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적산(赤山) 법화원(法華院)의 8월 15일 명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855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8월 15일 명절은 동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신라에만 있었는데 그 이유는 이 명절이 신라의 오묘제(五廟 祭)에서 기원하였기 때문이다. 8월 15일 명절이 형성되고 정착되는 과정에는 오묘제, 천...

      8월 15일 명절은 동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신라에만 있었는데 그 이유는 이 명절이 신라의 오묘제(五廟 祭)에서 기원하였기 때문이다. 8월 15일 명절이 형성되고 정착되는 과정에는 오묘제, 천신의례, 달숭배 , 고구려정복과 같은 다양한 요소들이 작용하였는데 적산 법화원의 노승들이 고구려정복만을 말한 것 은 타국에서 생활하는 재당신라인들이 영광된 역사를 통하여 타국에서의 고단한 삶을 극복하고자 하 는 심리적 의도가 담겨 있다. 적산 법화원의 8월 15일 명절 음식 중 가장 중요한 음식은 박돈(餺飩)이다. 한국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박돈을 수제비로 번역하고 있으나 박돈은 제조방식이나 이후의 문헌자료로 보아 국수로 번역하는 것 이 옳다. 당시 국수는 보편화된 음식이 아니어서 사신접대, 제사음식, 잔치음식으로 사용되는 매우 귀 한 음식이었다. 귀한 박돈을 8월 15일 명절에 먹었다는 것은 8월 15일 명절이 매우 중요한 명절이었음 을 말한다. 박돈뿐만 아니라 매우 많은 음식을 설(設)하였다고 하는데 이는 잔치의 규격과 형식에 맞게 음식을 체계적으로 안배한 것으로 8월 15일 명절이 이미 체계를 갖춘 명절이었음을 말한다. 그리고 8월 15일 명절은 전문적인 공연단에 의해 3일 동안 밤낮으로 공연이 이루어지는 열정적인 축제였다. 적산 법화원의 8월 15일 명절이 체계를 갖춘 명절로 성대하게 거행되었으며, 적산 법화원이 나당간의 국제교류와 무역의 중심지이며, 중국 중추절이 전승기념일적 요소가 있는 것은 중국 중추절의 기원이 신라의 8월 15일 명절일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송나라 시기 중추절과 신 라 8월 15일 명절의 내용상에 있어 나타나는 현저한 차이, 엔닌(圓仁)의 기록 후 364년이 지난 후에 중 추절이 정식 명절로 지정된다는 시간적 차이를 극복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ason that the holiday on August 15 was existed in Silla only in East Asia was this holiday was oriented from Omyoje (五廟祭) of Silla. As for the process that the holiday on August 15 was formed and settled, various factors were worked such...

      The reason that the holiday on August 15 was existed in Silla only in East Asia was this holiday was oriented from Omyoje (五廟祭) of Silla. As for the process that the holiday on August 15 was formed and settled, various factors were worked such as Omyoje, offering the first harvest of the season to the gods, the moon worship and Goguryeo conquest etc, but the reason that old Buddhist priests of Jeoksan Beophwawon mentioned Goguryeo conquest only had a psychological intention that the people of Silla who resided in Tang would overcome their exhaustion in a foreign land through the glorious history. Jeoksan Beophwawon’s most important food among foods of holiday on August 15 is Bakdon (餺 飩). Korean scholars translated Bakdon into sujebi (clear soup with dumplings) but it is proper to translate into noodles by considering its making method or literature materials afterwards. At that time, noodles were not generalized food, so it was very important and precious food which were used to treat ambassadors and as the ritual foods and feast foods. The thing to eat precious Bakdon on the holiday on August 15 means that the holiday on August 15 was very important holiday. Not only Bakdon but “It was prepared plenty of foods”, and this arranged food systematically according to the standard and convention of the feast, so the holiday on August 15 was the one to have its own system already. And it was an enthusiastic festival to deliver performances three days and nights due to professional performance group. That the holiday on August 15 of Jeoksan Beophwawon was held magnificently with its system and Jeoksan Beophwawon was a center of international exchange and trade between Silla and Tang, and the Mid-Autumn Day in China has an element as an anniversary of a victory shows that it would have the possibility the origin of the Mid-Autumn Day was a holiday on August 15 of Silla. However, to verify this, it should have overcome the noticeable difference appeared in the contents between the holiday on August 15 of Silla and the Mid-Autumn Day of Sung, and the temporal difference that the Mid-Autumn Day was designated as an official holiday after 364 years after the record of yennin (圓仁).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중국 중추절(中秋節)1)의 신라기원설에 대한 중국 내 논쟁
      • Ⅱ. 『입당구법순례행기』의 적산 법화원 8월 15일명절 관련 기록
      • Ⅲ.적산 법화원 8월 15일 명절의 내용
      • Ⅳ.적산 법화원의 역할과 8월 15일 명절
      • 국문초록
      • Ⅰ.중국 중추절(中秋節)1)의 신라기원설에 대한 중국 내 논쟁
      • Ⅱ. 『입당구법순례행기』의 적산 법화원 8월 15일명절 관련 기록
      • Ⅲ.적산 법화원 8월 15일 명절의 내용
      • Ⅳ.적산 법화원의 역할과 8월 15일 명절
      • Ⅴ.남은 과제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陸游, "陸游詩詞全集"

