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동북공정을 둘러싼 한중간의 역사분쟁은 일차적으로 역사적 사실의 대한 해석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반복적이고 소모적인 분쟁이 되풀이되고 있다. 이를 지양하려면 그 원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870172
2018
-
900
KCI등재
학술저널
3-32(3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의 동북공정을 둘러싼 한중간의 역사분쟁은 일차적으로 역사적 사실의 대한 해석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반복적이고 소모적인 분쟁이 되풀이되고 있다. 이를 지양하려면 그 원인...
중국의 동북공정을 둘러싼 한중간의 역사분쟁은 일차적으로 역사적 사실의 대한 해석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반복적이고 소모적인 분쟁이 되풀이되고 있다. 이를 지양하려면 그 원인과 경과, 배경 등에 대한 사학사적 검토도 필요하 다. 본고는 이 점에서 근대 중국의 발해사 인식에 대해 검토하였다. 근대 중국의 중국의 발해사 저술들은 기본적으로 청대 지리학의 연장선상에 있지만 두 가지 계열로 구분된다. 하나는 曹廷杰, 丁謙, 吳承志 등과 같이 발해의 지리 고증만 다룬 것이고, 다른 하나는 唐晏, 黃維翰, 金毓黻 등과 같이 발해사에 대한 전론이다. 전자는 발해를 숙신의 후예인 말갈이 세운 나라로만 인식하고 발해의 지리 고증에 치중하였다. 후자는 숙신—발해—금--청으로 이어지는 역사 계보를 설정하고, 발해사의 대한 사료를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지리 고증도 치밀해 져 갔다. 후자는 전자를 계승하면서도 일제의 만주침략에 자극받았던 것인데, 이과정에서 조선의 남북국론에 대해서는 비판적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China disputes about history surrounding China s Northeast Project stemmed primarily from a difference in their interpretation of historical facts. However, repetitive, consumptive disputes are being repeated. To desist this cycle, a historical ...
Korea-China disputes about history surrounding China s Northeast Project stemmed primarily from a difference in their interpretation of historical facts. However, repetitive, consumptive disputes are being repeated. To desist this cycle, a historical review about the cause, process and background of the issue is required. In this regard, this paper examined China s modern-time awareness of Balhae history. China s modern-time writings about Balhae history basically are an extension of the authoring of geographies of Qing times but they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e category, which includes Jo Jeong Geol (曹廷杰), Jeong Gyeom (丁謙), and O Seung Ji (吳承志), deal only with the historical geographical facts of Balhae. The other category, which includes Dang An (唐晏), Hwang Yu Han (黃維翰), and Kim Yuk Bul (金毓黻), deals with the entirety of Balhae history. The former recognizes Balhae only as a state founded by Malgal, a descendant of Suksin, and focuses on the historical proofing of Balhae s geography. The latter set the historical lineage which links Suksin, Balhae, Jin dynasty and Qing, gathered a wide range of historical data about Balhae history, and closely proved the historical facts of geography. The latter inherited the former yet was prompted by Japanese colonial invasion of Manchuri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복, "한국 근대역사학의 발해사 인식- 南北國論을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회 (179) : 173-208, 2017
2 강성봉, "일제시기 만주사․조선사 인식" 동북아역사재단 2009
3 김종복, "수정본 ≪渤海考≫의 내용과 집필 시기" 태동고전연구소 26 : 55-86, 2010
4 김종복, "발해정치외교사" 일지사 2009
5 古畑徹, "金毓黻『渤海國志長編』の成立過程について" 76 : 2017
6 丁謙, "蓬萊軒地理學叢書" 浙江圖書館 1916
7 박찬흥, "滿鮮史觀에서의 고구려사 인식 연구" 8 : 2005
8 徐相雨, "渤海疆域考" 求恕齋 1925
9 黃維翰, "渤海國記" 遼海叢書 1934
10 金毓黻, "渤海國志長編" 千華山館 1934
1 김종복, "한국 근대역사학의 발해사 인식- 南北國論을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회 (179) : 173-208, 2017
2 강성봉, "일제시기 만주사․조선사 인식" 동북아역사재단 2009
3 김종복, "수정본 ≪渤海考≫의 내용과 집필 시기" 태동고전연구소 26 : 55-86, 2010
4 김종복, "발해정치외교사" 일지사 2009
5 古畑徹, "金毓黻『渤海國志長編』の成立過程について" 76 : 2017
6 丁謙, "蓬萊軒地理學叢書" 浙江圖書館 1916
7 박찬흥, "滿鮮史觀에서의 고구려사 인식 연구" 8 : 2005
8 徐相雨, "渤海疆域考" 求恕齋 1925
9 黃維翰, "渤海國記" 遼海叢書 1934
10 金毓黻, "渤海國志長編" 千華山館 1934
11 唐晏, "渤海國志" 求恕齋 1919
12 曹廷杰, "曹廷杰集" 中華書局 1985
13 송기호, "奎章閣 소장 발해사 자료 및 해제" 2004
14 吳承志, "唐賈耽記邊州入四夷道里考實" 求恕齋 1921
15 이병호, "'東北工程' 前史- 傅斯年의 『東北史綱』비판" 동북아역사재단 (20) : 243-284, 2008
중국 중학교 역사 교과서의 변천과 그에 대한 중국학계의 연구
한국화교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 2010년 이후의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5-05-3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외대사학 -> 역사문화연구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6 | 0.49 | 1.216 | 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