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흙활동은 유아들에게 무한한 창의적 표현의 기회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교육적인 측면, 치료적인 측면에서 중요성을 지닌 활동이다. 이에 본 연구는 찰흙활동이 유아교육기관에서 어떻게...
찰흙활동은 유아들에게 무한한 창의적 표현의 기회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교육적인 측면, 치료적인 측면에서 중요성을 지닌 활동이다. 이에 본 연구는 찰흙활동이 유아교육기관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찰흙활동에 대한 교사의 준비도 및 인식은 어떠한지를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찰흙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인천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의 어린이집 교사 95명과 유치원교사 128명으로 총 213명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질문지, 면접연구를 병행하였다. 질문지는 연구자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제작하였으며 전문가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증 받고, 예비조사를 통해 수정·보완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증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Cronbach α 계수를 구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서는 대부분 미술영역을 갖추어 놓고 있었으며 가장 많이 하는 미술활동은 그리기 활동이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찰흙활동실태를 알아본 결과, 찰흙의 종류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밀가루 점토였다. 그리고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찰흙활동은 주로 1개월에 1∼2회 정도 실시하는 기관이 가장 많았으며 소요시간은 21분∼40분 정도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찰흙활동은 교육과정 중 미술활동의 정규 프로그램으로 교사가 선정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찰흙활동을 치료적 목적으로 실시하는 기관은 많지 않았다. 그리고 찰흙활동에 관련되는 서적은 1∼3권 정도 비치하고 있었으며, 찰흙 작품은 주로 교실에 전시하고 있었다.
유아교육기관의 찰흙활동 환경조성 실태는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기관 유형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어린이집에 비해 유치원이 더 좋은 환경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교육기관 찰흙활동 지도 방법에 있어서는 유아교사들은 찰흙활동 지도시 아동의 창의력을 가장 많이 염두해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가방법으로는 유아가 작품을 만든 뒤 유아가 직접 발표하고 의견을 나누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교사교육에 있어서 미술교육에 관한 교사교육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지만 찰흙활동에 대한 교사교육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셋째, 유아교사의 찰흙활동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들은 찰흙 이라는 재료에 대해 비교적 구입 경로가 쉽고, 가격이 저렴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유아들이 다루기 쉽고 입체감을 표현하기 적당하며, 무엇보다도 유아들에게 흥미를 주는 재료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찰흙에 관한 교사의 인식에 있어서 기관 유형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어린이집 교사들이 찰흙이 구입이 더 쉽고, 가격이 더 저렴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교사경력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교사경력이 5년을 초과한 교사들이 찰흙이 유아들이 다루기 쉬운 재료라는데 더 높은 인식도를 나타냈다.
유아교사의 찰흙활동에 대한 준비도에 있어서 유아교사들은 찰흙활동에 대한 관심에 비해 찰흙활동에 대해 공부하고 연구하는 노력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찰흙에 대한 보관방법은 비교적 잘 알고 있었으나 재생방법은 잘 알고 있지 못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유형별 차이와 교사 경력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유아교사들은 찰흙활동은 유아들에게 흥미 있는 경험의 기회가 된다는 데에는 높은 인식을 보였으며, 이에 대한 교사 경력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교사경력이 5년이 초과하는 교사들이 찰흙 작품의 보관이 어렵다는데 더 높은 인식도를 나타냈다.
유아교사의 찰흙활동의 효과에 대한 인식도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유형별 차이와 교사 경력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