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The Status and practices of pre-school education in Seoul., Korea : an evalu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4460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1999-2000학년도 서울의 유치원교육의 현황과 관행을 평가하는 것으로 다음 문제들에 대해 답해 보고자 하였다.
      1. 응답자에 관한 변수로 지위, 학력, 경력, 유치원 교육과 관련한 세미나 참여 횟수를 고려
      2. 유치원 교육의 현황으로 교육목표, 등록원생 수, 학급 규모, 지원 서비스, 시설
      3. 유치원 교과과정으로 교육과정, 교육방법, 활동
      4. 유치원 경영의 효율성으로 직원개발, 교과과정개발, 시설개발, 지역사회와의 연계
      5. 응답자의 지위, 학력, 경력, 세미나 참여 횟수가 유치원의 정책과 경영의 효율성 면에서의 두드러진 차이점
      6. 유치원 운영 시 직면하는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
      7. 학부형이 자녀를 취학시킬 유치원을 선택하기 위해 고려하는 사항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설문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으며, 설문지 조사연구는 무작위로 선정한 서울에 있는 유치원의 원장 13명과 교사 57명을 대상으로 하여 평균, 전체가중평균,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t- 검정 및 f-검정하였다.

      연구결과의 분석은 다음과 같다.
      1. 다수의 응답자가 1-6년 정도의 경력자이며 1-3차례 세미나에 참석하였다.
      2. 유치원 교육의 목적은 아동의 사회화와 인지능력을 높이고 균형 있는 발육을 도모하는 것에 있으며, 유치원 지원 서비스는 등록원생수를 감안할 때 충분하다.
      3. 학습내용, 교육방법, 활동은 유치원의 교육목적에 부합한다.
      4. 교과과정개발, 시설개발 면에서 유치원 경영은 매우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고 직원개발과 공동체와의 유대 면에서 만족스러운 것으로 드러났다.
      5. 응답자의 직위, 경력, 학력, 세미나 참여 횟수 면을 고려하였을 때, 유치원 경영의 인지된 효율성에 두드러진 차이는 없었다.
      6. 유치원의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사회의 관심이 부족하다.
      7. 지역사회와 유치원과의 연계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8. 학부형들은 안전하고 깨끗한 환경을 제공하는 유치원을 선호한다.

      이러한 조사 분석을 토대로 앞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를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직원의 채용과 유지에 관한 방침이 재검토되어야 한다.
      2. 원생들에게 의료 및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좀 더 세심한 배려를 해야 한다.
      3. 교사들은 그룹게임과 현장학습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되 다른 방법을 좀더 채용하여 테크닉을 다양화 시켜야 한다.
      4. 교사들은 놀이와 대화 이외의 활동도 시도해야 한다. 시 낭독, 역할극, 이야기시간, 청소시간 등도 시도되어야 한다.
      5. 직원개발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해야 한다.
      6. 지역사회와의 유대관계를 강화하여 유치원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과 협조를 구해야 한다.
      7. 부모와 지역사회 구성원을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시도해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1999-2000학년도 서울의 유치원교육의 현황과 관행을 평가하는 것으로 다음 문제들에 대해 답해 보고자 하였다. 1. 응답자에 관한 변수로 지위, 학력, 경력, 유치원 교육과 ...

      본 연구의 목적은 1999-2000학년도 서울의 유치원교육의 현황과 관행을 평가하는 것으로 다음 문제들에 대해 답해 보고자 하였다.
      1. 응답자에 관한 변수로 지위, 학력, 경력, 유치원 교육과 관련한 세미나 참여 횟수를 고려
      2. 유치원 교육의 현황으로 교육목표, 등록원생 수, 학급 규모, 지원 서비스, 시설
      3. 유치원 교과과정으로 교육과정, 교육방법, 활동
      4. 유치원 경영의 효율성으로 직원개발, 교과과정개발, 시설개발, 지역사회와의 연계
      5. 응답자의 지위, 학력, 경력, 세미나 참여 횟수가 유치원의 정책과 경영의 효율성 면에서의 두드러진 차이점
      6. 유치원 운영 시 직면하는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
      7. 학부형이 자녀를 취학시킬 유치원을 선택하기 위해 고려하는 사항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설문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으며, 설문지 조사연구는 무작위로 선정한 서울에 있는 유치원의 원장 13명과 교사 57명을 대상으로 하여 평균, 전체가중평균,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t- 검정 및 f-검정하였다.

