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日本語「テアル」文의 意味ㆍ用法에 관한 考察 = A Study of 「tearu」 Construction's Meaning and Usage in Japane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6701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earu(てある)」sentence is basically materialized by the integration with transitive verb and sorted out as two patterns of "status of result" and "effect of action" which are varied by intentional deed of someone. In this case the former is ca...

      「tearu(てある)」sentence is basically materialized by the integration with transitive verb and sorted out as two patterns of "status of result" and "effect of action" which are varied by intentional deed of someone. In this case the former is called to be passive 「-ga(が) transitive verb+tearu(てある)」sentence while the latter is called active 「-wo(を) transitive verb + tearu(てある)」 sentence.
      Passive 「tearu(てある)」 sentence expresses the varied result status of object while the subject 「ga(が) case」is handled as passive material and it mainly uses visibility verbs. Active Tearu sentence expresses "effect action" by the intentional deed of the mobilizer and therefore, there exists the subject of the deed even though it does not appear inside the sentence it is perceived outside the sentence. Non-visibility verbs are usually used. Accordingly, active Tearu sentence which lay stress on "effect" is more intentional than passive 「tearu(てある)」sentence which does on "status".
      「Intransitive verb + teiru(ている)」sentence where the verb responding to transitive and intransitive is used shows "simple status" while passive 「-ga(が) transitive verb + tearu(てある)」sentence shows "intentional status" like target and reason. However, 「-ga(が) transitive verb + tearu(てある)」sentence where the verb responding not to transitive and intransitive is used shows "result" status of object" expressed by 「intransitive verb + teiru(ている)」sentence in addition to the result status of intentional deed because it has no responding intransitive verb. In this case, 「transitive verb + tearu(てある)」sentence without responding to intransitive verb could be substituted for 「transitive verb + rareteiru(られている)」sentence. This the reason whythe passive voice of transitive verb can afford to play the role of intransitive verb. Therefore, the frequency to use transitive verb without responding to transitive and intransitive is higher than transitive verb with responding to both.
      All the sentences of 「intransitive verb + teiru(ている)」, 「transitive verb + tearu(てある)」 and 「transitive verb + rareteiru(られている)」 describes result status of motion and action but specifically 「intransitive verb + teiru(ている)」sentence describes spontaneous result of subject and 「transitive verb + tearu(てある)」 sentence does result status by outside intentional action and 「transitive verb + rareteiru(られている)」sentence does non-intentional result status by outside motion and action.
      Both of 「tearu(てある)」 and 「teoku(ておく)」sentences describe effect of result status made by the intentional action taken but the former lay stress on "the effect" of result status while the latter does stress on the antecedent action. Both represent the implication of "readiness" but the former is the result subsequent to the action while preemptive motion leads to action and result in the latter. Accordingly , the intentionality of 「teoku(ておく)」sentence is more positive, Active voice「tearu(てある)」sentence responds to <ta mode>of 「teoku(ておく)」sentence as it represents the completion of action.
      Together with 「ga(が) case」 or 「wo(を) case」 men and animals can be selected as subject and object of,action, motion and circumstances. In other words, if required for the implication structure of sentence, men and animals can be selected as the subject in 「tearu(てある)」sentence of "result status" as well as in 「tearu(てある)」 sentence of action effect.
      「Intransitive verb + tearu(てある)」 could be acceptable among intransitive verbs if it represents the action of human being and the effect of the action exists inside the mobilizer. In this case, it bears the implication of consistent effect of prior preparation and effect accumulation as the intentional action of the mobilizer is regarded importa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てある」文은 기본적으로 他動詞와 「てある」가 결합하여 성립되며, 누군가의 의도적 행위에 의한 ‘결과상태’와 ‘행위효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前者는 受動型「~が 他動詞+...

      「てある」文은 기본적으로 他動詞와 「てある」가 결합하여 성립되며, 누군가의 의도적 행위에 의한 ‘결과상태’와 ‘행위효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前者는 受動型「~が 他動詞+てある」文, 後者는 能動型「~を 他動詞+てある」文이라 한다.
      受動型 「てある」文은 대상의 변화된 ‘결과상태의 지속’을 나타내는데 主語인 「ガ」格이 수동자로 다루어지고 주로 시각적인 동사가 사용된다. 能動型「てある」文은 의도적 행위에 의한 ‘행위효과의 지속’을 나타내므로 반드시 행위주체가 존재하고 행위주체가 文中에 등장하지 않더라도 文外에서 예상되며 주로 비시각적인 동사가 사용된다. 따라서 「상태」를 중시하는 受動型「てある」文보다 「효과」를 중시하는 能動型「てある」文의 의도성이 더 높다.
