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헬무트 쉬비어(Helmut Schwier)의 설교학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605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좋은 설교란 어떤 설교인가? 이 질문은 모든 설교자가 고뇌하는 질문이다. 본고에서 저자는 헬무트 쉬비어(Helmut Schwier)의 설교학인 『설교 듣기(Predigt hören)』을 중심으로 좋은 설교란 어떤 설교인가를 논의하였다. 독일에서는 경험론적 방법론으로 독일 회중의 귀에 들리는 설교를 찾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오스문드 쉬로이더(Osmund Schreuder), 칼 프리츠 다이버(Karl-Fritz Daiber), 바이에른(Bayern)의 연구조사가 있다. 헬무트 쉬비어는 몇 편의 설교를 다른 형태의 방법으로 회중에게 들려주었다. 그리고 그는 ‘리엑토스코프-베파렌(REACTOSCOPEⓇ-Verfahren)’라는 반응기를 가지고 회중의 집중을 측정하여 도표화 하였다. 그 결과 현재 독일인들에게 좋은 설교는 ‘회중이 이해할 수 있는 설교, 생동감이 있고 명확한 설교, 설교와 예배가 하나의 메시지가 되는 설교, 회중의 신학적 사고를 자극할 수 있는 설교, 교회 문밖에 나갈 때 회중이 마음에 담고 나갈 수 있는 설교’이다. 그리고 또한 설교에서 서론이 본론과 결론만큼 중요하다는 사실과 설교에서 삶의 깊은 적용이 있는 것이 회중에게 더 좋은 설교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요즘 설교학에서는 설교만큼이나 설교자에 관해서도 강조한다. 이 논문에서도 윌프리드 엔거만(Wilfried Engemann)의 중심으로 설교자를 네 부류로 나누었다. 설교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삶의 자세, 마음의 기본적인 동기 등에 따라서 나타날 수 있는 심층심리학적 질환, 공포감, 존재와 믿음의 이해, 설교의 주제 등이 일정한 형태로 나타난다. 윌프리드 엔거만은 목회자의 정신적 건강을 교류분석(Transaktionsanalyse)의 요소와 고전적 심층심리학(Tiefenpsychologie)의 모범적 표상(Modellvorstellungen)을 연결하여 설명하였다. 독일 설교학에서도 건강한 설교자가 올바른 설교를 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헬무트 쉬비어의 설교학은 기독교의 신학과 전통, 그리고 목회 현장 간의 조화로움에 매력이 있다. 자칫 잘못하면 설교학이 이론적 관념론적인 담론에서만 머물거나, 아니면 기독교의 신학과 전통을 무시한 채 설교의 방법론만 강조할 수 있다. 그는 독일 설교학이 교회 현장에 녹아들기를 원했다. 필자는 그의 설교학이 한국교회에게 주는 교훈이 크다고 생각한다. 좋은 설교자가 되기 위해서 끊임없이 진리를 탐구하고자 하는 갈급함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설교자 본인이 하나님 앞에서 무릎 꿇고 코람데오의 정신으로 살아간다면, 좋은 설교자가 되기 위해서 끊임없이 부단한 노력을 한다면, 또한 변화하는 회중과 소통하기 위해서 연구하고 자기 설교를 개발한다면 그는 분명히 좋은 설교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좋은 설교란 어떤 설교인가? 이 질문은 모든 설교자가 고뇌하는 질문이다. 본고에서 저자는 헬무트 쉬비어(Helmut Schwier)의 설교학인 『설교 듣기(Predigt hören)』을 중심으로 좋은 설교란 어떤 ...

