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을 통해 계발할 수 있는 긍정적 속성인 사무량심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 비, 희, 사를 나타내는 사무량심은 본래 타인에 대한 긍정적 속 성을 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820403
2013
-
사무량심 ; 자기자비 ; 마음챙김 ; 명상 ; Four Immeasurables ; self-compassion ; mindfulness ; meditation
18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11(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명상을 통해 계발할 수 있는 긍정적 속성인 사무량심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 비, 희, 사를 나타내는 사무량심은 본래 타인에 대한 긍정적 속 성을 나...
명상을 통해 계발할 수 있는 긍정적 속성인 사무량심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 비, 희, 사를 나타내는 사무량심은 본래 타인에 대한 긍정적 속
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를 측정하는 도구의 개발 필요성을 논하였다. 사무량심을 측정하기
위한 32문항을 제작하여 대학생과 일반인을 포함한 표본(N=292)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탐색
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慈), 비(悲), 희(喜), 사(捨)의 4요인 외에 역(逆)무량심을
확인하였다. 이 중 비(悲)무량심은 긍정적 속성을 나타내는 희(喜), 사(捨)무량심과 정적인 상관
을 보인 동시에, 부정적 속성을 나타내는 역(逆)무량심과도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이런 비(悲)
무량심의 특징적인 분석 결과를 정서, 문화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에 대한 자비명상 효과의 이론적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