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 CBDC정책의 중앙화 이데올로기와 정책 가치 분석 = Analysis of Centralization Ideology and Policy Values of China's CBDC Poli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1759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otivations and intentions behind the rapid push for China's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CBDC) policy as part of a response to the volatility that China's CBDC policy will bring. There are two key issues in the study related to the motivation and intention of promoting CBDC policies. First, to what extent is the CBDC policy related to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yuan? Second, if CBDC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RMB internationalization policy, what are the policy motivations and intentions behind the promotion of CBDC policy?
      In Chapter 1, the author reviewed previous studies to determine whether the main purpose of China's CBDC policy is to internationalize the yuan or if there are other more important intentions. Previous studies have generally summarized the intention of China's CBDC policy as being either state control o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yuan. Contrary to such previous studies, this study focused on the argument that China's financial conditions themselves are not in a position to pursue a reserve currency through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yuan. This argument was also supported by scholars’ studies studying international currencies. While the media and related academic circles continue to have doubts about China, this study examined various claims and hypotheses about the policy motives and intentions of China's CBDC policy using process tracing and discourse analysis 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to determine whether these doubts are justified.
      In addition, Chapter 1 classifies and analyzes various claims and hypotheses raised in relation to the current intent and background of China's CBDC policy into three aspects: description, control, and geopolitics. In the process of analysis, we were able to present a new hypothesis that could overwhelm and summarize these various claims and hypotheses. The centralization ideology hypothesis was that the main intention of promoting CBDC policy was to protect the centralization ideology from the challenge of the decentralization philosophy of private money. The reason why the centralization ideology hypothesis is friendly and relevant to explaining China's CBDC policy lies in the systemic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traditions of China.
      Chapter 2 explores the historical and institutional background of the centralization ideology hypothesis of Chinese thought and democratic centralization, and identifies how it is affecting the current CBDC pilot project in China. In particular, this chapter focuses on the process of change in CBDC policy through the regulation of centralization. The final focus of this analysis is to find the centralization will of the Chinese government in the process of promoting CBDC policy.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in the chapter, the author was able to confirm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centralization ideology on China's CBDC policy, and also see how it is being adjusted to fit the real-world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The centralization will be firmly established in China's CBDC policy by making proper use of the introduction of permissioned blockchain methods and the adoption of hybrid models.
      In Chapter 3, the author examined how the situation and conditions in China, such as the centralization drive, correspond to the situation and conditions of global CBDCs and determine the direction of China's CBDC policy. The analysis of these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global CBDCs are competing and cooperating in a centralization/decentralization framework.
      To analyze the global CBDC situation, the author divided the world into five countries with similar conditions and environments in terms of various monetary systems and financial service environments, and compared the CBDC policies of these countries, including their CBDC promotion status and centralization intentions, with each other to find the implications of China's CBDC policy through such comparisons. The focus of the comparison was to examine the motives and intentions of each country to promote CBDCs within the most core and comprehensive framework surrounding CBDCs, namely the hegemony and geopolitics vs. function and convenience framework and the two major frameworks of centr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hina's CBDC policy within these two frameworks. He also examined the global international payment system, the trends in cryptocurrency for overseas remittances provided by private companies, and the geopolitical implications of private-led digital currency technology. In addition, he also examined the progress of the M-Bridge project and the Agora project, which are being promoted as international CBDC cooperation platforms, which will be important issues in the future regarding CBDC. He also checked the status of more than 13 other platform projects related to this. The main implication of this analysis of global platform projects was that their actions had the potential to determine the future direction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order. In the context, he also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nother direction in the international monetary restructuring through the analysis of trends in digital assets of fiat money to crypto (F2C), especially stablecoins and tokenized deposits, which are emerging as a powerful model of future money along with CBDC.
      What was revealed through the observations and analysis in the chapter was that the debate and conflict surrounding CBDC were more intense in the domestic sphere than in the international sphere. The central composition of the competition was a competition between centr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and the arguments and conflicts between the US political circles and private company Facebook, which was revealed in the development of the Libra project, was a representative manifestation of this. And the trends of dollar-based stablecoins and bank tokens, which are being discussed as alternatives to CBDC, were also attracting attention as important elements to watch in relation to CBDC, in line with the F2C three-power composition. The analysis in Chapter 3 confirmed that the intentions of countries around the world to promote CBDCs are complex and multilayered. In particular, it was noteworthy that the goals pursued by the United States and China differed depending on whether the stage of CBDC was inside or outside the country.
      The main research topic in Chapter 4 was to approach the actual motives and intentions of China's CBDC policy through the analytical framework of the new concepts of ‘disguised purpose-oriented policy’ and ‘implicit policy value.’ The need for such a conceptual analytical framework stems from the closed nature of China's policy ecosystem and the ambiguity of the policy intent of China's CBDC policy. From this perspective, the limited access to policy information, data, and policy officials has led to the use of this exploratory analytical framework to track the direct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of China's CBDC centralization ideology and China's policy-specific implicit survival value and the intent to promote China's CBDC policy.
      To this end, the author has newly classified the types of Chinese policies and policy values. In the case of policy types, policie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according to hierarchy, and an attempt was made to find a suitable type among the classified policy types for disguised policies. In the case of policy value types, the study derived a new type of policy value, implicit survival value, by applying the criteria for type classification obtained through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he empirical basis for this attempt was found in the data containing China's national policies, the Seven Documents, and the actual policies of China derived from them.