      좋은 설교란 어떤 설교인가? 이 질문은 모든 설교자가 고뇌하는 질문이다. 본고에서 저자는 헬무트 쉬비어(Helmut Schwier)의 설교학인 『설교 듣기(Predigt hören)』을 중심으로 좋은 설교란 어떤 설교인가를 논의하였다. 독일에서는 경험론적 방법론으로 독일 회중의 귀에 들리는 설교를 찾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오스문드 쉬로이더(Osmund Schreuder), 칼 프리츠 다이버(Karl-Fritz Daiber), 바이에른(Bayern)의 연구조사가 있다. 헬무트 쉬비어는 몇 편의 설교를 다른 형태의 방법으로 회중에게 들려주었다. 그리고 그는 ‘리엑토스코프-베파렌(REACTOSCOPEⓇ-Verfahren)’라는 반응기를 가지고 회중의 집중을 측정하여 도표화 하였다. 그 결과 현재 독일인들에게 좋은 설교는 ‘회중이 이해할 수 있는 설교, 생동감이 있고 명확한 설교, 설교와 예배가 하나의 메시지가 되는 설교, 회중의 신학적 사고를 자극할 수 있는 설교, 교회 문밖에 나갈 때 회중이 마음에 담고 나갈 수 있는 설교’이다. 그리고 또한 설교에서 서론이 본론과 결론만큼 중요하다는 사실과 설교에서 삶의 깊은 적용이 있는 것이 회중에게 더 좋은 설교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요즘 설교학에서는 설교만큼이나 설교자에 관해서도 강조한다. 이 논문에서도 윌프리드 엔거만(Wilfried Engemann)의 중심으로 설교자를 네 부류로 나누었다. 설교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삶의 자세, 마음의 기본적인 동기 등에 따라서 나타날 수 있는 심층심리학적 질환, 공포감, 존재와 믿음의 이해, 설교의 주제 등이 일정한 형태로 나타난다. 윌프리드 엔거만은 목회자의 정신적 건강을 교류분석(Transaktionsanalyse)의 요소와 고전적 심층심리학(Tiefenpsychologie)의 모범적 표상(Modellvorstellungen)을 연결하여 설명하였다. 독일 설교학에서도 건강한 설교자가 올바른 설교를 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헬무트 쉬비어의 설교학은 기독교의 신학과 전통, 그리고 목회 현장 간의 조화로움에 매력이 있다. 자칫 잘못하면 설교학이 이론적 관념론적인 담론에서만 머물거나, 아니면 기독교의 신학과 전통을 무시한 채 설교의 방법론만 강조할 수 있다. 그는 독일 설교학이 교회 현장에 녹아들기를 원했다. 필자는 그의 설교학이 한국교회에게 주는 교훈이 크다고 생각한다. 좋은 설교자가 되기 위해서 끊임없이 진리를 탐구하고자 하는 갈급함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설교자 본인이 하나님 앞에서 무릎 꿇고 코람데오의 정신으로 살아간다면, 좋은 설교자가 되기 위해서 끊임없이 부단한 노력을 한다면, 또한 변화하는 회중과 소통하기 위해서 연구하고 자기 설교를 개발한다면 그는 분명히 좋은 설교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at is good sermon? This is a question that every preacher in this world agonizes over. In this paper, the author discusses what good sermon is, centering on Helmut Schweir’s homiletics『Predigt hören』. In Germany, there have been efforts to find a preach that is heard to the ears of the congregation, as an empirical methodology. The representative examples are Osmund Schreuder, Karl-Fritz Daiber, and Bayern. Helmut Schweir had several sermons heard to the congregation in different ways. He measured people’s concentration with the reactor ‘REACTOSCOPEⓇ-Verfahren’ and tabulated i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good sermons to the Germans now are sermon that is understandable by the congregation, sermon that is vivid and clear, sermon whose words and worship become a message, sermon that can promote people’s theological way of thinking, and sermon that people can keep in mind when they leave out of the door of the church. It was also found that in preaching, introduction is as important as body and conclusion and that in-depth application of life can be communicated with people more effectively. In homiletics, these days, preacher is as much emphasized as sermon. On this issue, Korean practical theologians have raised a question and continued to announce theological spiritual solutions. For this reason, this paper categorized the type of preacher into four groups starting from Wilfried Engemann. Depth psychological disease, fear, understanding of existence and belief, and theme of sermon that might depend on preacher’s communication style, attitude of life, and basic motivation appear equally in a certain form. When describing pastor’s mental health, Wilfried Engemann connects the elements of transactional analysis (Transaktionsanalyse) with typical representations (Modellvorstellungen) of classic depth psychology (Tiefenpsychologie). German homiletics stresses that a healthy preacher can do a right sermon. The charm of Helmut Schweir’s homiletics lies in balance between Christianity’s theology and tradition and pastoral scene. If things go wrong, homiletics might emphasize the preaching methodology only, while remaining as a theoretical ideological discourse or neglecting Christianity’s theology and tradition. He wanted German homiletics melted into church sites. The author thinks that his homiletics gives a big lesson to the Korean homiletics. To become a good preacher, one must have a longing for seeking the truth continuously. If the preacher him/herself lives with the spirit of Coram Deo kneeling down in front of God, continues his/her unremitting exertions to become a good preacher, or does a research study and develops his/her own preacher to communicate with the changing congregation, he will become a good preacher obviously.
      번역하기

      What is good sermon? This is a question that every preacher in this world agonizes over. In this paper, the author discusses what good sermon is, centering on Helmut Schweir’s homiletics『Predigt hören』. In Germany, there have been efforts to fi...

