      9 J. 데리다, "마르크스의 유령들" 그린비 2007

      10 홍정선, "김팔봉문학전집 I-VI" 문학과지성사 1988

      1 김영민, "한국근대문학비평사" 소명출판 1999

      2 김윤식,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 일지사 1976

      3 손유경, "프로문학의 감성구조" 소명출판 2012

      4 임규찬, "카프비평자료총서 I-VIII" 태학사 1990

      5 정명중, "육체의 사상, 사상의 육체" 문학들 2008

      6 김지형, "식민지 이성과 마르크스의 방법 : 김남천과 임화의 창작방법론 연구" 소명출판 2013

      7 I. 칸트, "순수이성비판" 박영사 1997

      8 E. 발리바르, "마르크스의 철학" 오월의봄 2018

      9 J. 데리다, "마르크스의 유령들" 그린비 2007

      10 홍정선, "김팔봉문학전집 I-VI" 문학과지성사 1988

      11 김남천, "[단행본] 김남천 전집" 박이정 2000

      12 Karl Marx, "Marx-Engels Collected Works(MECW) Vol.1-50" Lawrence & Wishart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1 0.97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