      In accordance with the analytical framework of disguised policies and implicit policy values, the main topics of Chapter 4 were organized as follows: First, the author used examples from the CBDC policy. The role and meaning of decentralization implied in the CBDC small-value transaction method were analyzed and captured from a new perspective, and the counterargument for the active adoption of the small-value transaction method was confirmed through a case comparison with India's CBDC. Second, the author sought to secure empirical evidence of the camouflaged policy purpose and implicit survival value by analyzing the Gongsu Restaurant and Public Restaurant System, a newly revived policy model from the Mao Zedong era that is not directly related to CBDC policy. In particular, the Gongsu Restaurant System is the most similar policy case to the CBDC policy in terms of the ambiguity of its motivation and intent, and is an important comparison and analysis target for the pursuit of implicit survival value. Third, the digital industry policy as a sector to which CBDC policies should belong, which seems to be related to CBDC policies but cannot be connected in reality, raising questions. This policy is particularly evident in the absence of any mention of CBDC policies in data such as China's Digital Industry Report or Digital Industry Evaluation Indicators. It was certainly surprising that the CBDC policy, which is not only the core infrastructure of the digital industry but also invests huge amounts of money on par with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was excluded from the discussion on the digital industry.
      Third, there is a digital industry policy that seems to be related to the CBDC policy but cannot be connected in reality, raising questions. This policy is the digital industry policy as a sector that should be included. This policy is particularly evident in the absence of any mention of the CBDC policy in materials such as China's digital industry report or digital industry evaluation indicators. These policy cases were used as empirical examples to confirm that China's CBDC policy is a disguised policy, and the motivation behind it is implicit survival value.
      In addition, in Chapter 4,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policies,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the Yuan International Settlement System (CIPS), and China's CBDC policy, was compared and analyzed. This is directly related to China's ‘Yuan Internationalization Policy,’ which is the subject of the study. If the intention of promoting China's CBDC is to internationalize the yuan, the CBDC has been shown to have a connection with CIPS in many way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as expected,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the CIPS policy were closely linked with each other and played a pioneering role i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yuan. However, the CBDC policy, despite its future technological potential, appeared to be focusing on the domestic distribu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digital yuan, which is applied to small-value transactions, rather tha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yuan.
      The analysis results from Chapters 2 to 4 show that China's CBDC is for domestic use, and the top priority of the CBDC policy as revealed through data analysis is to protect the centralized ideology and centralized political system. In the end, the final conclusion of the study is that China's CBDC policy is more of a system security policy to protect the centralized communist leadership system rather than a policy of ‘internationalization of the yuan,’ and the policy values that support it are likely to be survival valu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otivations and intentions behind the rapid push for China's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CBDC) policy as part of a response to the volatility that China's CBDC policy will bring. There are two key 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otivations and intentions behind the rapid push for China's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CBDC) policy as part of a response to the volatility that China's CBDC policy will bring. There are two key issues in the study related to the motivation and intention of promoting CBDC policies. First, to what extent is the CBDC policy related to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yuan? Second, if CBDC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RMB internationalization policy, what are the policy motivations and intentions behind the promotion of CBDC policy?
      In Chapter 1, the author reviewed previous studies to determine whether the main purpose of China's CBDC policy is to internationalize the yuan or if there are other more important intentions. Previous studies have generally summarized the intention of China's CBDC policy as being either state control o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yuan. Contrary to such previous studies, this study focused on the argument that China's financial conditions themselves are not in a position to pursue a reserve currency through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yuan. This argument was also supported by scholars’ studies studying international currencies. While the media and related academic circles continue to have doubts about China, this study examined various claims and hypotheses about the policy motives and intentions of China's CBDC policy using process tracing and discourse analysis 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to determine whether these doubts are justified.
      In addition, Chapter 1 classifies and analyzes various claims and hypotheses raised in relation to the current intent and background of China's CBDC policy into three aspects: description, control, and geopolitics. In the process of analysis, we were able to present a new hypothesis that could overwhelm and summarize these various claims and hypotheses. The centralization ideology hypothesis was that the main intention of promoting CBDC policy was to protect the centralization ideology from the challenge of the decentralization philosophy of private money. The reason why the centralization ideology hypothesis is friendly and relevant to explaining China's CBDC policy lies in the systemic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traditions of China.
      Chapter 2 explores the historical and institutional background of the centralization ideology hypothesis of Chinese thought and democratic centralization, and identifies how it is affecting the current CBDC pilot project in China. In particular, this chapter focuses on the process of change in CBDC policy through the regulation of centralization. The final focus of this analysis is to find the centralization will of the Chinese government in the process of promoting CBDC policy.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in the chapter, the author was able to confirm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centralization ideology on China's CBDC policy, and also see how it is being adjusted to fit the real-world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The centralization will be firmly established in China's CBDC policy by making proper use of the introduction of permissioned blockchain methods and the adoption of hybrid models.
      In Chapter 3, the author examined how the situation and conditions in China, such as the centralization drive, correspond to the situation and conditions of global CBDCs and determine the direction of China's CBDC policy. The analysis of these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global CBDCs are competing and cooperating in a centralization/decentralization framework.
