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십이곡>은 平明하게 시작한다. 이 平明함은 이황이 의도한 것일 수 있 다. 진리란 평범하고 보편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보편적 진리의 자명함은 4연의 1, 2행에서 극대화된다. 골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023259
신연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08
-
<Tosan 12 songs>(Tosan Sibigok) ; LeeHwang ; metaphor ; stroll ; the old man ; the Universal Principle ; 도산십이곡 ; 이황 ; 은유 ; 산책 ; 책 ; 고인 ; 근원적 이치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75-106(32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도산십이곡>은 平明하게 시작한다. 이 平明함은 이황이 의도한 것일 수 있 다. 진리란 평범하고 보편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보편적 진리의 자명함은 4연의 1, 2행에서 극대화된다. 골짜...
<도산십이곡>은 平明하게 시작한다. 이 平明함은 이황이 의도한 것일 수 있
다. 진리란 평범하고 보편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보편적 진리의 자명함은 4연의
1, 2행에서 극대화된다. 골짜기에 난초가 피어 있고 산에 구름이 있는 것은 자연
스럽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어디서나 누구나 볼 수 있는 보편적인 경
험이고 누구나 할 수 있는 말이다. 그러나 종장의 ‘저 아름다운 한 사람을 더욱
잊지 못해라’는 비약적인 효과를 갖고 있다.
난초가 골짜기에 있고 백운이 산에 있는 것은 자연의 소당연의 질서이다. 그
배후에는 소당연을 있게 하는 소이연이 있다. 화자는 幽蘭과 白雲이라는 자연의
현상을 보고 그 현상의 배후에 보이지 않게 존재하는 소이연의 원리를 생각하고
있다. 이황은 눈에 드러나는 현상보다는 그 배후에 있는 보이지 않는 존재인 원
리를 더 강조한 사상가이다. 그 원리를 이 시에서 ‘아름다운 사람’으로 표현했다.
화자의 산책은 인간의 모습을 찾기 위한 산책이다. <도산십이곡> 전반부를
구성하는 생각은 자연은 조화와 질서라는 것이고 사람은 자연처럼 질서와 조화
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생각을 자연 속의 산책의 이미지로 암시하고 있
다. 이를 산책의 은유라고 할 수 있다. 화자의 산책은 자연의 관찰이고 이는 인간본성의 탐구라는 전제 위에 있다. 자연은 세계의 본질이고 산책은 그 탐구이다.
후반 6수는 책의 은유와 길의 은유로 이루어져 있다. 자연 속의 산책을 통해 얻
은 깨달음의 내용이 책에 있고 그 책의 내용이 고인의 길이며 내가 할 일은 그
길을 따라 걷는 것이다. 그 길을 따라 걷는 것은 어리석은 사람도 하는 것이나
그 완전한 실천은 성인도 못 다 하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후반부 6수는 배움에 대한 내용임이 확연히 드러난다. 책과 길은
자연을 통해 고인이 얻은 인성의 어짊에 대한 인식이다. 그렇다면 그 책은 자연
의 내용이 들어 있는 책이다. 그렇다면 자연을 산책한 것은 책의 내용을 확인하
는 것이다. 자연 산책을 하면서 자연 이면에 있는 저 아름다운 한 사람, 그 근원
적 이치에 대해 상고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 2 , 4판" 지식산업사 1-515, 2005
2 장덕순, "한국고전문학의 이해" 일지사 1-417, 1974
3 정순목, "퇴계 평전" 지식산업사 1-414, 1992
4 L. K. 뒤프레, "종교에서의 상징과 신화" 서광사 1-207, 1996
5 김상진, "조선중기 연시조의 연구" 민속원 1-339, 1997
6 신연우, "이황시의 깊이와 아름다움" 지식산업사 1-335, 2006
7 조동일, "이황 in: 한국문학사상사시론 , 2판" 지식산업사 1-479, 1999
8 김동욱, "은유와 환유" 민음사 1-321, 1999
9 윤성근, "윤선도 작품집" 형설출판사 1-227, 1982
10 김대행, "시조유형론" 이화여대출판부 1-358, 1986
1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 2 , 4판" 지식산업사 1-515, 2005
2 장덕순, "한국고전문학의 이해" 일지사 1-417, 1974
3 정순목, "퇴계 평전" 지식산업사 1-414, 1992
4 L. K. 뒤프레, "종교에서의 상징과 신화" 서광사 1-207, 1996
5 김상진, "조선중기 연시조의 연구" 민속원 1-339, 1997
6 신연우, "이황시의 깊이와 아름다움" 지식산업사 1-335, 2006
7 조동일, "이황 in: 한국문학사상사시론 , 2판" 지식산업사 1-479, 1999
8 김동욱, "은유와 환유" 민음사 1-321, 1999
9 윤성근, "윤선도 작품집" 형설출판사 1-227, 1982
10 김대행, "시조유형론" 이화여대출판부 1-358, 1986
11 신연우, "시조 표현 기법의 한 고찰 in: 조선조 사대부 시조문학 연구" 박이정 1-302, 1997
12 김열규, "시적 체험과 그 형상" 대방 1-282, 1984
13 김준오, "시론 , 3판" 삼지원 1-390, 1993
14 G 레이코프, "삶으로서의 은유" 서광사 1-298, 1995
15 신대철, "사람이 그리운 날 1 in: 무인도를 위하여" 문학과지성사 1-84, 1977
16 나병철, "문학의 이해" 문예출판사 1-449, 1994
17 이황, "도산전서, 제2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18 이황, "도산전서 제3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19 심재완, "교본 역대 시조전서" 세종문화사 1-1341, 1972
20 한형조, "幽貞, 혹은 유교적 은자의 길" 퇴계학연구원 111 : 145-192, 2002
21 George Lakoff, "More Than Cool Reason - A Field Guide to Poetic Metaphor"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9
22 고정희, "<도산십이곡>과<고산구곡가>의 언어적 차이와 시가사적 의의" 국어국문학회 141 : 197-228, 2005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6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5-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Soceity of Poetics & Linguistics -> The Society of Poetics & Linguistics | ![]() |
2007-05-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Poetics & Linguistics -> The Soceity of Poetics & Linguistics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