      연구결과의 분석은 다음과 같다.
      1. 다수의 응답자가 1-6년 정도의 경력자이며 1-3차례 세미나에 참석하였다.
      2. 유치원 교육의 목적은 아동의 사회화와 인지능력을 높이고 균형 있는 발육을 도모하는 것에 있으며, 유치원 지원 서비스는 등록원생수를 감안할 때 충분하다.
      3. 학습내용, 교육방법, 활동은 유치원의 교육목적에 부합한다.
      4. 교과과정개발, 시설개발 면에서 유치원 경영은 매우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고 직원개발과 공동체와의 유대 면에서 만족스러운 것으로 드러났다.
      5. 응답자의 직위, 경력, 학력, 세미나 참여 횟수 면을 고려하였을 때, 유치원 경영의 인지된 효율성에 두드러진 차이는 없었다.
      6. 유치원의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사회의 관심이 부족하다.
      7. 지역사회와 유치원과의 연계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8. 학부형들은 안전하고 깨끗한 환경을 제공하는 유치원을 선호한다.

      이러한 조사 분석을 토대로 앞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를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직원의 채용과 유지에 관한 방침이 재검토되어야 한다.
      2. 원생들에게 의료 및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좀 더 세심한 배려를 해야 한다.
      3. 교사들은 그룹게임과 현장학습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되 다른 방법을 좀더 채용하여 테크닉을 다양화 시켜야 한다.
      4. 교사들은 놀이와 대화 이외의 활동도 시도해야 한다. 시 낭독, 역할극, 이야기시간, 청소시간 등도 시도되어야 한다.
      5. 직원개발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해야 한다.
      6. 지역사회와의 유대관계를 강화하여 유치원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과 협조를 구해야 한다.
      7. 부모와 지역사회 구성원을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시도해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THE PROBLEM AND ITS BACKGROUND = 1
      • Introduction = 1
      • Conceptual Framework of the Study = 3
      • Statement of the Problem = 3
      • Hypothesis = 5
      • 1. THE PROBLEM AND ITS BACKGROUND = 1
      • Introduction = 1
      • Conceptual Framework of the Study = 3
      • Statement of the Problem = 3
      • Hypothesis = 5
      • Significance of the Study = 5
      • Scope and Delimitation = 5
      • Definition of Terms = 6
      • 2.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AND STUDIES = 9
      • Local Literature = 9
      • Foreign Literature = 16
      • Local Studies = 41
      • 3. METHODS OF RESEARCH AND SOURCES OF DATA = 47
      • Research Design = 47
      • Research Instrument = 47
      • Respondents of the Study = 48
      • Gathering of Data = 49
      • Statistical Treatment of Data = 49
      • 4.PRESENTA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DATA = 50
      • The Profile of Respondents = 50
      • Status of Preschool Education = 52
      • Status of Preschool Education Curriculum = 57
      • Management Practices in Preschool Education = 62
      • The Crossbreak of the Perceived Effectiveness in the Management of Preschool and Respondents Profile = 69
      • Problems Encountered by Administration in the Management of Preschools = 75
      • Proposed Solutions = 78
      • Reasons Why Parents Chose the Selected Preschool To Enrol Their Children = 78
      • 5. SUMMARY,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b = 82
      • Summary = 82
      • Findings = 82
      • Conclusions = 85
      • Recommendations = 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