      To analyze the global CBDC situation, the author divided the world into five countries with similar conditions and environments in terms of various monetary systems and financial service environments, and compared the CBDC policies of these countries, including their CBDC promotion status and centralization intentions, with each other to find the implications of China's CBDC policy through such comparisons. The focus of the comparison was to examine the motives and intentions of each country to promote CBDCs within the most core and comprehensive framework surrounding CBDCs, namely the hegemony and geopolitics vs. function and convenience framework and the two major frameworks of centr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hina's CBDC policy within these two frameworks. He also examined the global international payment system, the trends in cryptocurrency for overseas remittances provided by private companies, and the geopolitical implications of private-led digital currency technology. In addition, he also examined the progress of the M-Bridge project and the Agora project, which are being promoted as international CBDC cooperation platforms, which will be important issues in the future regarding CBDC. He also checked the status of more than 13 other platform projects related to this. The main implication of this analysis of global platform projects was that their actions had the potential to determine the future direction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order. In the context, he also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nother direction in the international monetary restructuring through the analysis of trends in digital assets of fiat money to crypto (F2C), especially stablecoins and tokenized deposits, which are emerging as a powerful model of future money along with CBDC.
      What was revealed through the observations and analysis in the chapter was that the debate and conflict surrounding CBDC were more intense in the domestic sphere than in the international sphere. The central composition of the competition was a competition between centr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and the arguments and conflicts between the US political circles and private company Facebook, which was revealed in the development of the Libra project, was a representative manifestation of this. And the trends of dollar-based stablecoins and bank tokens, which are being discussed as alternatives to CBDC, were also attracting attention as important elements to watch in relation to CBDC, in line with the F2C three-power composition. The analysis in Chapter 3 confirmed that the intentions of countries around the world to promote CBDCs are complex and multilayered. In particular, it was noteworthy that the goals pursued by the United States and China differed depending on whether the stage of CBDC was inside or outside the country.
      The main research topic in Chapter 4 was to approach the actual motives and intentions of China's CBDC policy through the analytical framework of the new concepts of ‘disguised purpose-oriented policy’ and ‘implicit policy value.’ The need for such a conceptual analytical framework stems from the closed nature of China's policy ecosystem and the ambiguity of the policy intent of China's CBDC policy. From this perspective, the limited access to policy information, data, and policy officials has led to the use of this exploratory analytical framework to track the direct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of China's CBDC centralization ideology and China's policy-specific implicit survival value and the intent to promote China's CBDC policy.
      To this end, the author has newly classified the types of Chinese policies and policy values. In the case of policy types, policie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according to hierarchy, and an attempt was made to find a suitable type among the classified policy types for disguised policies. In the case of policy value types, the study derived a new type of policy value, implicit survival value, by applying the criteria for type classification obtained through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he empirical basis for this attempt was found in the data containing China's national policies, the Seven Documents, and the actual policies of China derived from them.
      In accordance with the analytical framework of disguised policies and implicit policy values, the main topics of Chapter 4 were organized as follows: First, the author used examples from the CBDC policy. The role and meaning of decentralization implied in the CBDC small-value transaction method were analyzed and captured from a new perspective, and the counterargument for the active adoption of the small-value transaction method was confirmed through a case comparison with India's CBDC. Second, the author sought to secure empirical evidence of the camouflaged policy purpose and implicit survival value by analyzing the Gongsu Restaurant and Public Restaurant System, a newly revived policy model from the Mao Zedong era that is not directly related to CBDC policy. In particular, the Gongsu Restaurant System is the most similar policy case to the CBDC policy in terms of the ambiguity of its motivation and intent, and is an important comparison and analysis target for the pursuit of implicit survival value. Third, the digital industry policy as a sector to which CBDC policies should belong, which seems to be related to CBDC policies but cannot be connected in reality, raising questions. This policy is particularly evident in the absence of any mention of CBDC policies in data such as China's Digital Industry Report or Digital Industry Evaluation Indicators. It was certainly surprising that the CBDC policy, which is not only the core infrastructure of the digital industry but also invests huge amounts of money on par with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was excluded from the discussion on the digital industry.
      Third, there is a digital industry policy that seems to be related to the CBDC policy but cannot be connected in reality, raising questions. This policy is the digital industry policy as a sector that should be included. This policy is particularly evident in the absence of any mention of the CBDC policy in materials such as China's digital industry report or digital industry evaluation indicators. These policy cases were used as empirical examples to confirm that China's CBDC policy is a disguised policy, and the motivation behind it is implicit survival value.
      In addition, in Chapter 4,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policies,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the Yuan International Settlement System (CIPS), and China's CBDC policy, was compared and analyzed. This is directly related to China's ‘Yuan Internationalization Policy,’ which is the subject of the study. If the intention of promoting China's CBDC is to internationalize the yuan, the CBDC has been shown to have a connection with CIPS in many way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as expected,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the CIPS policy were closely linked with each other and played a pioneering role i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yuan. However, the CBDC policy, despite its future technological potential, appeared to be focusing on the domestic distribu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digital yuan, which is applied to small-value transactions, rather tha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yuan.
