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당뇨병 환자의 상급종합병원 외래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069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outpatient use of tertiary hospitals by diabetic patient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hronic disease management system. This paper is based on data from the Korea Medical Panel (2013-2017) for adults diagnosed with diabetes over the age of 30.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dividing patients into tertiary hospital users and non-use group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ikelihood of outpatient use of tertiary hospitals was high: college graduates or higher compared to elementary school graduates, high-income households compared to low-income households, higher Charlson’s comorbidity index, and Seoul compared to the province, the case of 15 years or more Compared to the case of less than 5 years, the case of cerebrovascular disease, hyperlipidemia, or ischemic heart disease,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increased, the case of diabetic complications. It was found that the probability of outpatient use of tertiary hospitals was low in those over 65 compared to those under 65.
      Even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hronic disease management system, income and educational background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outpatient use of tertiary hospitals. It is thought that policy supplementation in the direction that can increase the preference of diabetic patients in choosing a primary medical institution is necessary.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outpatient use of tertiary hospitals by diabetic patient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hronic disease management system. This paper is based on data from the Korea Medical Panel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outpatient use of tertiary hospitals by diabetic patient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hronic disease management system. This paper is based on data from the Korea Medical Panel (2013-2017) for adults diagnosed with diabetes over the age of 30.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dividing patients into tertiary hospital users and non-use group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ikelihood of outpatient use of tertiary hospitals was high: college graduates or higher compared to elementary school graduates, high-income households compared to low-income households, higher Charlson’s comorbidity index, and Seoul compared to the province, the case of 15 years or more Compared to the case of less than 5 years, the case of cerebrovascular disease, hyperlipidemia, or ischemic heart disease,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increased, the case of diabetic complications. It was found that the probability of outpatient use of tertiary hospitals was low in those over 65 compared to those under 65.
      Even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hronic disease management system, income and educational background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outpatient use of tertiary hospitals. It is thought that policy supplementation in the direction that can increase the preference of diabetic patients in choosing a primary medical institution is necessary.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만성질환관리제 실시 이후 당뇨병 환자의 상급종합병원 외래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의료패널자료(2013년~2017년)자료를 이용하여 만30세이상의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성인을 대상으로 상급종합병원 이용군과 미이용군으로 나누어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상급종합병원 외래이용 가능성이 높은 경우는 초졸이하에 비해 대졸이상인 경우, 저소득가구에 비해 고소득가구인 경우, 찰슨동반질환지수가 높을수록, 거주지가 도인 경우에 비해 서울인 경우, 유병기간이 5년미만인 경우에 비해 15년이상인 경우, 뇌혈관질환이나 고지혈증, 허혈성심질환이 있는 경우, 만성질환수가 많을수록, 당뇨병성 합병증이 있는 경우였으며, 상급종합병원 외래이용 가능성이 낮은 경우는 만65세미만에 비해 만65세이상인 경우로 나타났다. 만성질환관리제 실시 이후에도 소득과 학력이 상급종합병원 외래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당뇨병 환자의 일차 의료기관 선택에의 선호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의 정책적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가 환자의 적절한 의료이용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마련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만성질환관리제 실시 이후 당뇨병 환자의 상급종합병원 외래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의료패널자료(2013년~2017년)자료를 이용하여 만30세이상의 당뇨병으...

      본 논문은 만성질환관리제 실시 이후 당뇨병 환자의 상급종합병원 외래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의료패널자료(2013년~2017년)자료를 이용하여 만30세이상의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성인을 대상으로 상급종합병원 이용군과 미이용군으로 나누어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상급종합병원 외래이용 가능성이 높은 경우는 초졸이하에 비해 대졸이상인 경우, 저소득가구에 비해 고소득가구인 경우, 찰슨동반질환지수가 높을수록, 거주지가 도인 경우에 비해 서울인 경우, 유병기간이 5년미만인 경우에 비해 15년이상인 경우, 뇌혈관질환이나 고지혈증, 허혈성심질환이 있는 경우, 만성질환수가 많을수록, 당뇨병성 합병증이 있는 경우였으며, 상급종합병원 외래이용 가능성이 낮은 경우는 만65세미만에 비해 만65세이상인 경우로 나타났다. 만성질환관리제 실시 이후에도 소득과 학력이 상급종합병원 외래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당뇨병 환자의 일차 의료기관 선택에의 선호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의 정책적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가 환자의 적절한 의료이용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마련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