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학의 자율화를 위한 정범모와 장상호의 학문적 도전과 그 후속과제 = Academic Challenges of Bommo Chung and Sangho Chang to Establish the Autonomy of Educative Research and its Subsequent Tas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831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주제는 “교육학의 분과학문적 자율성 확립과 그 학문적 후속과제의 검토”이다. 구체적으로 독자적인 교육이론을 정립하기 위한 학문적 노력을 평가하고 향후 추진과제를 정리...

      본 논문의 주제는 “교육학의 분과학문적 자율성 확립과 그 학문적 후속과제의 검토”이다. 구체적으로 독자적인 교육이론을 정립하기 위한 학문적 노력을 평가하고 향후 추진과제를 정리하였다. 먼저 교육에 관한 고유한 이론 창안에 부진했던 현 교육학의 풍토를 비판적 시각에서 고찰하였다. 이어서 독자적인 교육이론을 창안하고자 했던 두 학자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하나는 교육학을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 정립하려고 했던 정범모의 과학주의적 교육론으로, 그가 이룩한 성과와 교육학의 정립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다른 하나는 교육학의 토대를 재건하고자 한 장상호의 교육본위론이며, 그의 노력이 교육학의 자율성 확립에 기여한 바가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이들의 선구적 노력은 교육학의 정체성 혼란을 극복하고 분과학문의 입지를 다지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분과학문으로서 교육학의 정립은 여전히 미완성이라는 점에서 그 과업의 완수를 향한 학문적인 도전은 후학들에 의해서 지속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heme of this paper is “the establishment of educative science and its academic tasks.” Specifically, the intention was to synthesize and organize the efforts and achievements of establishing the independent theoretical foundation of educative...

      The theme of this paper is “the establishment of educative science and its academic tasks.” Specifically, the intention was to synthesize and organize the efforts and achievements of establishing the independent theoretical foundation of educative research. Before that, I first looked at the tradition of educational studies, which failed to produce results in the creation of unique theory as an academic field of study, from a critical perspective and looked into the causes and consequences. Then, I looked at the examples of the two scholars who invented their own theory of education. One is Bommo Chung’s scientific pedagogy, which tried to establish educational research as a branch of social science, and looked at his achievements and the impact on the establishment of educative science. The other is Sangho Chang’s theory of education, which aims to rebuild the foundation of educational research, and examines what his efforts have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academic autonomy in educative science. Their pioneering efforts contributed greatly to overcoming the confusion over the academic identity of educational science and strengthening the position as an academic discipline. However, since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research as an independent science is still incomplete, the academic challenge towards completion of the task needs to be continued by enthusiastic junio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교육학의 정립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 Ⅲ. 독자적인 교육이론 창안의 사례 Ⅳ. 교육학의 분과학문적 정립을 위한 과제
      • Ⅰ. 서론 Ⅱ. 교육학의 정립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 Ⅲ. 독자적인 교육이론 창안의 사례 Ⅳ. 교육학의 분과학문적 정립을 위한 과제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범모, "한국의 교육세력" 나남출판 2000

      2 장상호, "한국교육학의 맥" 나남출판 291-326, 1994

      3 신기현, "학문의 통섭논쟁에 대한 비판적 고찰:교육적 인식론의 관점에서" 한국교육원리학회 18 (18): 45-62, 2013

      4 장상호, "학문과 교육(중 Ⅱ) : 교육본위의 삶"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5 장상호, "학문과 교육(중 III) : 교육연구의 새 지평"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6 장상호, "학문과 교육(중 I) : 교육이란 무엇인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7 장상호, "학문과 교육(상) : 학문이란 무엇인가"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8 장상호, "창간사: 감내해 나가야 할 역경들" 1 (1): i-vii, 1996

      9 Shils, E, "전통" 민음사 1992

      10 정범모, "인간의 자아실현" 나남출판 1997

      1 정범모, "한국의 교육세력" 나남출판 2000

      2 장상호, "한국교육학의 맥" 나남출판 291-326, 1994

      3 신기현, "학문의 통섭논쟁에 대한 비판적 고찰:교육적 인식론의 관점에서" 한국교육원리학회 18 (18): 45-62, 2013

      4 장상호, "학문과 교육(중 Ⅱ) : 교육본위의 삶"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5 장상호, "학문과 교육(중 III) : 교육연구의 새 지평"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6 장상호, "학문과 교육(중 I) : 교육이란 무엇인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7 장상호, "학문과 교육(상) : 학문이란 무엇인가"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8 장상호, "창간사: 감내해 나가야 할 역경들" 1 (1): i-vii, 1996

      9 Shils, E, "전통" 민음사 1992

      10 정범모, "인간의 자아실현" 나남출판 1997

      11 최성욱, "융합교육의 이해" 이모션북스 2017

      12 정원식, "서울대학교 학문연구 40년(I): 총괄 인문 사회과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371-388, 1987

      13 정범모, "미래의 선택" 나남출판 1987

      14 장상호, "교육학의 재건" 교육과학사 2020

      15 장상호, "교육학의 비본질성" 1 (1): 5-53, 1986

      16 최성욱, "교육학 패러다임의 전환 : 기능주의에서 내재주의로" 10 (10): 71-135, 2005

      17 정범모, "교육평가" 풍국학원 1955

      18 장상호, "교육적 반전의 내재율에 비추어 본 고대희랍의 교육삼대" 4 (4): 1-62, 1999

      19 장상호, "교육의 정체혼미와 교육학의 과제" 5 (5): 21-64, 1990

      20 장상호, "교육의 재개념화에 따른 10가지 탐구영역" 2 (2): 111-213, 1997

      21 장상호, "교육연구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방략" 6 (6): 1-35, 2001

      22 장상호, "교육과학연구의 연구동향. 신용국 외, 한국교육학의 성장과 과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83 (83): 403-460, 1983

      23 이홍우, "교육과정 탐구" 박영사 1977

      24 정범모, "교육과정" 풍국학원 1956

      25 정범모, "교육과 교육학" 배영사 1968

      26 Goodman, N, "Ways of worldmaking" Hackett Publishing Company 1978

      27 Kerr, C, "The uses of the university" Harper & Row Publishers, Inc 1966

      28 Kuhn, T. S,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0

      29 Mialaret, G, "Introduction to the educational sciences" UNESCO 1985

      30 Egan, K, "Education and psychology: Plato, Piaget and scientific psychology" Methuen &Co. Ltd 1983

      31 Gowin, D. B, "Educating" Cornell University Press 1981

      32 Clifford, G. J, "ED schoo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8

      33 Schneider, B, "Critical studies in teacher education" The Palmer Press 211-241, 1989

      34 Ornstein, A. C, "An introduction to the foundations of education" Rnd McNally College Publishing Company 1977

      35 장상호, ". 교육학 탐구영역의 재개념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91 (91): 19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5-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육원리연구회 -> 한국교육원리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al Principles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al Principl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4 1.158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