      The analysis results from Chapters 2 to 4 show that China's CBDC is for domestic use, and the top priority of the CBDC policy as revealed through data analysis is to protect the centralized ideology and centralized political system. In the end, the final conclusion of the study is that China's CBDC policy is more of a system security policy to protect the centralized communist leadership system rather than a policy of ‘internationalization of the yuan,’ and the policy values that support it are likely to be survival valu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CBDC) 정책이 초래할 변동성에 대한 대응책의 일환으로서 중국 CBDC 정책의 급속한 추진 동기와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CBDC 정책 추진의 동기, 의 도와 관련해서 이 연구에서 다루는 핵심 쟁점은 크게 2가지다. 첫째, CBDC 정책이 위안화 국제화 정책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느냐 하는 것이다. 둘째, 만약 CBDC가 위안화 국제화 정책과 직접 관련이 없다면, 어떤 정책 동기와 의도가 CBDC 정책 추진의 배경이냐는 것이다. 제1장 서론에서는 중국 CBDC 정책의 주된 추진 목적이 위안화의 국제화에 있 는지, 아니면 다른 더 중요한 의도가 있는지 하는 것을 밝히기 위하여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선행 연구는 대체로 중국 CBDC 정책의 의도가 국가 통제나 위안화 국 제화에 있는 것으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선행 연구에 반하여, 이 연구는 중국의 금 융 여건 자체가 위안화 국제화를 통한 기축통화화를 추구할 처지가 아니라는 주장 에 주목했다. 이러한 주장은 국제통화를 연구하는 학자들의 연구에서도 뒷받침되고 있었다. 언론이나 관련 학계의 중국에 대한 의구심은 여전하지만, 이 연구는 이러한 의구심이 타당한 것인지를 밝히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론으로서의 과정 추적법과 담 론 분석을 활용하여 중국 CBDC 정책의 정책 동기와 의도에 대한 여러 주장과 가 설들을 검토하였다. 이에 추가하여 제1장에서는 현재 중국 CBDC 정책의 추진 의도와 배경과 관련 하여 제기되는 다양한 주장과 가설을 기술, 통제, 지정학의 3가지 측면으로 분류하 고 분석했다. 분석의 과정에서 이들 여러 주장과 가설들을 압도하며 총괄할 수 있 는 새로운 가설을 제시할 수 있었다. 중국 CBDC 정책의 실제 의도가 민간 화폐의 탈중앙화 철학의 도전으로부터 중앙화 이데올로기를 보호하는 것이 CBDC 정책 추 진의 주된 의도라는 중앙화 이데올로기 가설이었다. 중앙화 이데올로기 가설이 중 국 CBDC 정책 설명에 친화적이고 적실성을 가지는 이유는 중국의 체제적 특성과 역사적 전통에 있었다. 제2장에서는 중화사상과 민주집중제라는 중앙화 이데올로기 가설의 역사적, 체 제적 배경을 탐색하고, 그것이 현재 중국 CBDC 시범 사업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 는지 파악하였다. 특히, 이 장에서는 중앙화 의지의 조절을 통해 이루어지는 CBDC 정책의 변화 과정에 주목했다. 이러한 분석의 최종적 관심은 중국 정부의 중앙화 의지를 CBDC 정책 추진 과정에서 찾아내는 것이었다. 이 장에서의 선행 연구의 분석을 통하여 중국의 CBDC 정책에 대한 중앙화 이 데올로기의 지대한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고, 중앙화 작업의 조절을 통하여 현실적 조건과 상황에 맞추어가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었다. 허가형 블록체인 방식의 도입 과 하이브리브 모델 채택 등을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중국 CBDC 정책에서 중앙화 의지는 확고했다. 제3장에서는 중앙화 의지와 같은 중국 내의 상황과 조건이 글로벌 CBDC의 상황 과 조건에 어떻게 조응하면서 중국 CBDC 정책의 방향을 결정하는지 고찰하였다. 이 러한 선행 연구의 분석에서는 글로벌 CBDC는 중앙ㆍ탈중앙화 대립 구도 하에 경쟁 과 협력이 전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글로벌 CBDC 상황 분석을 위해 다양한 통화체제와 금융서비스 환경에 놓여있는 세계 각국을 조건과 환경이 유사한 5개 국가로 나누고, 이들 국가의 CBDC 추진 상황 과 중앙화 의지 등의 CBDC 정책을 상호 비교하고, 그러한 비교를 통해 중국의 CBDC 정책이 가지는 의미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비교의 초점은 각국의 CBDC 추진 동기와 의도를 CBDC를 둘러싼 가장 핵심적이면서 포괄적인 구도, 즉 패 권‧지정학 vs. 