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비대면 환경에서 유아 부모의 디지털 리터러시, e-헬스 리터러시 수준과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 건강정보추구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계획행...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396019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2022. 8
2022
한국어
서울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infant parents in an untact environment
vii, 104 p. : 삽화 ; 30 cm
지도교수: 김영식
참고문헌: p. 80-92
I804:11040-00000017114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비대면 환경에서 유아 부모의 디지털 리터러시, e-헬스 리터러시 수준과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 건강정보추구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계획행...
본 연구는 비대면 환경에서 유아 부모의 디지털 리터러시, e-헬스 리터러시 수준과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 건강정보추구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계획행동이론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유아 부모의 디지털 리터러시 요인으로 ICT 기본역량, SNS 활용 및 협업 능력을, e-헬스 리터러시 수준과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의 요인으로 유용성, 사용용이성, 정보신뢰도, 정보활용도를 도출하여 건강정보 생산활동과 건강정보 소비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만 2∼5세의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는 건강정보추구행위에 일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은 건강정보 생산활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ICT 기본역량이 건강정보 소비활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e-헬스 리터러시는 건강정보 생산활동과 건강정보 소비활동 모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는 건강정보추구행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유용성과 정보활용도가 건강정보 소비활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환경으로 인해 오프라인 건강정보추구행위가 어려워진 상황에서 유아 부모의 건강정보추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연구 대상의 수와 인구통계학적 한계와 비대면 환경 전후를 비교하지 못했다는 데에 한계가 있다. 추후 더 많은 표본을 조사하고 관련 교육을 제공하여 교육 전후로 온라인 기반의 유아 부모의 건강정보 행위를 비교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유아 부모의 건강정보추구행위에 대해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e-health literacy, attitudes toward Internet health information of infant parents in an untact environment, and the effect on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Based on the theory o...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e-health literacy, attitudes toward Internet health information of infant parents in an untact environment, and the effect on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effects of digital literacy with factors such as basic ICT capabilities, SNS utilization and collaboration capabilities, e-health literacy, and attitudes toward Internet health information with factors such as usefulness, ease of use, information reliability, and information utilization on health information production activities and health information consumption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A survey was conducted on parent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aged 2 to 5.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gital literacy had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did not affect health information production activities, and basic ICT competencies had a positive (+) effect on health information consumption activities.
Second, e-health literacy had a positive (+) effect on both health information production activities and health information consumption activities.
Third, the attitude toward Internet health information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nd the usefulness and information utilization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health information consumption activ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e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infant parents in a situation where offline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has become difficult due to the untact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number of research subjects and demographic limitations, and in that the untact environment could not be compared. If more samples are investigated in the future and a study comparing online-based infant parents' health information behavior before and after related education is conducted, it is expected that the health information pursuit behavior of infant parents will be understood in more depth.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