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물불천론(物不遷論)」 주석(注釋)의 특징 비교 연구 - 송·원·명대 주석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entary of the WuBuQianLun(物不遷論)- centering around the commentaries of the Song(宋), Yuan(元), and Ming(明)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824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engZhao’s WuBuQianLun(物不遷論), which discusses the movement[動] and non-movement[靜] of an object, is a short article that was sometimes controversial. This is because the word ‘Dwelling-in-nature(性住)’ and the contents related t...

      The SengZhao’s WuBuQianLun(物不遷論), which discusses the movement[動] and non-movement[靜] of an object, is a short article that was sometimes controversial. This is because the word ‘Dwelling-in-nature(性住)’ and the contents related to it. Perhaps that is why there are not a few commentaries who have commented on the WuBuQianLun.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entaries in the Song(宋), Won(元), and Ming(明) Dynasty among them. The ZhuZhaoLunShu(注肇論疏), written by ZhunShi(遵式) of the Song(宋) Dynasty, is characterized by explaining the WuBuQianLun by citing the Buddhist scriptures and thesis. It is compared to the Tang(唐) Dynasty’s YuanKang(元康) which quoted many Chinese classics and commented on the WuBuQianLun. The ZhaoLunXinShu(肇論新疏), written by the WenCai(文才) of the Yuan(元) Dynasty, explained the WuBuQianLun based on ‘individual experience’ and ‘extensive understanding of doctrine’. The WenCai’s point that “if you are trapped in a letter and lose its meaning, every letter becomes a swelling or boil” gives a lot of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Dwelling-in-nature(性住)’. In order to refute the WuBuQianZhengLiangLun(物不遷正量論), which criticized the WuBuQianLun, the WuBuQianLunBianJie(物不遷論辯解) written by the ZhenJie(眞界) of the Ming Dynasty and the WuBuQianZhengLiangLunZheng(物不遷正量論證) written by the DaoHeng(道衡) in the Ming Dynasty are prominent in that they developed discussions in the way of Buddhist logic. The logical criticism of the ZhenJie(眞界) and the DaoHeng(道衡) suggests that there was an atmosphere that emphasized doctrinal research in the Buddhist world at the end of the Ming Dynasty. The ZhaoLunLüeZhu(肇論略注) written by the HanShan(憨山) which emphasizes ‘personal experience’ and ‘doctrinal research’ together is regarded as the last commentary of the traditional meaning of ZhaoLun and is an excellent book representing the Buddhist world at the end of the Ming Dynas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사물[事]의 움직임[動]과 움직이지 않음[靜]을 논의한 승조의 「물불천론(物不遷論)」은 때때로 논란의 대상이 됐던 짧은 글이다. ‘본성(本性)은 머문다’는 ‘성주(性住)’라는 말과 그와 ...

      사물[事]의 움직임[動]과 움직이지 않음[靜]을 논의한 승조의 「물불천론(物不遷論)」은 때때로 논란의 대상이 됐던 짧은 글이다. ‘본성(本性)은 머문다’는 ‘성주(性住)’라는 말과 그와 관련된 내용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물불천론」을 해설한 적지 않은 주석(注釋)들이 현존한다. 본고는 이들 가운데 송(宋)·원(元)·명(明)대 주석들의 특징을 비교 분석했다. 송나라 준식(遵式)이 쓴 『주조론소(注肇論疏)』는 경전과 논서를 인용해 「물불천론」을 설명한 것이 특색이다. 당나라 원강(元康)이 중국 고전을 많이 인용해 해설한 것과 비교된다. 원나라 문재(文才)가 쓴 『조론신소(肇論新疏)』는 ‘개인적인 체험’과 ‘교리에 대한 해박한 이해’에 근거해 「물불천론」을 설명했다. “만약 문자에 갇혀 의미를 잃으면 모든 글자가 부스럼이나 종기가 된다.”는 문재의 지적은 ‘성주(性住)’를 이해하는 데 많은 시사를 준다. 「물불천론」을 비판한 『물불천정량론(物不遷正量論)』을 논박하기 위해 명나라 진계(眞界)가 쓴 『물불천론변해(物不遷論辯解)』와 명나라 도형(道衡)이 쓴 「물불천정량논증(物不遷正量論證)」은 삼지작법의 논식(論式)으로 논의를 전개했다는 점이 돋보인다. 진계와 도형의 논리적 비판은 명나라 말기 불교계에 교리 연찬(硏鑽)을 중시하는 분위기가 있었음을 암시한다. ‘수행 체험’과 ‘교리 연찬’을 함께 중시하는 입장에서 쓴 감산(憨山)의 『조론략주(肇論略注)』는 ‘『조론』에 대한 전통적 의미의 마지막 주석’으로 평가되며, 명나라 말기의 불교계를 대표하는 뛰어난 저서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物不遷論」, T45"

      2 "「物不遷正量論證」, WX54"

      3 "肇論疏(元康), T45"

      4 "肇論略注, WX54"

      5 "肇論新疏, T45"

      6 "續傳燈錄, T51"

      7 "物不遷論辯解, WX54"

      8 "物不遷正量論, WX54"

      9 "注肇論疏, WX54"

      10 "新續高僧傳四集, B27"

      1 "「物不遷論」, T45"

      2 "「物不遷正量論證」, WX54"

      3 "肇論疏(元康), T45"

      4 "肇論略注, WX54"

      5 "肇論新疏, T45"

      6 "續傳燈錄, T51"

      7 "物不遷論辯解, WX54"

      8 "物不遷正量論, WX54"

      9 "注肇論疏, WX54"

      10 "新續高僧傳四集, B27"

      11 "憨山大師夢遊全集, WX73"

      12 "御選語錄(一), 佛光大藏經·禪藏"

      13 中峰明本, "山房夜話" 藏經閣 1988

      14 吉田剛, "宋代における肇論の受容形態について" 日本印度学仏教学会 49 (49): 2000

      15 杜建民, "中國歷代帝王世系年表" 齊魯書社 2007

      16 조병활, "「물불천론(物不遷論)」 주석(注釋)의 특징 비교 연구"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42) : 87-113, 2020

      17 "WX = 大藏新纂卐續藏經"

      18 "T = 大正新脩大藏經"

      19 "B = 大藏經補編"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51 0.714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