기능‧편익 구도와 중앙화ㆍ탈중앙화의 양대 구도를 분석틀로 삼아, 이 러한 양대 구도 내에서 중국 CBDC 정책의 차별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글로벌 국제 지급결제 시스템과 이에 기술을 제공하고 있는 민간기업의 해외송금용 암호화폐의 동 향, 그리고 민간 주도의 디지털 화폐 기술과 그것이 내포한 지정학적 함의도 살펴보았 다. 더불어 CBDC와 관련하여 향후 중요 쟁점(issue)이 될, 국제 CBDC 협력 플랫폼으 로 추진되고 있는 M브릿지 프로젝트와 아고라 프로젝트의 추진 상황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13개 이상의 다른 플랫폼 프로젝트의 상황도 추가로 점검했다. 이러한 글로벌 플랫폼 프로젝트 분석의 주요 시사점은 이들의 행보가 향후 국제 통화 질서 재편의 향방을 결정지을 수 있는 잠재력이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법정화폐와 암호화폐의 거래(Fiat Money to Crypto: F2C)의 디지털 자산, 특히 CBDC와 더불어 유력한 미래 화폐의 모델로 부상하고 있는 스테이블코인(Stablecoin)과 예금 토큰 (tokenized deposit)의 동향 분석을 통해 국제통화 재편에서 또 다른 방향의 가능성도 탐색했다. 이 장에서의 관찰과 분석을 통해 드러난 것은 CBDC를 둘러싼 논쟁과 갈등이 국제 영역보다 국내 영역에서 더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그 경쟁의 중심 구도는 중앙화와 탈중앙화의 경쟁 구도였고, 리브라(Libra) 프로젝트의 전개 과정에서 드러난 미국 정치권과 민간기업 페이스북과의 충돌과 갈등이 그 대표적인 징후였다. 그리고 CBDC 대체용으로 거론되는 달러 기반의 스테이블코인과 은행 토 큰의 동향도 F2C 3강 구도와 맞물려 CBDC와 관련한 중요 관전 요소로 주목받고 있었다. 제3장의 분석에서는 세계 각국의 CBDC 추진 의도가 복합적, 중층적이라는 점을 확인했다. 특히, CBDC의 무대가 국가 안이냐, 국가 밖이냐에 따라서 미국과 중국이 추구하는 목표가 달라지는 현상은 주목할 만한 점이었다. 제4장에서의 주요 연구 주제는 ‘위장된 목적형 정책’과 ‘암시적 정책가치’라는 새로운 개념의 분석 틀을 통해 중국 CBDC 정책의 실제 동기와 의도에 접근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개념적 분석 틀의 필요성은 중국의 정책 생태계의 폐쇄성과 중국 CBDC 정책이 가지는 정책 의도의 모호성에 기인한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정책 정보나 자료, 정책 담당자에 대한 접근성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정책 의도 파악을 위한 이러한 탐색적 분석 틀을 통해 중국 CBDC의 중앙화 이데올로기와 중국 정책 특유의 암시적 생존 가치라는 양대 변수가 중국 CBDC 정책의 추진 의도와 어떤 인과 관계의 방향성을 보여주고 있는가를 추적했다. 이를 위해 중국의 정책과 정책가치의 유형을 새롭게 분류했다. 정책 유형의 경 우에는 정책은 위계에 따른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정책 유형 중에서 위 장된 정책에 적합한 유형을 찾고자 시도했다. 정책가치 유형의 경우에는 중국 공산 당의 역사적 궤적을 통해 확보한 유형 분류의 기준을 적용하여 이 연구에서는 암시 적 생존 가치라는 새로운 정책가치의 유형을 도출했다. 이러한 시도의 실증적 근거 는 7대 문건이라는 중국의 국가적 정책을 담고 있는 자료와 그것에서 파생되는 중 국의 실제 정책들에서 찾을 수 있었다. 위장된 정책과 암시적 정책가치라는 분석 틀에 따라서, 제4장의 주요 주제는 다음과 같이 구성했다. 첫째, 연구자는 CBDC 정책 내의 사례를 사용하였다. CBDC 소액 거래 방식에 내포한 탈중앙화의 역할과 의미는 새로운 관점으로 분석·포착하 고, 소액 거래 방식의 적극적 채택이 가지는 역발상의 대응 근거는 인도 CBDC와의 사례 비교를 통해 확인했다. 둘째, 연구자는 CBDC 정책과 직접 관련이 없는 새롭 게 부활한 마오쩌둥 시대의 정책 모델인 공소사ㆍ공공식당 제도 분석을 통해 위장 된 정책 목적과 암시적 생존 가치의 실증적 근거를 확보하고자 했다. 특히, 공소사 제도는 그 추진 동기와 의도의 모호함의 관점에서 CBDC 정책의 경우와 가장 유사 한 정책 사례이고, 암시적 생존 가치 추적을 위한 중요한 비교·분석 대상이다. 셋째, CBDC 정책과 관련이 있을 것 같지만, 현실적으로 연결점을 찾을 수 없어 의문을 불러일으키는 CBDC 정책이 속해 있어야 할 섹터로서의 디지털 산업 정책이다. 이 정책은 중국의 디지털 산업보고서나 디지털 산업 평가 지표와 같은 자료에서 CBDC 정책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는 상황이 특별히 드러났다. 디지털 산업의 핵심 인프라일 뿐만 아니라, 일대일로(一帶一路) 사업에 버금가는 거액의 투자를 하는 CBDC 정책이 디지털 산업 논의에서 제외되고 있는 현상은 분명 의외의 상황이었 다. 이러한 정책 사례들을 중국의 CBDC 정책이 위장된 정책이면서 그 배후의 동기 가 암시적 생존 가치라는 것을 확인하는 실증적 사례로 활용했다. 추가하여 제4장에서는 이 연구의 목적과 연결이 되는 대상인 중국의 ‘위안화 국제화 정책’과 직접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일대일로 정책, 중국의 국경간자금결제시 스템(Crossborder Interbank Payment System: CIPS), 중국 CBDC 정책 등 3가지 정책의 상호 연계성을 비교·분석했다. 