      2 대한민국예술원, "한국음악사" 평화당인쇄주식회사 113-, 1985

      3 이혜량, "한국예술사총서-한국음악사 3" 예술원 88-, 1985

      4 주보돈, "한국사회발전사론" 일조각 1992

      5 이두현, "한국민속학논고" 학연사 213-, 1984

      6 김영진, "한국민속의 세계 5" 고려대민족문화연구원 224-, 2001

      7 김택규, "한국농경세시의 연구" 영남대학출판부 307-324, 1991

      8 이병도,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599-602, 1976

      9 주보, "한국고대사 연구의 새동향" 한국고대사학회, 서경 245-247, 2007

      10 김내창, "조선민속학" 교육도서출판사 115-, 1990

      1 陸游, "陸游詩詞全集"

      2 대한민국예술원, "한국음악사" 평화당인쇄주식회사 113-, 1985

      3 이혜량, "한국예술사총서-한국음악사 3" 예술원 88-, 1985

      4 주보돈, "한국사회발전사론" 일조각 1992

      5 이두현, "한국민속학논고" 학연사 213-, 1984

      6 김영진, "한국민속의 세계 5" 고려대민족문화연구원 224-, 2001

      7 김택규, "한국농경세시의 연구" 영남대학출판부 307-324, 1991

      8 이병도,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599-602, 1976

      9 주보, "한국고대사 연구의 새동향" 한국고대사학회, 서경 245-247, 2007

      10 김내창, "조선민속학" 교육도서출판사 115-, 1990

      11 권덕영, "재당신라인사회연구" 일조각 83-111, 2005

      12 김문경,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 중심 194-195, 2001

      13 김일권, "신라 금석문과 「신라본기」의 천문역법사 고찰" 신라문화연구소 42 : 155-214, 2013

      14 선석렬, "신라 골품제의 성립기반과 그 구조" 11 : 1987

      15 윤성재, "신라 가배(嘉排)와 여성 축제" 한국역사연구회 (87) : 333-358, 2013

      16 방종현, "세시풍속집" 연학사 1946

      17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18 김일권, "강좌 한국고대사 8권"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5-97, 2002

      19 贾思勰, "齊民要術"

      20 양주동, "麗謠淺注" 을유문화사 16-, 1949

      21 "高麗史"

      22 徐永大, "韓國古代 神觀念의 社會的 意味" 서울대학교 1991

      23 "隋書・東夷列傳・新羅"

      24 "资治通鉴"

      25 吳光運, "藥山漫稿"

      26 趙秀三, "秋齋集"

      27 李穡, "牧隱詩藁"

      28 陶穀, "淸異錄・饌羞門"

      29 金邁淳, "洌陽歲時記"

      30 歐陽修, "歸田錄"

      31 柳晩恭, "歲時風謠"

      32 洪錫謨, "東國歲時記"

      33 李瀷, "星湖僿說"

      34 김천호, "日本 法隆寺 聖德太子祭祀 供物을 통한 韓國古代食 推定硏究" 6 (6): 226-228, 1991

      35 尹瑞石, "新羅의 飮食"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8 : 1987

      36 黃濤, "文化安全與社會和諧" 知識産權出版社 408-, 2008

      37 徐兢, "宣和奉使高麗圖經"

      38 宋時烈, "宋子大全隨箚"

      39 "宋史・太宗記"

      40 E・O・Reischauer, "圓仁的唐代中國之旅(Ennin'sDiary)" 原書房 1985

      41 張學鋒, "圓仁『入唐記』 所見晚唐新羅移民在江蘇地域的活动" 33 : 329-, 2011

      42 丸山裕美子, "唐宋節假制度的變遷-兼論‘令’和‘格敕’" (3) : 2003

      43 양주동, "古歌硏究" 일조각 19-30, 1983

      44 "北史・列傳・新羅 歐陽修"

      45 小野勝年, "入唐求法巡禮行記の硏究 第2卷" 鈴木學術財團 95-96, 1964

      46 圓仁, "入唐求法巡禮行記"

      47 樊文禮, "代登州海行入高麗道的變遷與赤山法華院的形成" 20 (20): 117-119, 2005

      48 李圭景, "五洲衍文長箋散稿"

      49 熊飛, "中秋節起源的文化思考" (11) : 1996

      50 馬志付, "中秋節産生時間考辯" (28) : 2008

      51 劉德增, "中秋節源自新羅考" 山東教育學院 (6) : 2003

      52 杨琳, "中國傳統節日文化" 宗敎文化出版社 320-, 2000

      53 王利華, "中古華北飮食文化的變遷"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9-, 2001

      54 "三國遺事"

      55 "三國史記"

      56 정구복, "『역주 삼국사기』4 주석편(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76-77, 2012

      57 曲金良, "7-10세기 동아시아 문물교류의 제상(諸像)-중국편" 재단법인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131-150,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東아시아古代學 -> 동아시아고대학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9 0.686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