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초등도덕교육에서 ‘관용’은 다문화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새롭게 추가된 단원에 서 다루어지고 있다. 여기에서 ‘관용’은 ‘문화의 다양성과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302311
2014
Korean
관용 ; 도덕적 덕목 ; 시민적 덕목 ; 윤리적 가치 ; 전통적 덕목 ; civic virtue ; ethical value ; moral virtue ; tolerance ; traditional virtue
KCI등재
학술저널
53-82(30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행 초등도덕교육에서 ‘관용’은 다문화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새롭게 추가된 단원에 서 다루어지고 있다. 여기에서 ‘관용’은 ‘문화의 다양성과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
현행 초등도덕교육에서 ‘관용’은 다문화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새롭게 추가된 단원에 서 다루어지고 있다. 여기에서 ‘관용’은 ‘문화의 다양성과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가리키며, 이런 의미에서의 관용은 타인의 자유와 동등한 권리를 인정하는 시민적 덕목으로서 의 성격을 가진다. ‘관용’의 가치를 다문화윤리와 시민적 덕목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은 전 통윤리의 관점에서 해석되는 ‘관용’과 여러 가지 면에서 대비된다. 종래의 초등도덕교육에서 ‘관용’은 ‘다른 사람의 실수나 잘못을 너그럽게 받아들이는 마음’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유교 윤리에 기반을 둔 전통적 덕목으로서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시민적 덕목으로서의 관용과 전통적 덕목으로서의 관용은 무엇을 관용하고, 누가 관용하는가 등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는 만큼, 양자를 명백히 구분하지 않은 채 직접적으로 관련짓는 것은 관용의 의미와 관용교 육의 방향에 대한 오해와 혼란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전통적 관용과 시민적 관용은 그 개념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인간이 갖추어야 할 윤리적 태도로서의 공통된 의미를 가진다. ‘관용’이 도덕교육의 내용, 즉 윤리적 가치와 도덕적 덕목으로서 가지는 정당성은 사회적 필 요나 정치적 전략과는 구분되는 윤리학적 이유와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파악될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lerance' is presented as the term which means 'the attitude to understand and respect cultural diversities and differences' in one new unit of our present primary school moral curriculum. It is evident that the unit was introduced for responding to ...
Tolerance' is presented as the term which means 'the attitude to understand and respect cultural diversities and differences' in one new unit of our present primary school moral curriculum. It is evident that the unit was introduced for responding to increasing need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our society, and tolerance in this sense must be regarded as an important civic virtue which has its origin in ideals of liberalism and has been developed through history of democracy striving for people's freedom and equality of human rights. In contrast to this civic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pproach, the sense of 'tolerance' in our confucian ethical tradition can be defined as 'the generous mind to accept and forgive others' mistakes and wrongness' which has been taught as one of traditional virtues. Considering the obvious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senses of tolerance especially in the subject and object of tolerance behavior, the attempt to relate them directly without conceptual clarification might lead to misunderstanding and useless confusion about tolerance education. However, in the basis of civic tolerance and traditional tolerance, we can find common point as a moral virtue or an ethical attitude to treat other people as equal humans. The significance of 'tolerance' as a subject matter of moral education should be interpreted on the reason of its educational and ethical value as a moral virtue prior to social needs and political utility.
참고문헌 (Reference)
1 하승우, "희망의 사회 윤리 똘레랑스" 책세상 2003
2 이선열, "타자 대우의 두 원칙: 관용과 서(恕)" (사)율곡학회 24 : 73-106, 2012
3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도덕 6" 지학사 2011
4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도덕 6"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2
5 조기제, "초등교육에서의 관용교육"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13 : 259-281, 2003
6 Chua, Amy, "제국의 미래" 비아북 2008
7 노명식, "자유주의의 원리와 역사-그 비판적 연구" 민음사 1991
8 이근식, "자유주의란 무엇인가" 삼성경제연구소 2001
9 Sassier, Philippe, "왜 똘레랑스인가" 상형문자 2000
10 채인선, "아름다운 가치 사전" 한울림어린이 2005
1 하승우, "희망의 사회 윤리 똘레랑스" 책세상 2003
2 이선열, "타자 대우의 두 원칙: 관용과 서(恕)" (사)율곡학회 24 : 73-106, 2012
3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도덕 6" 지학사 2011
4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도덕 6"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2
5 조기제, "초등교육에서의 관용교육"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13 : 259-281, 2003
6 Chua, Amy, "제국의 미래" 비아북 2008
7 노명식, "자유주의의 원리와 역사-그 비판적 연구" 민음사 1991
8 이근식, "자유주의란 무엇인가" 삼성경제연구소 2001
9 Sassier, Philippe, "왜 똘레랑스인가" 상형문자 2000
10 채인선, "아름다운 가치 사전" 한울림어린이 2005
11 Sassier, Philippe, "민주주의의 무기, 똘레랑스" 이상북스 1999
12 정보라, "똘레랑스" 길 2000
13 교육부, "도덕 4 교사용 지도서" 천재교육 2014
14 추병완, "다문화적 시민성 함양을 위한 도덕과 교육 방안"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7) : 25-60, 2008
15 변순용, "다문화 사회 및 글로벌 시대에 요구되는 도덕교육의 핵심덕목으로서의 관용에 대한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13 (13): 133-152, 2010
16 홍세화, "나는 빠리의 택시 운전사" 창작과 비평사 1995
17 목영해, "관용의 교육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학회 교육철학연구회 18 : 209-220, 1997
18 Walzer, Michael, "관용에 대하여" 미토 2004
19 Locke. John, "관용에 관한 편지" 책세상 1689
20 Voltaire, "관용론" 한길사 2001
21 김용환, "관용과 열린 사회" 철학과 현실사 1997
22 Brown, Wendy, "관용: 다문화제국의 새로운 통치전략" 갈무리 2006
23 Willem van Loon, "관용" 서해문집 2005
24 King, Preston, "Toleration" George Allen Unwin 1976
25 Vogt, W. Paul, "Tolerance and Education: Learning to Live with Diversity and Difference" Sage Publications 1997
26 Marcuse, Herbert, "Repressive Tolerance" Beacon Press 1965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구성의 틀로서 제시된 ‘관계’ 개념의 존재론적 함의
2015년 고등학교 통합형 교육과정의 도덕과 내용 체계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12-2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3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도덕윤리과교육외국어명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7 | 0.961 | 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