중국 CBDC의 추진 의도가 위안화의 국제화 에 있다면, CBDC는 CIPS와 여러 방면에서 연결고리를 맺고 있는 나타났다. 자료 분석 결과에 따르면, 예상대로 일대일로 정책과 CIPS 정책은 상호 밀접하게 연계되 어 위안화 국제화의 선봉 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CBDC 정책은 미래의 기술적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위안화 국제화보다는 소액 거래 방식이 적용된 디지털 위안화 의 국내 보급과 정착에 전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2장에서 제4장에 걸치는 분석 결과 드러난 것은 중국의 CBDC가 국내용이 며, 자료 분석을 통해 드러난 CBDC 정책의 최우선 목적은 중앙화 이데올로기와 중 앙집권 정치체제 보호에 있다는 사실이다. 결국, 중국의 CBDC 정책은 ‘위안화 국제 화’의 성격보다는 중앙집권적 공산당 영도체제를 지키기 위한 체제 안보적 성격이 짙은 정책이고, 그를 뒷받침하고 있는 정책가치는 생존 가치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 이 이 연구의 최종 결론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CBDC) 정책이 초래할 변동성에 대한 대응책의 일환으로서 중국 CBDC 정책의 급속한 추진 동기와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CBDC) 정책이 초래할 변동성에 대한 대응책의 일환으로서 중국 CBDC 정책의 급속한 추진 동기와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CBDC 정책 추진의 동기, 의 도와 관련해서 이 연구에서 다루는 핵심 쟁점은 크게 2가지다. 첫째, CBDC 정책이 위안화 국제화 정책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느냐 하는 것이다. 둘째, 만약 CBDC가 위안화 국제화 정책과 직접 관련이 없다면, 어떤 정책 동기와 의도가 CBDC 정책 추진의 배경이냐는 것이다. 제1장 서론에서는 중국 CBDC 정책의 주된 추진 목적이 위안화의 국제화에 있 는지, 아니면 다른 더 중요한 의도가 있는지 하는 것을 밝히기 위하여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선행 연구는 대체로 중국 CBDC 정책의 의도가 국가 통제나 위안화 국 제화에 있는 것으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선행 연구에 반하여, 이 연구는 중국의 금 융 여건 자체가 위안화 국제화를 통한 기축통화화를 추구할 처지가 아니라는 주장 에 주목했다. 이러한 주장은 국제통화를 연구하는 학자들의 연구에서도 뒷받침되고 있었다. 언론이나 관련 학계의 중국에 대한 의구심은 여전하지만, 이 연구는 이러한 의구심이 타당한 것인지를 밝히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론으로서의 과정 추적법과 담 론 분석을 활용하여 중국 CBDC 정책의 정책 동기와 의도에 대한 여러 주장과 가 설들을 검토하였다. 이에 추가하여 제1장에서는 현재 중국 CBDC 정책의 추진 의도와 배경과 관련 하여 제기되는 다양한 주장과 가설을 기술, 통제, 지정학의 3가지 측면으로 분류하 고 분석했다. 분석의 과정에서 이들 여러 주장과 가설들을 압도하며 총괄할 수 있 는 새로운 가설을 제시할 수 있었다. 중국 CBDC 정책의 실제 의도가 민간 화폐의 탈중앙화 철학의 도전으로부터 중앙화 이데올로기를 보호하는 것이 CBDC 정책 추 진의 주된 의도라는 중앙화 이데올로기 가설이었다. 중앙화 이데올로기 가설이 중 국 CBDC 정책 설명에 친화적이고 적실성을 가지는 이유는 중국의 체제적 특성과 역사적 전통에 있었다. 제2장에서는 중화사상과 민주집중제라는 중앙화 이데올로기 가설의 역사적, 체 제적 배경을 탐색하고, 그것이 현재 중국 CBDC 시범 사업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 는지 파악하였다. 특히, 이 장에서는 중앙화 의지의 조절을 통해 이루어지는 CBDC 정책의 변화 과정에 주목했다. 이러한 분석의 최종적 관심은 중국 정부의 중앙화 의지를 CBDC 정책 추진 과정에서 찾아내는 것이었다. 이 장에서의 선행 연구의 분석을 통하여 중국의 CBDC 정책에 대한 중앙화 이 데올로기의 지대한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고, 중앙화 작업의 조절을 통하여 현실적 조건과 상황에 맞추어가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었다. 허가형 블록체인 방식의 도입 과 하이브리브 모델 채택 등을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중국 CBDC 정책에서 중앙화 의지는 확고했다. 제3장에서는 중앙화 의지와 같은 중국 내의 상황과 조건이 글로벌 CBDC의 상황 과 조건에 어떻게 조응하면서 중국 CBDC 정책의 방향을 결정하는지 고찰하였다. 