      대응 자동사가 있는 有對他動詞 중 「自動詞+ている」文은 ‘단순한 상태’를, 「~が 他動詞+てある」文은 목적ㆍ이유 등의 ‘의도적인 상태’를 나타낸다. 그러나 無對他動詞의 「~が 他動詞+てある」文은 대응 자동사가 없으므로 「てある」文으로 ‘의도적인 상태’와, ‘단순한 상태’를 모두 나타내게 되고 이 경우 대응 自動詞가 없는 空白을 「他動詞+られている」文이 대신하게 되며, 따라서 有對他動詞보다 無對他動詞의 사용빈도가 더 높다.
      「自動詞+ている」文, 「他動詞+てある」文, 「他動詞+られている」文은 모두 동작ㆍ작용의 결과상태를 나타내지만, 「自動詞+ている」文은 의도적 介入이 없는 자연적ㆍ자발적인 주체의 결과상태, 「他動詞+てある」文은 외부로 부터의 의도나 작용에 의한 대상의 결과상태, 「他動詞+られている」文은 外部로부터의 동작ㆍ작용에 의한 비의도적인 결과상태를 나타낸다.
      能動型「てある」文과 「ておく」文은 모두 ‘결과상태의 효과’를 나타내지만, 能動型「てある」文은 ‘결과상태의 효과’에 중점을 두고 「ておく」文은 ‘의도적인 선행행위’에 중점을 두는 표현이다. 兩者는「準備」의 의미를 나타내지만 前者는 동작후의 결과를 나타내고, 後者는 예상하여 행하는 동작이 행위에서 결과까지 계속되므로 「てある」文보다 「ておく」文의 의도성이 더 적극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能動型「てある」文은 행위의 완료를 나타내므로 「ておく」文의 ‘タ形’과 대응하게 된다.
      행위나 동작ㆍ상태 등의 주체나 대상의 「が」格이나 「を」格으로 有情物을 취할 수 있다. 즉, ‘상태지속’의 「てある」文에서도,「효과지속」의 「てある」文에서도 文의 의미 구조상 필요하다면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도 주체로서 有情物을 취할 수 있다.
      自動詞 중에서 인간의 작용을 나타내고 그 작용의 효과가 동작주의 內部에 존속할 경우 「自動詞+てある」文이 허용되며 이 경우 동작주의 의도적인 행위를 중시하여 사전준비ㆍ결과축적이라는 「효과지속」의 의미를 나타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國文抄錄 = ⅳ
      • ABSTRACT = ⅵ
      • 1. 硏究目的 및 硏究 範圍 = 1
      • 2. 先行硏究 = 3
      • 2.1. 아스펙트에 관한 先行硏究 = 3
      • 國文抄錄 = ⅳ
      • ABSTRACT = ⅵ
      • 1. 硏究目的 및 硏究 範圍 = 1
      • 2. 先行硏究 = 3
      • 2.1. 아스펙트에 관한 先行硏究 = 3
      • 2.1.1. 金田一春彦(1950) = 4
      • 2.1.2. 鈴木重幸(1957) = 6
      • 2.2. 「てある」文에 관한 先行硏究 = 7
      • 2.2.1. 高橋太郞(1969) = 8
      • 2.2.2. 吉川武時(1973) = 9
      • 2.2.3. 森田良行(1977b) = 10
      • 2.2.4. 寺村秀夫(1984) = 11
      • 2.2.5. 益岡隆志(1987) = 12
      • 2.2.6. 石川守(1991) = 13
      • 2.2.7. 杉村泰(1996a) = 14
      • 2.2.8. 原澤伊都夫(1998) = 15
      • 2.3 有對他動詞와 無對他動詞의 「他動詞+てある」文 = 16
      • 3. 「テアル」文의 形態的 分類 = 26
      • 3.1. 受動型「~が他動詞+てある」文 = 26
      • 3.2. 能動型「~を他動詞+てある」文 = 29
      • 4. 「てある」文의 意味分析 및 類型分類 = 36
      • 4.1.「てある」文의 意味分析 (1) = 36
      • 4.1.1.「他動詞+てある」文과 「自動詞+ている」文 = 36
      • 4.1.2.「他動詞+てある」文과 「他動詞+ておく」文 = 39
      • 4.1.3.「他動詞+てある」文과 「他動詞+られている」文 = 46
      • 4.1.4.「他動詞+られている」文과 「自動詞+ている」文 = 53
      • 4.2.「てある」文의 意味分析 (2) = 56
      • 4.2.1.「他動詞+てある」文을 취할 수 없는 경우 = 56
      • 4.2.2.「他動詞+てある」文과 主體(有情物ㆍ非情物)와의 관계 = 59
      • 4.2.3.「自動詞+てある」文 = 64
      • 5. 「てある」文의 意味類型 = 66
      • 5.1. 對象의 位置가 變化한 結果狀態 = 68
      • 5.2. 對象이 □化한 結果狀態 = 69
      • 5.3. □純한 動作 完了 = 71
      • 5.4. 放任 = 72
      • 5.5. 準備 = 73
      • 6. 結論 = 75
      • 參考文獻 = 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