      What is good sermon? This is a question that every preacher in this world agonizes over. In this paper, the author discusses what good sermon is, centering on Helmut Schweir’s homiletics『Predigt hören』. In Germany, there have been efforts to find a preach that is heard to the ears of the congregation, as an empirical methodology. The representative examples are Osmund Schreuder, Karl-Fritz Daiber, and Bayern. Helmut Schweir had several sermons heard to the congregation in different ways. He measured people’s concentration with the reactor ‘REACTOSCOPEⓇ-Verfahren’ and tabulated i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good sermons to the Germans now are sermon that is understandable by the congregation, sermon that is vivid and clear, sermon whose words and worship become a message, sermon that can promote people’s theological way of thinking, and sermon that people can keep in mind when they leave out of the door of the church. It was also found that in preaching, introduction is as important as body and conclusion and that in-depth application of life can be communicated with people more effectively. In homiletics, these days, preacher is as much emphasized as sermon. On this issue, Korean practical theologians have raised a question and continued to announce theological spiritual solutions. For this reason, this paper categorized the type of preacher into four groups starting from Wilfried Engemann. Depth psychological disease, fear, understanding of existence and belief, and theme of sermon that might depend on preacher’s communication style, attitude of life, and basic motivation appear equally in a certain form. When describing pastor’s mental health, Wilfried Engemann connects the elements of transactional analysis (Transaktionsanalyse) with typical representations (Modellvorstellungen) of classic depth psychology (Tiefenpsychologie). German homiletics stresses that a healthy preacher can do a right sermon. The charm of Helmut Schweir’s homiletics lies in balance between Christianity’s theology and tradition and pastoral scene. If things go wrong, homiletics might emphasize the preaching methodology only, while remaining as a theoretical ideological discourse or neglecting Christianity’s theology and tradition. He wanted German homiletics melted into church sites. The author thinks that his homiletics gives a big lesson to the Korean homiletics. To become a good preacher, one must have a longing for seeking the truth continuously. If the preacher him/herself lives with the spirit of Coram Deo kneeling down in front of God, continues his/her unremitting exertions to become a good preacher, or does a research study and develops his/her own preacher to communicate with the changing congregation, he will become a good preacher obvious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경험론적 방법론에 의한 설교학
      • 1. 오스문드 쉬로이더, 칼 프리츠 다이버, 그리고 바이에른 조사가 제시한 좋은 설교란?
      • 2. 헬무트 쉬비어의 좋은 설교란?
      • 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경험론적 방법론에 의한 설교학
      • 1. 오스문드 쉬로이더, 칼 프리츠 다이버, 그리고 바이에른 조사가 제시한 좋은 설교란?
      • 2. 헬무트 쉬비어의 좋은 설교란?
      • III. 헬무트 쉬비어의 설교학 특징
      • 1. 헬무트 쉬비어의 설교 이해
      • 2. 헬무트 쉬비어의 설교방법론
      • IV. 설교자의 심리적 건강함
      • V. 헬무트 쉬비어의『설교 듣기』가 주는 의미
      • VI.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오현, "히스테리에 관한 치유상담적 고찰 -정신분석 및 기독교상담적 관점-" 한국실천신학회 (28) : 511-542, 2011

      2 정인교,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설교의 수사훈련" 청목출판사 2014

      3 성민경, "효과적인 설교 작성과 전달을 위한 체크리스트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54) : 203-225, 2017