이 러한 선행 연구의 분석에서는 글로벌 CBDC는 중앙ㆍ탈중앙화 대립 구도 하에 경쟁 과 협력이 전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글로벌 CBDC 상황 분석을 위해 다양한 통화체제와 금융서비스 환경에 놓여있는 세계 각국을 조건과 환경이 유사한 5개 국가로 나누고, 이들 국가의 CBDC 추진 상황 과 중앙화 의지 등의 CBDC 정책을 상호 비교하고, 그러한 비교를 통해 중국의 CBDC 정책이 가지는 의미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비교의 초점은 각국의 CBDC 추진 동기와 의도를 CBDC를 둘러싼 가장 핵심적이면서 포괄적인 구도, 즉 패 권‧지정학 vs. 기능‧편익 구도와 중앙화ㆍ탈중앙화의 양대 구도를 분석틀로 삼아, 이 러한 양대 구도 내에서 중국 CBDC 정책의 차별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글로벌 국제 지급결제 시스템과 이에 기술을 제공하고 있는 민간기업의 해외송금용 암호화폐의 동 향, 그리고 민간 주도의 디지털 화폐 기술과 그것이 내포한 지정학적 함의도 살펴보았 다. 더불어 CBDC와 관련하여 향후 중요 쟁점(issue)이 될, 국제 CBDC 협력 플랫폼으 로 추진되고 있는 M브릿지 프로젝트와 아고라 프로젝트의 추진 상황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13개 이상의 다른 플랫폼 프로젝트의 상황도 추가로 점검했다. 이러한 글로벌 플랫폼 프로젝트 분석의 주요 시사점은 이들의 행보가 향후 국제 통화 질서 재편의 향방을 결정지을 수 있는 잠재력이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법정화폐와 암호화폐의 거래(Fiat Money to Crypto: F2C)의 디지털 자산, 특히 CBDC와 더불어 유력한 미래 화폐의 모델로 부상하고 있는 스테이블코인(Stablecoin)과 예금 토큰 (tokenized deposit)의 동향 분석을 통해 국제통화 재편에서 또 다른 방향의 가능성도 탐색했다. 이 장에서의 관찰과 분석을 통해 드러난 것은 CBDC를 둘러싼 논쟁과 갈등이 국제 영역보다 국내 영역에서 더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그 경쟁의 중심 구도는 중앙화와 탈중앙화의 경쟁 구도였고, 리브라(Libra) 프로젝트의 전개 과정에서 드러난 미국 정치권과 민간기업 페이스북과의 충돌과 갈등이 그 대표적인 징후였다. 그리고 CBDC 대체용으로 거론되는 달러 기반의 스테이블코인과 은행 토 큰의 동향도 F2C 3강 구도와 맞물려 CBDC와 관련한 중요 관전 요소로 주목받고 있었다. 제3장의 분석에서는 세계 각국의 CBDC 추진 의도가 복합적, 중층적이라는 점을 확인했다. 특히, CBDC의 무대가 국가 안이냐, 국가 밖이냐에 따라서 미국과 중국이 추구하는 목표가 달라지는 현상은 주목할 만한 점이었다. 제4장에서의 주요 연구 주제는 ‘위장된 목적형 정책’과 ‘암시적 정책가치’라는 새로운 개념의 분석 틀을 통해 중국 CBDC 정책의 실제 동기와 의도에 접근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개념적 분석 틀의 필요성은 중국의 정책 생태계의 폐쇄성과 중국 CBDC 정책이 가지는 정책 의도의 모호성에 기인한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정책 정보나 자료, 정책 담당자에 대한 접근성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정책 의도 파악을 위한 이러한 탐색적 분석 틀을 통해 중국 CBDC의 중앙화 이데올로기와 중국 정책 특유의 암시적 생존 가치라는 양대 변수가 중국 CBDC 정책의 추진 의도와 어떤 인과 관계의 방향성을 보여주고 있는가를 추적했다. 이를 위해 중국의 정책과 정책가치의 유형을 새롭게 분류했다. 정책 유형의 경 우에는 정책은 위계에 따른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정책 유형 중에서 위 장된 정책에 적합한 유형을 찾고자 시도했다. 정책가치 유형의 경우에는 중국 공산 당의 역사적 궤적을 통해 확보한 유형 분류의 기준을 적용하여 이 연구에서는 암시 적 생존 가치라는 새로운 정책가치의 유형을 도출했다. 이러한 시도의 실증적 근거 는 7대 문건이라는 중국의 국가적 정책을 담고 있는 자료와 그것에서 파생되는 중 국의 실제 정책들에서 찾을 수 있었다. 위장된 정책과 암시적 정책가치라는 분석 틀에 따라서, 제4장의 주요 주제는 다음과 같이 구성했다. 첫째, 연구자는 CBDC 정책 내의 사례를 사용하였다. CBDC 소액 거래 방식에 내포한 탈중앙화의 역할과 의미는 새로운 관점으로 분석·포착하 고, 소액 거래 방식의 적극적 채택이 가지는 역발상의 대응 근거는 인도 CBDC와의 사례 비교를 통해 확인했다. 둘째, 연구자는 CBDC 정책과 직접 관련이 없는 새롭 게 부활한 마오쩌둥 시대의 정책 모델인 공소사ㆍ공공식당 제도 분석을 통해 위장 된 정책 목적과 암시적 생존 가치의 실증적 근거를 확보하고자 했다. 특히, 공소사 제도는 그 추진 동기와 의도의 모호함의 관점에서 CBDC 정책의 경우와 가장 유사 한 정책 사례이고, 암시적 생존 가치 추적을 위한 중요한 비교·분석 대상이다. 셋째, CBDC 정책과 관련이 있을 것 같지만, 현실적으로 연결점을 찾을 수 없어 의문을 불러일으키는 CBDC 정책이 속해 있어야 할 섹터로서의 디지털 산업 정책이다. 이 정책은 중국의 디지털 산업보고서나 디지털 산업 평가 지표와 같은 자료에서 CBDC 정책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는 상황이 특별히 드러났다. 디지털 산업의 핵심 인프라일 뿐만 아니라, 일대일로(一帶一路) 사업에 버금가는 거액의 투자를 하는 CBDC 정책이 디지털 산업 논의에서 제외되고 있는 현상은 분명 의외의 상황이었 다. 이러한 정책 사례들을 중국의 CBDC 정책이 위장된 정책이면서 그 배후의 동기 가 암시적 생존 가치라는 것을 확인하는 실증적 사례로 활용했다. 추가하여 제4장에서는 이 연구의 목적과 연결이 되는 대상인 중국의 ‘위안화 국제화 정책’과 직접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일대일로 정책, 중국의 국경간자금결제시 스템(Crossborder Interbank Payment System: CIPS), 중국 CBDC 정책 등 3가지 정책의 상호 연계성을 비교·분석했다. 중국 CBDC의 추진 의도가 위안화의 국제화 에 있다면, CBDC는 CIPS와 여러 방면에서 연결고리를 맺고 있는 나타났다. 자료 분석 결과에 따르면, 예상대로 일대일로 정책과 CIPS 정책은 상호 밀접하게 연계되 어 위안화 국제화의 선봉 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CBDC 정책은 미래의 기술적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위안화 국제화보다는 소액 거래 방식이 적용된 디지털 위안화 의 국내 보급과 정착에 전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2장에서 제4장에 걸치는 분석 결과 드러난 것은 중국의 CBDC가 국내용이 며, 자료 분석을 통해 드러난 CBDC 정책의 최우선 목적은 중앙화 이데올로기와 중 앙집권 정치체제 보호에 있다는 사실이다. 결국, 중국의 CBDC 정책은 ‘위안화 국제 화’의 성격보다는 중앙집권적 공산당 영도체제를 지키기 위한 체제 안보적 성격이 짙은 정책이고, 그를 뒷받침하고 있는 정책가치는 생존 가치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 이 이 연구의 최종 결론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과 과제 설정 1
      • 제2절 선행연구 검토와 연구 방법론 3
      • 제 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과 과제 설정 1
      • 제2절 선행연구 검토와 연구 방법론 3
      • (1) 선행연구의 검토 3
      • (2) 연구 방법과 분석틀 9
      • (3) 중앙화 이데올로기 가설과 대안 가설 12
      • 제 2장 중국 정책 생태계의 중앙화 속성과 중국 CBDC 정책 20
      • 제1절 중국 정책의 중앙화 속성과 그 연원 20
      • (1) 중국 정책의 중앙화 속성 20
      • (2) 중앙화 속성의 연원(淵源) 21
      • 제2절 중국 CBDC의 보급 과정과 정책 변화 27
      • (1) 중국 CBDC의 보급 과정 27
      • (2) 중국 CBDC 시범테스트의 기능적 특징 29
      • (3) 블록체인 적용과 CBDC에 대한 관점 변화 30
      • 제3절 중국 CBDC정책의 중앙화 의지 32
      • (1) 허가형 블록체인과 중앙화 의지 32
      • (2) 하이브리드 CBDC 채택과 중앙화 의지 33
      • (3) 체질화된 중국의 중앙화 속성 35
      • 제 3장 CBDC정책의 중앙ㆍ탈중앙화 구도와 그 향방 37
      • 제1절 CBDC 정책의 글로벌 추진 현황과 중앙화 의지 37
      • (1) 각국의 CBDC 도입과 글로벌 추진 사례 37
      • (2) CBDC 도입 의도에 따른 도입 전략 구도 42
      • 제2절 글로벌 디지털 화폐의 경쟁 대립 구도 48
      • (1) 중앙 정부와 민간의 대립 구도 48
      • (2) 미래 화폐를 둘러싼 국가 간 대립 경쟁 구도 53
      • 제3절 국제간 지급결제시스템과 국제 CBDC의 탈중앙화 방향성 59
      • (1) 국가 중심의 국제지급결제 시스템 59
      • (2) 민간 암호화폐와 해외송금 기술 61
      • (3) 민간 주도 디지털 화폐 기술의 지정학적 함의 68
      • (4) 국제 CBDC의 탈중앙화 방향성 69
      • 제 4장 관련 정책 사례를 통한 중국 CBDC정책의 의도 분석 78
      • 제1절 위장된 목적형 정책과 암시적 정책 가치 78
      • (1) 일반 정책의 유형과 가치 78
      • (2) 중국의 정책과 정책 가치의 유형 82
      • (3) 위장된 목적형 정책과 암시적 생존가치 91
      • 제2절 암시적 생존가치와 위장된 정책 사례 94
      • (1) 소액 거래 방식 CBDC의 중앙화 전략 94
      • (2) 과거 정책 모델의 부활과 암시적 정책 가치 98
      • (3) 디지털산업 정책 섹터 내의 CBDC 정책의 위치 102
      • 제3절 위안화 국제화 전략의 실상과 CBDC 정책 109
      • (1) 일대일로 정책과 위안화 국제화 109
      • (2) 위안화 국제화 전략에서의 CIPS와 CBDC의 역할 112
      • 제4절 중국 CBDC정책의 실제 동기와 의도 114
      • 제 5장 결 론 117
      • 제1절 연구 쟁점의 분석 요약 117
      • 제2절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및 제언 121
      • 참고 문헌 126
      • Abstract 13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