      4 김성민, "현대 사회의 종교적 상황과 종교의 분석심리학적 의미" 한국실천신학회 (48) : 117-145, 2016

      5 정인교, "한국교회와 설교비평: 이상과 현실 그리고 미래" 1 (1): 13-59, 2009

      6 정인교, "특수 설교는 가능한가?: 새로운 설교방법에 대한 설교학적 고찰" 2 (2): 9-35, 2010

      7 월터 브루그만, "텍스트가 설교하게 하라" 한국성서유니온선교회 2012

      8 토마스 G. 롱, "증언하는 설교" 기독교문서선교회 2006

      9 바이런 얀, "자기 목소리로 설교하라" 한국성서유니온선교회 2016

      10 손장권, "인문학의 수사학과 사회과학의 연구방법 비교" 민족문화연구원 39 : 1-30, 2003

      1 오오현, "히스테리에 관한 치유상담적 고찰 -정신분석 및 기독교상담적 관점-" 한국실천신학회 (28) : 511-542, 2011

      2 정인교,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설교의 수사훈련" 청목출판사 2014

      3 성민경, "효과적인 설교 작성과 전달을 위한 체크리스트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54) : 203-225, 2017

      4 김성민, "현대 사회의 종교적 상황과 종교의 분석심리학적 의미" 한국실천신학회 (48) : 117-145, 2016

      5 정인교, "한국교회와 설교비평: 이상과 현실 그리고 미래" 1 (1): 13-59, 2009

      6 정인교, "특수 설교는 가능한가?: 새로운 설교방법에 대한 설교학적 고찰" 2 (2): 9-35, 2010

      7 월터 브루그만, "텍스트가 설교하게 하라" 한국성서유니온선교회 2012

      8 토마스 G. 롱, "증언하는 설교" 기독교문서선교회 2006

      9 바이런 얀, "자기 목소리로 설교하라" 한국성서유니온선교회 2016

      10 손장권, "인문학의 수사학과 사회과학의 연구방법 비교" 민족문화연구원 39 : 1-30, 2003

      11 김원쟁, "심층 심리학과 기독교 신앙" 22 : 291-312, 1994

      12 J. 골드 브룬너, "신앙과 심층 심리학" 10 : 88-96, 1970

      13 김윤규, "성서해석과 설교의 프락시스" 다신글방 2009

      14 존 스토트, "설교학"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5

      15 김지혁, "설교자의 자기기만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49) : 135-157, 2016

      16 존 스토트, "설교자상 다섯 가지" 개혁주의신행협회 2007

      17 위형윤, "설교의 형성과 작성에 관한 신학적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10) : 11-50, 2006

      18 이현웅, "설교, 인격을 통해 전달되는 하나님의 말씀" 한국실천신학회 (53) : 89-120, 2017

      19 스티븐 스미스, "본문이 이끄는 장르별 설교" 아가페북스 2016

      20 김태준, "기독교 상담을 중심으로 한 교류분석훈련 프로그램이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2 : 16-29, 2005

      21 로버트 E. 웨버, "교회력에 따른 예배와 설교" 기독교문서선교회 2012

      22 민장배, "건강한 목회자를 위한 방안" 한국실천신학회 (43) : 513-537, 2015

      23 강준민, "건강한 목회를 위한 목회자의 영성" 18 : 114-120, 2004

      24 해돈 W. 로빈슨, "강해설교: 강해설교의 원리와 실제" 기독교문서선교회 2016

      25 Grötzinger, Albrecht, "Toleranz und Leidenschaft: Über das Predigen in einer plualistischen Gesellschaft" Gütersloher Verlagshuas 2004

      26 Schwier, Helmut, "Predigt hören: Befunde und Ergebnisse der Heidelberger Umfrage zur Predigtrezeption" LIT 2008

      27 Kern, Thomas, "Megackichen als religiöse Organisationen: Ein dritter Gemeindetyp jenseits von Sekte und Kirche?" 65 : 285-309, 2013

      28 Schwier, Helmut, "Jesus Chritus" Mohr Siebock 2014

      29 Bieritz, Karl- Heinz, "Grundfragen der Predigt. Ein Studienbuch" Evangelische Verlagsanstalt 303-319, 2006

      30 Metzger, Manfred, "Fides et Communicatio" Festschrift für Martin Doerne 215-225, 1970

      31 Vibert, Simon, "Excellence in Preaching: Learning from the best" Inter-Varsity Press 2011

      32 Engemann, Wilfried, "Einführung in die Homiletik" Francke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1 1.81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4 0.653 0.6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